"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세대분) |
(→세대)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세대 == | == 세대 == | ||
=== 1세대 === | === 1세대 === | ||
− | ==== 1차분(2016년 [[ | + | ==== 1차분(2016년 [[1월|1~]][[7월]]) ==== |
* 문산차량기지 소속: 381G10편성(총 1개 편성) | * 문산차량기지 소속: 381G10편성(총 1개 편성) | ||
* 울산차량기지 소속: 381G01~09편성 | * 울산차량기지 소속: 381G01~09편성 | ||
− | * 제작사: [[현대로템]] | + | * '''제작사: [[현대로템]]'''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도시바]])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도시바]])''' |
− | 2016년 10월 31일 1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및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1차분)와 형제기라고 할 정도로 많이 닮았다. 그러나 차상장치에선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 + | [[2016년]] [[10월 31일]] 1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및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1차분)와 형제기라고 할 정도로 많이 닮았다. 그러나 차상장치에선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
+ | |||
=== 2세대 === | === 2세대 === | ||
− | ==== 2차분(2018년 [[ | + | ==== 2차분(2018년 [[6월|6~]][[10월]]) ==== |
* 울산차량기지 소속: 381G11~17편성(총 4량 7개 편성) | * 울산차량기지 소속: 381G11~17편성(총 4량 7개 편성) | ||
− | * 제작사: [[현대로템]] | + | * '''제작사: [[현대로템]]'''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도시바]])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도시바]])''' |
− | 2020년 [[1월]] | + | [[2020년]] [[1월 31일]] 2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이고,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 '''주둥이'''라 불린 첫 세대다. |
=== 3세대 === | === 3세대 === | ||
− | ==== 3차분(2027년 예정) ==== | + | ==== 3차분([[2027년]] 예정) ==== |
− | * 울산차량기지 소속: 381G18편성(총 4량 1개 편성) | + | * '''울산차량기지 소속: 381G18편성(총 4량 1개 편성)''' |
− | * 제작사: | + | * '''제작사: [[우진산전]]'''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도시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도시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 |
[[북울산역]] 연장 대비 증차 발주분이다. | [[북울산역]] 연장 대비 증차 발주분이다. | ||
== 현재 운행구간 == | == 현재 운행구간 == | ||
− | * | + | * {{한국 도시철도|KR5}}: [[부전역|부전~]][[태화강역]] |
− | |||
** [[경의선]]: 임진강~문산~가좌~[[서울역]] | ** [[경의선]]: 임진강~문산~가좌~[[서울역]] | ||
** [[용산선]]: 가좌~[[용산역]] | ** [[용산선]]: 가좌~[[용산역]]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
|- | |- | ||
− | + | !width="70"|차호!!width="100"|도입 시기!!width="100"|운행 개시!!비고 | |
+ | |- | ||
+ | |'''381G01편성'''||[[2016년]] [[1월 1일]]||rowspan="10"|[[2016년]] [[10월 31일]]|| | ||
+ | |- | ||
+ | |'''381G02편성'''||2016년 [[2월 9일]]|| | ||
+ | |- | ||
+ | |'''381G03편성'''||2016년 [[3월 3일]]|| | ||
+ | |- | ||
+ | |'''381G04편성'''||2016년 [[4월 15일]]|| | ||
+ | |- | ||
+ | |'''381G05편성'''||2016년 [[5월 5일]]|| | ||
|- | |- | ||
− | |''' | + | |'''381G06편성'''||2016년 [[5월 20일]]|| |
|- | |- | ||
− | |''' | + | |'''381G07편성'''||2016년 [[6월 8일]]|| |
|- | |- | ||
+ | |'''381G08편성'''||2016년 [[6월 26일]]|| | ||
+ | |- | ||
+ | |'''381G09편성'''||2016년 [[7월 5일]]|| | ||
+ | |- | ||
+ | |'''381G10편성'''||[[2016년]] [[7월 20일]]|| | ||
+ | |} | ||
=== 2세대분 === | === 2세대분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
+ | |- | ||
+ | !width="70"|차호!!width="100"|도입 시기!!width="100"|운행 개시!!비고 | ||
+ | |- | ||
+ | |'''381G11편성'''||[[2018년]] [[6월 3일]]||rowspan="7"|[[2019년]] [[3월 29일]]||[[동해선]] 개통 전 병점차량기지로 차출돼 시운전한 이력이 있다. | ||
+ | |- | ||
+ | |'''381G12편성'''||2018년 [[6월 18일]]|| | ||
+ | |- | ||
+ | |'''381G13편성'''||2018년 [[7월 5일]]|| | ||
+ | |- | ||
+ | |'''381G14편성'''||2018년 [[7월 26일]]|| | ||
+ | |- | ||
+ | |'''381G15편성'''||2018년 [[8월 16일]]|| | ||
+ | |- | ||
+ | |'''381G16편성'''||2018년 [[9월 21일]]|| | ||
+ | |- | ||
+ | |'''381G17편성'''||[[2018년]] [[10월 31일]]|| | ||
+ | |} | ||
=== 3세대분 === | === 3세대분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rter;" | ||
+ | |- | ||
+ | !width="70"|차호!!width="100"|도입 시기!!width="100"|운행 개시!!비고 | ||
+ | |- | ||
+ | |381G18편성||[[2027년]] 예정||제작 예정||[[북울산역]] 연장 대비 증차 발주분이다. | ||
+ | |}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2025년 2월 15일 (토) 21:15 기준 최신판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의 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총 4량 16개 편성(64량)은 광역전철 동해선 부전~태화강역 구간에 운행하고 있으며, 4량 1개 편성(4량)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임진강~문산~가좌~서울역, 용산역 구간에 운행하고 있다.
목차
기술적 사양[편집]
제어기기[편집]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후기형 및 서해선 광역전철에서 운행한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1차분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사용한다.
실내 설비[편집]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와 내장재, 신호 방식을 제외한 모든 것이 동일하므로, 2018년에 증차분으로 도입된 2차분의 경우, 2016년에 도입된 1차분 전동차와는 달리, 자동 통로문을 아예 없애고 통로폭을 넓혔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중 최초로 비상사다리가 설치됐다.
운전 설비[편집]
기존 차량들의 전면부보다 운전실 창을 넓히고, 형태를 약간 바꿔 시야를 개선했으며, 1인 승무에 대응하도록 CCTV 모니터 및 ATS/ATP 장착되어 있다.
편성[편집]
편성은 공기압축기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제어실 축전지 등을 갖춘 Tc차로 구성되어 있다.
배속[편집]
- 381G01~09, 381G11~17편성: 울산차량기지, 4량
- 381G10편성: 문산차량기지, 4량
세대[편집]
1세대[편집]
1차분(2016년 1~7월)[편집]
2016년 10월 31일 1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및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1차분)와 형제기라고 할 정도로 많이 닮았다. 그러나 차상장치에선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2세대[편집]
2차분(2018년 6~10월)[편집]
2020년 1월 31일 2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이고,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 주둥이라 불린 첫 세대다.
3세대[편집]
3차분(2027년 예정)[편집]
북울산역 연장 대비 증차 발주분이다.
현재 운행구간[편집]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분[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개시 | 비고 |
---|---|---|---|
381G01편성 | 2016년 1월 1일 | 2016년 10월 31일 | |
381G02편성 | 2016년 2월 9일 | ||
381G03편성 | 2016년 3월 3일 | ||
381G04편성 | 2016년 4월 15일 | ||
381G05편성 | 2016년 5월 5일 | ||
381G06편성 | 2016년 5월 20일 | ||
381G07편성 | 2016년 6월 8일 | ||
381G08편성 | 2016년 6월 26일 | ||
381G09편성 | 2016년 7월 5일 | ||
381G10편성 | 2016년 7월 20일 |
2세대분[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개시 | 비고 |
---|---|---|---|
381G11편성 | 2018년 6월 3일 | 2019년 3월 29일 | 동해선 개통 전 병점차량기지로 차출돼 시운전한 이력이 있다. |
381G12편성 | 2018년 6월 18일 | ||
381G13편성 | 2018년 7월 5일 | ||
381G14편성 | 2018년 7월 26일 | ||
381G15편성 | 2018년 8월 16일 | ||
381G16편성 | 2018년 9월 21일 | ||
381G17편성 | 2018년 10월 31일 |
3세대분[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개시 | 비고 |
---|---|---|---|
381G18편성 | 2027년 예정 | 제작 예정 | 북울산역 연장 대비 증차 발주분이다. |
같이 보기[편집]
이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문서는 한국철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