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혁)
14번째 줄: 14번째 줄:
  
 
== 연혁 ==
 
== 연혁 ==
*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 [[서울역]], [[경부선]] [[당정(한세대)역]]~[[성균관대역]] [[서울역]] - [[수원역]], [[경인선]] [[구로역]] - [[인천역]], [[경원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 [[광운대역]]구간 38개 전철역 개통 및 상호 노선 직결 전동차 운행 개시, [[경인선]] 일반열차 운행 중지
+
*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 [[서울역]], [[경부선]] [[당정(한세대)역]]~[[성균관대역]] [[서울역]] - [[수원역]], [[경인선]] [[구로역]] -[[인천역]], [[경원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 [[광운대역]]구간 38개 전철역 개통 및 상호 노선 직결 전동차 운행 개시, [[경인선]] 일반열차 운행 중지
 
* [[1978년]] [[1월 11일]]: [[신이문역]], [[신도림역]], [[구일(동양미래대학)역]], [[동묘앞역]]([[수도권 전철 6호선]] [[환승역]]) 개통
 
* [[1978년]] [[1월 11일]]: [[신이문역]], [[신도림역]], [[구일(동양미래대학)역]], [[동묘앞역]]([[수도권 전철 6호선]] [[환승역]]) 개통
* [[1978년]] [[10월 19일]]: 경원선 [[용산역]]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간 4개 역 개통, [[경원선#왕십리 경유 운행 계통 (폐지)|경원지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 운행 개시
+
* [[1978년]] [[10월 19일]]: 경원선 [[용산역]]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한남역]] 간 5개 역 개통, [[경원선#왕십리 경유 운행 계통 (폐지)|경원지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 운행 개시
* [[1980년]] [[1월 5일]]: 경원선 [[신이문역]], [[서빙고역]], [[회기역]], [[한남역]], [[신도림역]] ([[서울 지하철 2호선]] 환승역) 개통  
+
* [[1980년]] [[1월 5일]]: [[경원선]] [[신이문역]], [[회기역]], [[신도림역]] ([[서울 지하철 2호선]] 환승역) 개통  
* [[1980년]] [[2월 10일]]: 경부선 [[석수역]] / 경원선 [[회기역]] / 경인선 [[백운역]],[[석계역]] [[신길역]] 개통
+
* [[1980년]] [[2월 10일]]: [[경부선]] [[석수역]] / [[경원선]] [[회기역]] / [[경인선]] [[백운역]],[[석계역]] [[신길역]] 개통
 +
* [[1980년]] [[3월 10일]]: [[경원선]] [[서빙고역]], [[회기역]], [[옥수역]] 개통 ([[서울 지하철 3호선]] [[환승역]])
 
* [[1980년]] [[7월 10일]]: 성수역을 [[응봉역]]으로 개칭
 
* [[1980년]] [[7월 10일]]: 성수역을 [[응봉역]]으로 개칭
* [[1981년]] [[12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 - [[수원역]] 간 [[복복선]] 개통
+
* [[1981년]] [[12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 - [[수원역]] 간 [[복복선]] 개통
 
* [[1982년]] [[9월 25일]]: 수원 - 서울 직통열차 신설
 
* [[1982년]] [[9월 25일]]: 수원 - 서울 직통열차 신설
 
* [[1983년]] [[6월 30일]]: 시청앞역을 [[시청역]]으로 개칭
 
* [[1983년]] [[6월 30일]]: 시청앞역을 [[시청역]]으로 개칭
 
* [[1984년]] [[1월 1일]]: 율전역을 성대앞역으로 개칭
 
* [[1984년]] [[1월 1일]]: 율전역을 성대앞역으로 개칭
 
* [[1985년]] [[1월 24일]]: 서울역앞역을 [[서울역]]으로 개칭
 
* [[1985년]] [[1월 24일]]: 서울역앞역을 [[서울역]]으로 개칭
* [[1985년]] [[8월 22일]]: 경원선 [[광운대역]] - [[창동역|창동]] 구간 개통과 함께 경원선 [[창동역]]에서 [[서울 지하철 4호선]] 환승 개시
+
* [[1985년]] [[8월 22일]]: [[경원선]] [[광운대역]]-[[의정부역]] 및 경인선 [[온수(성공회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경원선]] [[창동역]]에서 [[서울 지하철 4호선]] 환승 개시
* [[1985년]] [[10월 18일]]: 경원선 [[옥수역]] 개통 ([[서울 지하철 3호선]] [[환승역]])
+
* [[1986년]] [[7월 12일]]: [[경원선]] [[의정부역|의정부~]][[가능역]] 경인선 [[중동역]], [[부개역]], [[도화역]] 구간 개통
* [[1986년]] [[9월 2일]]: 경원선 [[창동역]] - [[의정부역]] 구간 연장 개통
+
* [[1989년]] [[10월 25일]]: [[경부선]]·[[안산선]] [[금정역]] 개통 → [[#안산역 착발|안산선 직결 운행 계통]] 운행 개시
* [[1987년]] [[10월 5일]]: 경원선 [[가능역]] 개통
+
* [[1991년]] [[11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 - [[구로역]] 간 3복선 개통, 영등포-주안 간 반복 열차 투입
* [[1987년]] [[12월 31일]]: 경인선 [[중동역]] 개통
 
* [[1988년]] [[1월 16일]]: 경인선 [[온수역]] 개통
 
* [[1989년]] [[10월 25일]]: 경부선·[[안산선]] [[금정역]] 개통 → [[#안산역 착발|안산선 직결 운행 계통]] 운행 개시
 
* [[1991년]] [[11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 - [[구로역]] 간 3복선 개통, 영등포-주안 간 반복 열차 투입
 
 
* [[1994년]]: 경부선 [[서울역]] - [[영등포역]] 간 3복선 개통, 영등포발 주안행에서 용산발 주안행으로 전환
 
* [[1994년]]: 경부선 [[서울역]] - [[영등포역]] 간 3복선 개통, 영등포발 주안행에서 용산발 주안행으로 전환
* [[1994년]] [[7월 11일]]: 경인선 [[간석역]], [[도원역]] 개통
+
* [[1994년]] [[7월 11일]]: [[경인선]] [[간석역]], [[도원역]] 개통
* [[1995년]] [[2월 16일]]: 경인선 [[구일역]] 개통
+
* [[1996년]] [[3월 28일]]: [[경부선]] [[독산역]] 개통
* [[1996년]] [[3월 28일]]: 경부선 [[독산역]] / 경인선 [[부개역]] 개통
+
* [[1996년]] [[9월 20일]]: [[경원선]] [[도봉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 개시
* [[1996년]] [[10월 11일]]: 경원선 [[도봉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 개시
+
* [[1997년]] [[4월 30일]]: [[경인선]] [[소사역]], 경부선 [[신길역]]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1997년]] [[4월 30일]]: 경인선 [[소사역]], 경부선 [[신길역]]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 [[1999년]] [[1월 29일]]: [[경인선]] [[구로역]] - [[부평역]]간 복복선 개통, 용산-주안 보통에서 용산-부평 직통으로 변경
* [[1999년]] [[1월 29일]]: 경인선 [[구로역]] - [[부평역]]간 복복선 개통, 용산-주안 보통에서 용산-부평 직통으로 변경
+
* [[2000년]] [[2월 29일]]: [[경인선]] [[온수(성공회대입구)역|온수(성공회대입구)~]][[건대입구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 개시
* [[2000년]] [[2월 29일]]: 경인선 [[온수(성공회대입구)역|온수(성공회대입구)~]][[건대입구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 개시
 
 
* [[2000년]] [[5월 1일]]: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명칭 통합 정책에 의해 기존 국철 구간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안내 명칭이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변경됨
 
* [[2000년]] [[5월 1일]]: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명칭 통합 정책에 의해 기존 국철 구간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안내 명칭이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변경됨
* [[2001년]] [[11월 30일]]: 경인선 [[도화역]] 개통
+
* [[2002년]] [[3월 15일]]: [[경인선]] [[부평역]] - [[주안역]]간 복복선 개통, 기존 용산발 부평역직통에서 주안역직통(급행)으로 변경
* [[2002년]] [[3월 15일]]: 경인선 [[부평역]] - [[주안역]]간 복복선 개통, 기존 용산발 부평역직통에서 주안역직통(급행)으로 변경
+
*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역]] - [[병점역]] 구간 연장 개통, [[안산선]]이 [[수도권 전철 4호선]]의 단일 운행 구간으로 독립 및 안산-경부선 직결 노선 열차 운행 폐지
*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역]] - [[병점역]] 구간 연장 개통, [[안산선]]이 [[수도권 전철 4호선]]의 단일 운행 구간으로 독립 및 안산-경부선 직결 노선 열차 운행 폐지
+
* [[2003년]] [[7월 30일]]: [[경부선]] [[영등포역]]의 선로에 떨어진 승객을 구하려던 [[김행균]] [[2003년 4월]]부터 당시 열차운용과장(현재 퇴직)이 승객을 구하고 대신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
* [[2003년]] [[7월 30일]]: 경부선 [[영등포역]]의 선로에 떨어진 승객을 구하려던 [[김행균]] [[2003년 4월]]부터 당시 열차운용과장(현재 퇴직)이 승객을 구하고 대신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
 
 
* [[2004년]] [[6월 25일]]: 기존 [[남부화물기지선]] [[의왕(한국교통대)역]]을 [[오봉역]]으로, 부곡역을 [[의왕역]]으로 각각 역명 변경됨
 
* [[2004년]] [[6월 25일]]: 기존 [[남부화물기지선]] [[의왕(한국교통대)역]]을 [[오봉역]]으로, 부곡역을 [[의왕역]]으로 각각 역명 변경됨
 
*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역]] - [[천안역]] 및 [[부성역]], [[진위역]], [[평택지제역]], [[세마역]] 구간 연장 개통(오산대역 제외)
 
*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역]] - [[천안역]] 및 [[부성역]], [[진위역]], [[평택지제역]], [[세마역]] 구간 연장 개통(오산대역 제외)
 
* [[2005년]] [[7월 1일]]: 가리봉역을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역]]으로 역명 변경
 
* [[2005년]] [[7월 1일]]: 가리봉역을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역]]으로 역명 변경
* [[2005년]] [[12월 16일]] 경원선 [[용산역]] - [[회기역]] 구간이 1호선(국철)에서 분리돼 [[수도권 전철 중앙선|용산-덕소선]](현 경의중앙선)이 됨, 동시에 [[병점역]] 시종착 전동차가 지하 [[청량리역]]에서 [[광운대역|성북역]]까지 연장 운행 개시
+
* [[2005년]] [[12월 16일]] [[경원선]] [[용산역]] - [[회기역]] 구간이 1호선(국철)에서 분리돼 [[수도권 전철 중앙선|용산-덕소선]](현 경의중앙선)이 됨, 동시에 [[병점역]] 시종착 전동차가 지하 [[청량리역]]에서 [[광운대역|성북역]]까지 연장 운행 개시
* [[2005년]] [[12월 21일]]: 경인선 [[주안역]] - [[동인천역]] 간 복복선 개통,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과 [[서울 지하철 6호선]] 간 환승 개통, [[용산역]] 시종착 급행열차를 [[주안역]]에서 [[동인천역]]으로 연장운행
+
* [[2005년]] [[12월 21일]]: [[경인선]] [[주안역]] - [[동인천역]] 간 복복선 개통,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과 [[서울 지하철 6호선]] 간 환승 개통, [[용산역]] 시종착 급행열차를 [[주안역]]에서 [[동인천역]]으로 연장운행
 
* [[2005년]] [[12월 27일]]: 경부선 [[세마역]], [[오산대역]] 개통
 
* [[2005년]] [[12월 27일]]: 경부선 [[세마역]], [[오산대역]] 개통
 
* [[2006년]] [[6월 30일]]: 경부선 [[진위역]], [[평택지제역]] 개통
 
* [[2006년]] [[6월 30일]]: 경부선 [[진위역]], [[평택지제역]] 개통

2025년 1월 13일 (월) 16:03 판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電鐵一號線)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연천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란 명칭은 이들 노선에서 운행된 열차에 대한 통합된 명칭이다. 안내 등에 사용된 노선 색은 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거리를 운행한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이 좌측통행이다.

1974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주도로 서울역 - 청량리 구간의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함과 동시에 철도청 소유의 철도 노선인 경원선, 경부선경인선에도 통근형 전동차 운행이 시작됐다. 곧이어 둘은 서로 직결 운행을 하게 돼, 수원시인천시(현재의 인천광역시)에서도 수도권 전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준으로 해,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영등포역 등을 비롯한 서울의 부도심과 부평역, 동인천역인천광역시의 도심과 부도심, 그리고 안양역, 수원역, 서동탄역, 평택역 등의 근교 지역을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까지 연결해, 현재 수도권 전철에서 제일 긴 구간을 운행한다. 또 대한민국에서 통근 전철 구간과 도시 철도 구간이 직결 운행하는 최초의 운행 계통이다.

초창기엔 간단하게 수도권 전철(首都圈 電鐵) 혹은 국철(國鐵, Korea Nat'l Railroad)로 불렸으며 남색을 안내에 사용했다. 1978년 11월 9일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이 전철화되면서 용산 - 광운대역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1988년 10월 25일금정 - 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돼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청량리안산행이었으나 이후 구로안산노량진으로 변경됐다.

2000년에 이름을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바꾸고 여객 안내에서 더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구별하지 않고, 그 후로는 노선을 구별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거의 같은 노선 취급을 받으나,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여객 안내를 제외하고는 아직도 노선별로 명칭을 다르게 쓴 경우가 있다. 2003년 4월 30일에는 경부선 수원역에서 병점역까지 전철 연장 개통과 함께 1호선 전동차안산선 직결 운행은 중단됐으며 2005년 12월 16일회기역에서 국수역까지 중앙선 전철이 별개로 개통돼 용산~국수 간 상호 직결 운행개시, 이로서 경원선 용산 - 광운대역) 구간의 운행은 중단됐다.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한신대)역에서 천안역까지 및 부성역 연장 개통됐고, 2006년 12월 15일경원선 의정부북부역에서 소요산역까지 및 회천중앙역 연장 개통됐으며, 2008년 12월 15일장항선 복선전철 구간에 포함된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 및 탕정역 연장 개통되으며, 북쪽 구간으로 동두천역 ~ 연천역 구간을 2023년 12월 16일 단선으로 연장 개통됐다. 연천역으로 노선이 연장되면서 수도권 전철 최초로 수복지구에 진입한 노선이 됐다.

연혁

운영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제외한 철도 노선들의 소유 기관은 대한민국 정부이며, 국가철도공단의 관리를 받아 운행 계통의 영업 및 운영 권한은 한국철도공사가 소유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도 일부 관리에 참여하나, 제약이 많이 수반된다. 그 예로 운영 계획 및 차량 시간표는 대부분 한국철도공사에서 수립·관리하며, 운행 차량 비율은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보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 10배 이상 많고, 또한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보다는 한국철도공사의 소속 차량의 운행 거리가 많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점유하고 있다.

열차의 운행 횟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는 약 96회,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는 약 454회이다.

경유 노선 목록

노선명 역 번호 하행 기점 상행 기점 소유자 관리자 운영자
경원선 100-1~100-3,100 ~ 123 연천역 회기역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서울 지하철 1호선 124 ~ 133 청량리역 서울역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교통공사
경부선 134 ~ 141
P142 ~ P168
남영역
가산디지털단지역
구로역
두정역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경인선 141 ~ 161 구로역 인천역
천안직결선 P168, P169 두정역 천안역
장항선 P169 ~ P177 천안역 신창역
병점기지선 P157
P157-1
병점역 서동탄역
시흥연결선
경부고속선
P144
P144-1
금천구청역 광명역

완행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운행 구간은 양주역~인천역 · 의정부역~서동탄역이다.

경인·경원선 계통

파일:Soyosan-S1-S.JPG
소요산역에서 대기한 전동차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경부·장항선 계통

영등포-광명간 셔틀 전철

파일:KORAIL EMU319000.jpg
광명역에서 대기중인 영등포행 열차

한강 이남 지역에서 KTX 광명역으로 접근하기 쉽도록 운행되고 있다. 2006년 12월 15일 개통 당시에는 10량 1편성으로 구성됐고, 배차 간격은 약 30분으로 용산 - 광명 간 모든 역에 정차하는 운행 계통이었다. 이용 승객 저조로 2008년 12월 1일부터 영등포 - 광명으로 구간을 단축운행하고 전동차 편성도 4량으로 감축했다. 영등포 - 구로 구간에서는 경인 급행 선로를, 구로 - 금천구청 구간에서는 기존 경부 2선을, 금천구청역에서는 경부고속선을 따라 운행한다. 또한 하행 셔틀 전철은 공무수행 중인 대통령 전용열차를 제외하면 최우선 순위로 운행하는데 이는 고속철도 열차 접속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급행

크게 다음 3개의 계통으로 나뉘며 모두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 · 운영한다.

용산 - 동인천

{{#invoke:Labelled list hatnote|labelledList|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청량리 - 천안·신창

파일:20230923 312000호대.jpg
천안역에서 출발하는 전동열차

용산 - 천안 급행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2012년 11월부터 평일에 한해 용산-병점 간 운행편성이 추가됐으며, 2016년 12월 9일부터 평일에 한해 일부 열차가 신창(순천향대)역까지 연장됐다. 2019년 12월 30일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됐고 운행 횟수가 증가했다. 금정역성균관대역, 그리고 서울역 급행의 폐지를 보완하기 위해 일부 시간대에 금천구청역과 의왕역에 추가 정차하게 됐다.

전 구간 완행과 운행 선로를 공유하며, 개편 이전은 용산 - 안양과 수원 - 두정 구간에서 경부2선, 안양 - 수원 구간에서 경부1선을 이용해 용산 - 구로 구간에서는 경인선 급행과, 안양 - 수원 구간에서는 일반열차와, 나머지 구간에서는 완행과 운행 선로를 공유했다.

서울역 - 천안·신창

  • 이 열차의 시초는 1982년 9월 25일부터 운행한 서울-수원 출퇴근 직통열차로, 서울역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한 중에 중간정차는 안양역에만 정차했다. 개통 초창기에는 수원→서울 편도로 출근 시간 3회 운행했으며, 같은 해 10월 20일에 서울→수원 노선 또한 퇴근 시간 3회로 운행을 개시했다. 이후 시흥역, 군포역, 부곡역1999년에 여객열차 영업을 중단하면서 이 역들에 대신 직통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고, 그 후 성균관대역에도 급행 열차가 정차하게 됐다. 안양역 민자역사 공사 기간동안 관악역에 대신 임시 정차한 이력이 있다. 2003년 11월 서울역 신축에 따라 1·4호선 승강장과 급행 승강장을 승차권 재구입 없이 오갈 수 있게 됐다. 기존은 서울역에서 승차권 재구입이 필요했기 때문에 영등포역 하차로 완행을 이용할 것을 유도했다.
  • 평일 출근 시간대에 서울행 3회와 신창행 1회, 평일 퇴근 시간대에 신창행 2회가 운행하며, 2010년 4월 1일부터 2011년 10월 4일까지 일요일공휴일에도 운행을 확대한 이력이 있었다. 영등포역은 모든 상행 열차만 정차하며, 지상 서울역 2번 승강장과 천안역 8번 승강장에서 출발했다. 이때 신창발 차량은 한국철도공사의 지상 서울역 승강장으로 진입하며, 서울역발 차량 역시 지상 서울역 승강장에서 출발하였다. 지상 승강장은 지하 서울역과는 전철 무료 환승통로로 연결돼 있어 완행 전동차나 수도권 전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와도 문제 없이 환승할 수 있었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엔 신창 급행, 서울 급행으로 표시된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자체적으로 ‘B급행’이라고 부르며, 노선도 상의 색상에서 따온 ‘초록 급행’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했었다. 서울 - 수원 구간에서 경부선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의 선로인 경부1선을 공유했었다.
  • 2019년 12월 30일에 용산-천안, 신창 급행이 청량리로 연장됨에 따라 폐지됐으나, 이로 인한 불편이 제기되어 2020년 1월 8일 병점 출발 서울 행 2회가 임시로 운행을 시작했고, 같은 달 28일 천안 출발 서울 행으로 전환과 동시에 저녁 시간 서울 출발 천안 행이 1회 추가되었다.
  • 2021년 7월 현재 천안 출발 서울 행 1회, 신창 출발 서울 행 1회, 서울 출발 천안 행 1회가 운행 중이다.
  • 신창 - (각역정차) - 천안 - 두정 - 성환 - 평택 - 서정리 - 오산 - 병점 - 수원 - 성균관대 - 의왕 - 군포 - 안양 - 금천구청 - (영등포) - 서울역

동두천 - 인천 급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