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노드(work node)는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크기에 따라 풀노드(full node)와 라이트노드(light node)로 구별한다.
종류
- 풀노드(full node) : 풀노드란 블록체인을 통째로 다운받은 개체로 네트워크의 모든 규칙에 통달한 노드이다. 모든 블록체인의 이체내역, 퍼블릭 키, 해시 등등 필요한 모든 것을 저장하고 이를 통해 확실하게 기록 검증이 가능하다. 자신의 PC에 전부 받아놨기 때문에 다른 노드의 도움 없이 스스로 거래 검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용량이라는 단점이 있다. 잔고 확인할 때는 블록체인을 받을 때 최종적으로 돈이 들어 있는 계좌(UTXO)들을 블록체인이 아니라 훨씬 빠르게 찾는 데이터베이스에다가 모아둬서 금방 찾을 수 있다.
- 라이트노드(light node) : 라이트노드란 이체 내역의 검증만 가능한 블록헤더만 저장한 노드로 풀도는 대용량 문제로 그 이후에 나온 풀노드가 아니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머클트리형식의 해시 함수에서 가장 맨 위에 하나의 도출된 해시값을 라이트노드가 검증하며 이를 라이트웨이트 SPV(Simple payment verification), 단순지불검증 노드라 한다. 거래 데이터의 값이 바뀌면 마지막 해시값도 바뀌게 되어 맨 위 하나의 해시값만 검증해도 신뢰성이 보증된다. 가볍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벼운 만큼 블록체인의 거래데이터가 없기에 다른 풀노드들에게 자료를 요청해야만 거래 진행이 가능하다. 라이트노드는 잔고 확인 문제가 있다. 다른 풀노드에게서 데이터를 받아서 검증을 해야 되고 다른 노드를 의지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제대로 된 데이터가 날아오느냐의 문제와 악의적 노드가 가짜를 날리면 구분할 방법이 없으며 잘못된 거래를 발송 시 다른 노드들이 자꾸 취소시켜버려서 거래지연이 발생하기도 한다.
채굴자가 악의로 전송 내역을 조작한 블록을 네트워크에 전파할 경우 전송 내역이 조작되었다는 것을 풀노드는 금새 알아차릴 수 있으나 라이트노드는 알 수 없다. 풀노드를 운영하는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채굴을 안할 경우, 풀노드를 운영하는 유지비를 감당할 보상도 지급되지 않으며, 이 때문에 비트코인의 풀노드들은 대부분 채굴을 위한 풀노드들이지 개인 이용자가 사용하는 노드가 아니다. 네트워크를 이루는 소규모 구성원들의 대부분은 라이트노드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활용
심버스
심버스(SymVerse)는 '함께(together)'를 의미하는 접두어인 Sym과 '상호작용(interact)'이라는 의미의 접미어 Verse가 결합한 신조어로 '모든 사람이 도우며 산다'는 공생의 뜻을 담았다. 심버스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며, 심버스에서 발행하는 코인은 SYM이다. 심버스의 분배는 소비자에게 60% 그리고 공급자에게 40%를 배분한다. PoN 기여도 즉, Proof of Network의 기여도는 55% 수수료 기여도는 40%를 배분한다. 소비자 60% 중 PoN 기여도에서 지갑노드에 15%, 수수료 기여도에서 디앱(DApp) 30% 지갑노드 15%를 차지한다. 또한 공급자간 배분을 살펴보면 20%는 작업노드들에게 배분하고, 10%는 보증노드 중 A 그룹에 3.3%, B그룹에 6.7%를 배분한다. citizen alliance와 각종 공공서비스 노드에게 10%를 배정되며 지속해서 확장되는 CA노드 및 공공서비스 노드에 지급된다. 합의과정에 참여한 작업노드와 지갑노드들은 각각의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PoN 참여대가를 분배받는다. 작업노드의 대가분배는 자신이 검증하여 보증노드에게 전송한 지갑노드와 작업노드의 거래처리 횟수를 기준으로 한다. 심버스에 대해 자세히 보기
심넷(Symnet)
심넷은 동일기능에서 다양한 기능으로 진화하는 미래지향적 분산네트워크이다.
- 거래처리 : 계정을 가진 지갑노드는 항상 블록체인과 연결된 작업노드를 통하여 거래를 처리한다. 작업노드 리스트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며 지갑노드의 모든 통신은 3개의 작업노드와 접속하여 처리된다. 만약 특정 작업노드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른 작업노드를 선택하게 된다. 작업노드는 지갑노드로부터 받은 거래를 처리하여 이를 서로 다른 그룹인 두 개의 보증노드에게 전달한다. 보증노드는 각각의 거래 내역을 모든 보증노드에게 전달한다. 거래내역이 공유된 후, 이는 합의과정의 결과로 블록에 기록되며 새로운 블록은 체인에 연결된다.
비트코인]]
비트코인(bitcoin)은 중앙은행, 금융회사, 정부 등 어느 중앙 집중된 권력의 개입과 통제 없이 작동하는 새로운 유형의 가상화폐이다. 완전한 익명으로 컴퓨터, 인터넷만 가능하면 누구나 비트코인 계좌를 개설하고 거래가 가능하다. 즉, 인터넷에서만 생성되고 존재하는 비트코인은 형태, 모습, 냄새가 존재하지 않는 무형화폐이다. 비트코인의 채굴 대부분이 이루어지는 곳은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북미와 유럽에는 비트코인 노드가 집중되어 있다. 특히, 독일은 북미와 마찬가지로 비트코인과 지출 및 네트워크와 관련된 비트코인 노드가 가장 많이 분포된 지역 중 하나다. 암호화폐 통계 사이트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노드는 전 세계 적으로 독일에 다섯 번째로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 10,164개의 노드(풀노드)가 전 세계에 흩어져 있었으며 대략 19%가 독일에 있다. 미국에는 2,495개의 작업노드가 있으며 총 24.5%의 작업노드가 있다. 프랑스는 세 번째로 1/6 정도의 노드가 운영되고 있다. 비트코인에 대해 자세히 보기
각주
참고자료
- 〈SymVerse : Better World〉, 《심버스 백서》, 2018-10
- 동승, 〈풀노드vs라이트노드vs마스터노드〉, 《네이버 블로그》, 2018-01-15
- 식스동,〈심버스(SYM) 국산코인 전망과 블록체인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9-04-20
- cointoday,〈비트코인 노드 중 20% 가량이 독일에서 운영〉, 《코인투데이》, 2019-01-24
- jruit,〈비트코인(Bitcoin)이란 무엇인가?〉, 《스팀잇》, 2017-07-13
같이 보기
이 작업노드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술 □■⊕, 합의 알고리즘, 암호 알고리즘, 알고리즘,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솔루션, 블록체인 서비스
|
|
블록체인 기술
|
Bech32 • BTP • DRC-20 • EIP • IPFS • KRC-20 • NFT 마켓플레이스 • P2P • P2PKH • P2SH • PFP • PUF • SPV • TPS • TRC-20 • UTXO • 가나슈 • 가명성 • 가스 • 가십 • 가십 프로토콜 • 개념증명(PoC) • 검증가능지연함수(VDF) • 게스 • 고스트 프로토콜 • 공공예산 • 글로벌신뢰인공지능 • 대체가능토큰 • 대체불가토큰(NFT) • 도지더리움 브릿지 • 디지털 자산 • 디지털 희소성 • 라운드 • 라운드 로빈 • 라이트하우스 • 랜덤 • 레그테크 • 레이든 • 리카르디안 계약 • 린스타트업 • 마스터키 • 마스트 • 메인넷 • 멜팅 • 믹싱 • 민팅 • 밈블윔블 • 반감기 • 베타넷 • 변경불가성 • 브릿지 • 블록체인 생태계 •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aaS) • 블룸필터 • 비블록체인 • 비앱 • 비콘체인 • 비트코인코어 • 빤통경제 • 수정 고스트 프로토콜 • 스냅샷 • 스마트 계약 • 스마트 브리지 • 스웜프로토콜 • 스크립트퍼브키 • 스테이킹 • 스텔스 주소 • 스핀오프코인 • 슬래싱 • 시크릿 컨트랙트 • 심플 컨트랙트 • 아토믹스왑 • 암호경제(크립토 이코노미) • 앤드어스체인인공지능 • 앵커링 • 언스테이킹 • 에어드랍 • 에폭 • 오프체인 오더락 • 오피리턴 • 옵코드 • 원토큰 문제 • 웨이 • 위스퍼 프로토콜 • 위임 • 유니스왑 • 유동성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 이중지불 • 익명성 • 인증된 익명 아이디 • 인터레저 프로토콜(ILP) • 자산화 • 잠금 스크립트 • 최소기능제품(MVP) • 컨소시엄 블록체인 • 컬러드코인 • 코인셔플 • 코인소각 • 코인에이지 • 코인조인 • 코인토싱 • 크립토노트 • 키스토어 • 타임락 • 테스트넷 • 토다 • 토큰 이코노미 • 토큰화 • 튜링완전 • 튜링불완전 • 트랜잭션 아이디(TxID) • 트러스트 컨트랙트 • 트루빗 • 트릴레마 • 파워 • 파티셔닝 • 퍼블릭 블록체인 • 페널티 • 프라이버시 • 프라이빗 블록체인 • 플랫폼 • 플러딩 • 피어 • 피투피(P2P)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합의 • 해시락 • 해시타임락(HTLC) • 해제 스크립트 • 확장성
|
|
해시
|
레인보우 테이블 • 매핑 • 머클경로 • 머클루트 • 머클트리 • 분산해시테이블(DHT) • 블록해시 • 스큐드 머클트리 • 온라인툴즈 • 이전블록해시 • 카뎀리아 • 해시 • 해시레이트 • 해시맵 • 해시충돌 • 해시테이블 • 해시파워 • 해시함수 • 해싱
|
|
블록
|
고아블록 • 그래핀 • 논스 • 마이크로블록 • 베이킹 • 북키퍼 • 브랜치블록 • 브로드캐스팅 • 블록 • 블록높이 • 블록바디 • 블록생성자 • 블록정보 • 블록타임 • 블록헤더 • 비츠 • 세그윗 • 엉클블록 • 완결성 • 제네시스블록 • 타임스탬프 • 프룻 • 프룻체인
|
|
체인
|
더블체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 • 라이트닝 루프 • 루트체인 • 루프체인 • 메인체인 •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블록격자 • 블록체인 • 사용자 활성화 소프트포크(UASF) • 사용자 활성화 하드포크(UAHF) • 사이드체인 • 서브체인 • 소프트포크 • 오페라체인 • 오프체인 • 온체인 • 인터체인 • 차일드체인 • 체인 • 탱글 • 테스트체인 • 토카막 네트워크 • 포크 • 포크체인 • 퓨어체인 • 프로덕트체인 • 프루닝 • 프리포크 • 플라즈마 알고리즘 • 플라즈마캐시 • 플래시 계층 • 하드포크 • 해시그래프 • 홀로체인
|
|
노드
|
검증인(밸리데이터) • 기본노드 • 노드 • 라이트노드 • 랜덤노드 • 마스터노드 • 베이킹노드 • 보조노드 • 보증노드 • 슈퍼노드(슈퍼대표, 대표노드) • 슬롯 • 슬롯리더 • 엔드포인트노드(레인저노드) • 의회 네트워크 • 작업노드 • 종단노드 • 종자노드(시드노드) • 중계노드 • 지갑노드 • 채굴노드(마이닝노드) • 쿼럼 • 풀노드 • 합의노드
|
|
샤딩
|
네트워크 샤딩 • 데이터베이스 샤딩 • 동적샤딩 • 샤드 • 샤딩 • 스테이트 샤딩 • 알고리즘 샤딩 • 적응형 상태 샤딩 • 체인샤딩 • 트랜잭션 샤딩
|
|
채굴
|
병합채굴 • 사전채굴 • 에이식(ASIC) • 에이식부스트 • 에이식 저항 • 일드파밍 • 채굴 • 채굴 난이도 • 채굴량 • 탄소감축채굴 • 페어런치
|
|
탈중앙화
|
TVL • 거버넌스 • 게임파이 • 다오(DAO) • 다이코(DAICO) • 닥(DAC) • 닥스(DAX) • 덱스(DEX) • 디앱(DApp) • 디지오(DGO) • 디튜브 • 디파이(DeFi) • 분산경제 • 분산원장(DLT) • 분산 클라우드 • 소셜파이 • 씨파이(C-Fi) • 오프체인 거버넌스 • 온체인 거버넌스 • 원장 • 준중앙화 • 중앙화 • 탈중앙화 • 탈중앙화 TPS • 탈중앙화 조직(DO) • 탈중앙화 지수(DQ)
|
|
분산아이디
|
DIDs • IETF • ToIP • 검증가능한 자격증명 • 검증인 • 디지털아이덴티티재단 • 발급자 • 보유자 • 분산아이디(DID) • 분산아이디 기관 • 분산아이디 인증(DID Auth) • 아이온 • 자기주권 • 자기주권신원 • 최소화된 자격증명 데이터 • 탈중앙화 키관리시스템 • 통합해석기
|
|
오라클
|
상호인증 블록체인 • 오라클 • 오라클 머신 • 오라클 문제 • 오라클 서비스 • 중간자
|
|
BIP
|
BIP • BIP9 • BIP16 • BIP32 • BIP39 • BIP43 • BIP44 • BIP47 • BIP49 • BIP63 • BIP70 • BIP84 • BIP141 • BIP148
|
|
ERC
|
ERC • ERC-20 • ERC-165 • ERC-223 • ERC-621 • ERC-721 • ERC-777 • ERC-827 • ERC-884 • ERC-998 • ERC-1155 • ERC-1404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