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7 스위치
L7 스위치(Layer 7 Swtich)는 네트워크 보안 장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L5와 L6이 L7 스위치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패킷을 분석해서 어떤 데이터인지 알 수 있는 스위치로 웹 방화벽, 보안 스위치가 여기에 포함된다.
개요[편집]
L7 스위치는 OSI의 7레이어 즉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이메일의 제목이나 문자열을 보고 내용을 파악한다거나 HTTP의 URL 또는 FTP의 파일명, 쿠키 정보, 특정 바이러스의 패턴 등을 분석해서 보안에 더욱 유리하고 더욱 정교한 로드 밸런싱이 가능해진다. L7 스위치는 쉽게 말해 마케팅 용어라고 볼 수 있다.[1]
특징[편집]
이메일의 제목이나 문자열을 보고 내용을 파악한다거나 HTTP의 URL, FTP의 파일명, 쿠키 정보, 특정 바이러스의 패턴 등을 분석해서 보안에 더욱 유리하고 더욱 정교한 로드밸런싱이 가능해진다.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데이터를 모두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고 단지 패킷의 내용을 조금 더 참고하여 약간 인텔리전트 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 것뿐으로 L7 스위치는 마케팅 용어라고 볼 수 있다.[2] L7 스위치는 통상적인 L4 스위치의 연장선상에서 출발했지만 L4 스위치가 처리할 수 없는 일들을 수행한다. L4 스위치는 Layer 4까지의 정보만 참조하기 때문에 패킷의 내용을 봐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많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사내 방화벽이나 ISP의 캐시서버를 경유하여 서버로 들어오기 때문에 이들 사용자를 IP나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패킷의 정보를 살펴보지 않는다면 사용자별로 차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사용자의 IP가 수시로 바뀌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L7 스위치에서는 기존 L4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킷의 IP/Port 정보만이 아니라 패킷의 URL 정보, 쿠키 정보, 페이로드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검사해 사용자별로 연속적이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L7 스위치가 기존 L4 스위치와 차별화되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L4 스위치가 Layer 4 정보(TCP/UDP port)를 바탕으로 패킷을 분류하고 원하는 서버나 장비로 전송하는 반면 L7 스위치는 패킷의 내용을 보고 이를 바탕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다. L7 스위치가 패킷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서버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클라이언트와 L7 스위치 사이에 TCP 3-way handshake 과정을 거쳐야 하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 패킷을 받아서 이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빠른 패킷 전송을 위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측에 맺은 연결을 서로 적절히 관계시켜야 하는 것이다. L7 스위치가 가져야 하는 중요한 특징들은 총 두 가지로 클라이언트 및 서버와의 연결관리 능력과 Layer7 수준의 패킷 분석 능력 등이다.[3]
- L4 스위치와 L7 스위치 비교[4]
항목 L4 스위칭 L7 스위칭 목적 4계층 로드 밸런싱 및 HA 지원 콘텐츠 기반 로드밸런싱 및 HA 지원 특징 포트 기반 필터링, 미러링, 로드밸런싱 등 L4 스위치 기능 + 콘텐츠 기반 제어 주요 성능 동시 연결 수, 처리용량, 임계치 동시 연결 수, 처리용량, 임계치 L2/L3 기능 스위칭 및 라우팅 지원 스위칭 및 라우팅 지원 보안 기능 L2 ~ L4 기반(ACL 등) 보안 기능 콘텐츠 기반 필터링 안티바이러스 활용 사례 SLB, FWLB, VPNLB L4 스위치 기능 + URL기반 LB, 필터링
기능[편집]
L7 스위치의 주요 기능은 총 4가지가 있다. 첫째, IP 헤더 및 페이로드 등 패킷을 분석하는 전송제어. 둘째, HTTP URL 등 콘텐츠 내용 기반 부하 분산이 가능한 로드 밸런싱. 셋째, 세션별, 유저별, 애플리케이션별 대역 관리가 가능한 QoS와 마지막으로 응용 프로그램 수준의 트래픽 감시, 통제가 가능한 모니터링 기능이 있다.[5]
향후 전망[편집]
L7 스위치를 생산하고 있는 대표적인 업체로는 시스코, 노텔, 라드웨어, 파운드리, F5 등이 있고, 국내에서는 파이오링크가 Pinkbox 3000/4000을 출시하고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하여 경쟁하고 있다. 최근 한국 IDC는 오는 2005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콘텐츠 네트워킹 시장의 46%를 L7 스위치가 점유하며 총 36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또 국내에서도 2005년에는 1천억 원 규모를 훌쩍 뛰어넘는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많은 업체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새로운 네트워크 서비스가 나올 때마다 새 장비를 구입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기 때문에, L7 스위치는 모듈 추가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쉽게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효용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L7 스위치는 Layer 7까지의 정보 분석을 통한 강력한 세션 관리능력과 스위치로서의 패킷전송 능력을 바탕으로 인터넷 트래픽 관리 분야에서 핵심장비로 자리 잡을 것이다. 인터넷 트래픽 관리 분야가 각종 기능(부하 분산, QoS, 프로토콜 가속 기술)들의 통합, 보안 기능의 강화, 기가급의 고성능 패킷 처리, 네트워크 관리의 편의성 및 활용성 증대, 고가용성 및 높은 투자수익률(ROI) 달성 등의 목표로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의 발전방향이 맞춰질 것이며, 이 과정에서 L7 스위치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3]
각주[편집]
- ↑ 〈L2, L3, L4, L7 스위치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18-08-08
- ↑ AwesomeH, 〈내가 정리한 네트워크 스위치(switch)L2~L7〉, 《네이버 블로그》, 2019-11-01
- ↑ 3.0 3.1 불량소금, 〈L7스위치-기술동향과-발전방향〉, 《티스토리》, 2008-11-02
- ↑ 도리, 〈L4 스위치와 L7 스위치 비교〉, 《티스토리》, 2018-12-04
- ↑ 〈L7 스위치〉, 《IT위키》
참고자료[편집]
- 〈L2, L3, L4, L7 스위치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18-08-08
- AwesomeH, 〈내가 정리한 네트워크 스위치(switch)L2~L7〉, 《네이버 블로그》, 2019-11-01
- 불량소금, 〈L7스위치-기술동향과-발전방향〉, 《티스토리》, 2008-11-02
- 도리, 〈L4 스위치와 L7 스위치 비교〉, 《티스토리》, 2018-12-04
- 〈L7 스위치〉, 《IT위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