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블록체인)
9번째 줄: 9번째 줄:
 
* '''중국 CCID, 2018 블록체인 TOP10 선정''' : 중국 공신부 산하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가 2018년 퍼블릭 [[블록체인]] 10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 5월부터 매달 발표한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를 종합해 전문가 자문을 거친 것이다. CCID는 전 세계 34개 주요 퍼블릭 블록체인을 대상으로 기술 혁신과 응용의 시각에서 '기초기술(Bsic-Tech)', '응용성(Applicability)', '혁신성(Creativity)' 영역을 평가했다. 각각 65%, 20%, 15%의 비중으로 점수를 매겨 순위를 정했다. CCID의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는 지난해 총 8회 발표했다.  
 
* '''중국 CCID, 2018 블록체인 TOP10 선정''' : 중국 공신부 산하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가 2018년 퍼블릭 [[블록체인]] 10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 5월부터 매달 발표한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를 종합해 전문가 자문을 거친 것이다. CCID는 전 세계 34개 주요 퍼블릭 블록체인을 대상으로 기술 혁신과 응용의 시각에서 '기초기술(Bsic-Tech)', '응용성(Applicability)', '혁신성(Creativity)' 영역을 평가했다. 각각 65%, 20%, 15%의 비중으로 점수를 매겨 순위를 정했다. CCID의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는 지난해 총 8회 발표했다.  
 
** '''블록체인 발전을 견인하는 '기초기술'''' : 기초기술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배치되고 집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블록체인의 발전을 이끌고 있는 영역이다. CCID는 평가 대상 프로젝트의 기초기술에 대해 44.1%가 암호화폐 이체 등 기본적인 기능만 지원하고 26.5%는 디지털 자산의 저장, 거래, 공유 등 특화 기능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29.4%는 최근 2년간 새롭게 등장한 차세대 퍼블릭 블록체인을 지원한다. 최근에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상승하고 있다. 평가 대상의 17.6%가 개인 정보 보호 기술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있다.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트랜잭션]] 처리 속도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제외한 나머지는 이론적인 수치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EOS]]도 실측 결과 100만 [[TPS]]에 훨씬 못 미치는 4000TPS 정도다. 하루 평균 처리량이 8만 6400을 넘는 프로젝트도 29.4%에 불과했다. CCID는 이런 이유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상당수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CCID는 안전성을 퍼블릭 블록체인의 발전과 응용의 가장 중요한 전제라고 언급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술 혁신이 필요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CCID가 기초기술 영역에서 TOP 10으로 꼽은 퍼블릭 프로젝트는 순위와 상관없이 [[비트쉐어]](BitShares), 이오스(EOS), 이더리움(Ethereum), [[GX체인]](GXChain), [[네뷸러스]](Nebulas), [[네오]](NEO), [[온톨로지]](Ontology), [[리플]](Ripple), [[스팀]](Steem), [[스텔라]](Stellar)다.
 
** '''블록체인 발전을 견인하는 '기초기술'''' : 기초기술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배치되고 집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블록체인의 발전을 이끌고 있는 영역이다. CCID는 평가 대상 프로젝트의 기초기술에 대해 44.1%가 암호화폐 이체 등 기본적인 기능만 지원하고 26.5%는 디지털 자산의 저장, 거래, 공유 등 특화 기능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29.4%는 최근 2년간 새롭게 등장한 차세대 퍼블릭 블록체인을 지원한다. 최근에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상승하고 있다. 평가 대상의 17.6%가 개인 정보 보호 기술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있다.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트랜잭션]] 처리 속도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제외한 나머지는 이론적인 수치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EOS]]도 실측 결과 100만 [[TPS]]에 훨씬 못 미치는 4000TPS 정도다. 하루 평균 처리량이 8만 6400을 넘는 프로젝트도 29.4%에 불과했다. CCID는 이런 이유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상당수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CCID는 안전성을 퍼블릭 블록체인의 발전과 응용의 가장 중요한 전제라고 언급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술 혁신이 필요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CCID가 기초기술 영역에서 TOP 10으로 꼽은 퍼블릭 프로젝트는 순위와 상관없이 [[비트쉐어]](BitShares), 이오스(EOS), 이더리움(Ethereum), [[GX체인]](GXChain), [[네뷸러스]](Nebulas), [[네오]](NEO), [[온톨로지]](Ontology), [[리플]](Ripple), [[스팀]](Steem), [[스텔라]](Stellar)다.
** ''' 실제 앱을 지원하는 수준, '응용성'''' : 응용성 영역에서는 실제 앱을 지원하는 종합적인 수준을 평가하고 [[엔드포인트]] 배치, [[지갑]] 앱, 개발 지원 및 앱 구현을 포함한다. CCID는 특히 지갑에 대해 강조했다. 지갑은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가장 기본적인 앱이다. 사용자는 지갑을 통해 자산을 옮기고 자산 관리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CCID는 사용하기 쉬운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기초적인 앱을 추진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평가 대상인 프로젝트 1개당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지갑 수는 약 10개로 전체 사용 편의성은 5점 만점에 3.7점이었다. [[]]의 개발 지원 측면에서는 아쉬움을 피력했다. CCID는 "개발 지원에 대한 평균값은 30점 만점에 13.5점에 불과했다."며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전했다. CCID는 블록체인 기술의 빠른 진화와 함께 점차 일반인의 생활 속으로 스며들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지난해 나온 다수의 [[디앱]]은 활용도가 떨어지고 게임과 거래 등 적은 분야에만 국한돼 있지만 그 성장 잠재력은 충분히 인정받았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퍼블릭 블록체인과 댑(DApp)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기대감도 내비쳤다.
+
** ''' 실제 앱을 지원하는 수준, '응용성'''' : 응용성 영역에서는 실제 앱을 지원하는 종합적인 수준을 평가하고 엔드포인트 배치, [[지갑]] 앱, 개발 지원 및 앱 구현을 포함한다. CCID는 특히 지갑에 대해 강조했다. 지갑은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가장 기본적인 앱이다. 사용자는 지갑을 통해 자산을 옮기고 자산 관리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CCID는 사용하기 쉬운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기초적인 앱을 추진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평가 대상인 프로젝트 1개당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지갑 수는 약 10개로 전체 사용 편의성은 5점 만점에 3.7점이었다. [[디앱]](DApp)의 개발 지원 측면에서는 아쉬움을 피력했다. CCID는 "개발 지원에 대한 평균값은 30점 만점에 13.5점에 불과했다."며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전했다. CCID는 블록체인 기술의 빠른 진화와 함께 점차 일반인의 생활 속으로 스며들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지난해 나온 다수의 [[디앱]]은 활용도가 떨어지고 게임과 거래 등 적은 분야에만 국한돼 있지만 그 성장 잠재력은 충분히 인정받았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퍼블릭 블록체인과 디앱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기대감도 내비쳤다.
  
  

2019년 8월 16일 (금) 17:23 판

CCID 로고
CCID 로고와 글자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은 중국공업정보화부(中华人民共和国工业和信息化部)산하의 연구기관입니다.

개요

정부의 의사 결정과 소프트 과학 연구는 CCID 그룹의 브랜드 비즈니스 및 직무이며, 강력한 정부 자원과 풍부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CCID는 정부 부서와 기업에 관련 산업 및 정보 경제 정책을 제공하기 위해 장기적인 노력을 한다. 개발 전략, 개발 계획 및 타당성 조사와 같은 연구 개발 서비스는 다수의 주요 국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완료했으며 유익한 연구 결과를 달성했다. CCID 아래에는 산업화 리서치 센터와 정보 리서치 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센터에는 18개의 연구소가 있다. 정보 기술부의 다양한 부서에 의사 결정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산업 정보 기술부의 지적 지원 단위입니다. 또한 CCID 싱크 탱크는 관련 부처 및 위원회, 국가 개발 및 개혁 위원회 및 과학 기술부와 같은 지방 정부 및 기업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블록체인

  • 중국 CCID, 2018 블록체인 TOP10 선정 : 중국 공신부 산하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가 2018년 퍼블릭 블록체인 10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 5월부터 매달 발표한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를 종합해 전문가 자문을 거친 것이다. CCID는 전 세계 34개 주요 퍼블릭 블록체인을 대상으로 기술 혁신과 응용의 시각에서 '기초기술(Bsic-Tech)', '응용성(Applicability)', '혁신성(Creativity)' 영역을 평가했다. 각각 65%, 20%, 15%의 비중으로 점수를 매겨 순위를 정했다. CCID의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는 지난해 총 8회 발표했다.
    • 블록체인 발전을 견인하는 '기초기술' : 기초기술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배치되고 집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블록체인의 발전을 이끌고 있는 영역이다. CCID는 평가 대상 프로젝트의 기초기술에 대해 44.1%가 암호화폐 이체 등 기본적인 기능만 지원하고 26.5%는 디지털 자산의 저장, 거래, 공유 등 특화 기능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29.4%는 최근 2년간 새롭게 등장한 차세대 퍼블릭 블록체인을 지원한다. 최근에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상승하고 있다. 평가 대상의 17.6%가 개인 정보 보호 기술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있다.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트랜잭션 처리 속도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제외한 나머지는 이론적인 수치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EOS도 실측 결과 100만 TPS에 훨씬 못 미치는 4000TPS 정도다. 하루 평균 처리량이 8만 6400을 넘는 프로젝트도 29.4%에 불과했다. CCID는 이런 이유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상당수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CCID는 안전성을 퍼블릭 블록체인의 발전과 응용의 가장 중요한 전제라고 언급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술 혁신이 필요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CCID가 기초기술 영역에서 TOP 10으로 꼽은 퍼블릭 프로젝트는 순위와 상관없이 비트쉐어(BitShares), 이오스(EOS), 이더리움(Ethereum), GX체인(GXChain), 네뷸러스(Nebulas), 네오(NEO), 온톨로지(Ontology), 리플(Ripple), 스팀(Steem), 스텔라(Stellar)다.
    • 실제 앱을 지원하는 수준, '응용성' : 응용성 영역에서는 실제 앱을 지원하는 종합적인 수준을 평가하고 엔드포인트 배치, 지갑 앱, 개발 지원 및 앱 구현을 포함한다. CCID는 특히 지갑에 대해 강조했다. 지갑은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가장 기본적인 앱이다. 사용자는 지갑을 통해 자산을 옮기고 자산 관리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CCID는 사용하기 쉬운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기초적인 앱을 추진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평가 대상인 프로젝트 1개당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지갑 수는 약 10개로 전체 사용 편의성은 5점 만점에 3.7점이었다. 디앱(DApp)의 개발 지원 측면에서는 아쉬움을 피력했다. CCID는 "개발 지원에 대한 평균값은 30점 만점에 13.5점에 불과했다."며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전했다. CCID는 블록체인 기술의 빠른 진화와 함께 점차 일반인의 생활 속으로 스며들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지난해 나온 다수의 디앱은 활용도가 떨어지고 게임과 거래 등 적은 분야에만 국한돼 있지만 그 성장 잠재력은 충분히 인정받았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퍼블릭 블록체인과 디앱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기대감도 내비쳤다.


각주

참고자료

  • CCID〉, 《CCID 공식 홈페이지》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 문서는 블록체인 지원기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