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유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67번째 줄: 67번째 줄:
 
북한의 고려링크는 이동통신사가 2013년 당시에는 하나였기 때문에 컨트리락이 곧 캐리어락이었지만, 북한 당국 자체적으로 강성네트망이라는 두 번째 이동통신사가 생겼고 최근 별이라는 이동통신 사업자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외국인 전용 네트워크인 선넷이 폐지되고 고려링크에 흡수, 합병되면서 외국인도 고려링크에 가입이 가능해지자 고려링크는 내국인 전용 사업자인 별과 강성네트망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캐리어락을 걸었다. 2018년 10월 말 영국의 개발자가 관광 겸 북한을 방문했을 때 자신의 쓰던 구글 픽셀 3 단말에 고려링크의 유심을 끼우더니 원래 쓰던 통신사의 유심이 인식이 안 되는 심 락이 걸려버렸다고 밝혔다. 고려링크 관계자는 실수로 다른 심을 끼웠다고 밝혔고 심락을 푸는 방법은 관계자도 모른다고하여 귀국 후 자신이 직접 어렵게 풀었다고 한다. 그의 말에 따르면 내국인용과 외국인용 심이 존재하며 내국인용 심의 경우 강제 캐리어락이 걸리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ref name=simlock></ref>
 
북한의 고려링크는 이동통신사가 2013년 당시에는 하나였기 때문에 컨트리락이 곧 캐리어락이었지만, 북한 당국 자체적으로 강성네트망이라는 두 번째 이동통신사가 생겼고 최근 별이라는 이동통신 사업자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외국인 전용 네트워크인 선넷이 폐지되고 고려링크에 흡수, 합병되면서 외국인도 고려링크에 가입이 가능해지자 고려링크는 내국인 전용 사업자인 별과 강성네트망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캐리어락을 걸었다. 2018년 10월 말 영국의 개발자가 관광 겸 북한을 방문했을 때 자신의 쓰던 구글 픽셀 3 단말에 고려링크의 유심을 끼우더니 원래 쓰던 통신사의 유심이 인식이 안 되는 심 락이 걸려버렸다고 밝혔다. 고려링크 관계자는 실수로 다른 심을 끼웠다고 밝혔고 심락을 푸는 방법은 관계자도 모른다고하여 귀국 후 자신이 직접 어렵게 풀었다고 한다. 그의 말에 따르면 내국인용과 외국인용 심이 존재하며 내국인용 심의 경우 강제 캐리어락이 걸리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ref name=simlock></ref>
 
;미국
 
;미국
미국의 경우, 버라이즌(Verizon)〈[https://www.verizon.com/ verizon.com]〉과 에이티앤티(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AT&T)〈[https://www.att.com/ #]〉가 캐리어 락을 걸어두는 것으로 유명하다. 따라서 미국 내에서 다른 이동통신사로 이동에 제약이 걸리는 편이 많은 편이다.<ref name=simlock></ref>
+
미국의 경우, 〈[https://www.verizon.com/ 버라이즌](Verizon)〈[https://www.att.com/ 에이티앤티]〉(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AT&T)가 캐리어 락을 걸어두는 것으로 유명하다. 따라서 미국 내에서 다른 이동통신사로 이동에 제약이 걸리는 편이 많은 편이다.<ref name=simlock></ref>
 
;중국
 
;중국
 
중국 차이나텔레콤은 'Roming-UIM'이라고도 부르는, CDMA-SIM이 GSM-SIM과 합쳐진 UIM(universal input method)을 쓴다. 차이나텔레콤 기기 중 CDMA를 지원하지만 유심을 사용하거나 LTE를 동시에 지원하는 기종은 CDMA, 혹은 자국 내에서만 캐리어락이 걸리며 타국의 GSM과 WCDMA망에서는 정상적으로 호환되고 타국의 유심까지 호환되는 경우가 많다.<ref name=simlock></ref>
 
중국 차이나텔레콤은 'Roming-UIM'이라고도 부르는, CDMA-SIM이 GSM-SIM과 합쳐진 UIM(universal input method)을 쓴다. 차이나텔레콤 기기 중 CDMA를 지원하지만 유심을 사용하거나 LTE를 동시에 지원하는 기종은 CDMA, 혹은 자국 내에서만 캐리어락이 걸리며 타국의 GSM과 WCDMA망에서는 정상적으로 호환되고 타국의 유심까지 호환되는 경우가 많다.<ref name=simlock></ref>

2021년 8월 9일 (월) 13:20 판

유심(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은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을 구현한 IC카드이다.[1] 한국에서는 주로 유심칩이라고 부르며, 심카드(SIM card)라고 부르기도 한다.

개요

유심은 각자의 고유한 번호가 있어 어느 곳으로 여행을 갈 때 단말기가 아닌 이 작은 유심만 있으면 그 나라에서 전화기를 빌려 자기 것처럼 쓸 수 있고, 보안이 뛰어나서 전자상거래 등에서도 효용성이 높다.[1] 유심은 단지 가입자 식별 도구일 뿐이지만 유심 내부에 통화기록, 연락처, 문자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이 있다. 다만, 기록이 생성이 될 때마다 자동으로 저장되지는 않아 매번 사용자가 직접 옮기기 버튼을 눌러줘야 한다. 다만 휴대전화 본인인증을 위한 개인 데이터 등은 유심에 저장하는 경우가 많다.[2]

심의 규격

심(SIM)의 규격은 다양하다. 신용카드 등의 금융 IC카드 규격과 일치하는 풀 사이즈 심과, 미니 심, 마이크로 심, 그리고 나노 심이 있다. 특히 나노심의 경우에는 두께가 다르다(마이크로까지 0.76mm, 나노는 0.67mm). 심 카드를 보면 알겠지만 커다란 풀사이즈 심에서 더 작은 규격의 심을 뜯어서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2]

  • 풀사이즈 심(신용카드와 규격이 일치)
    • 외국의 초창기 GSM휴대폰
    • IPTV 셋톱박스
    • 위성방송 셋톱박스
    • 케이블TV 셋톱박스
  • 미니 심(시기상 주로 2G, 3G 휴대폰)
    • [[[애플]](Apple) : 아이폰(iPhone), 아이폰 3G(iPhone 3G), 아이폰 3GS(iPhone 3GS)
    • 구글 넥서스 : 넥서스 원, 넥서스 S, 갤럭시 넥서스
    • 삼성전자 : 갤럭시S, 갤럭시 S2
    • LG전자 : 옵티머스 Z, 옵티머스 원, 옵티머스 2X, 옵티머스 블랙, 옵티머스 3D, 옵티머스 EX, 옵티머스 3D 큐브, 옵티머스 LTE
    • 팬택 : 스카이 시리우스, 스카이 베가
  • 마이크로 SIM(주로 후기 3G 스마트폰과 LTE 스마트폰)
    • 애플(2010~2012) : 아이폰 4, 아이폰 4s, 아이패드, 아이패드 2, 아이패드 3세대
    • 구글(2012~2013) : 넥서스 4, 넥서스 5, 넥서스 7/1세대
    • 삼성전자(2011~2016) : 갤럭시 S2 HD LTE~갤럭시 S5, 갤럭시 노트~갤럭시 노트4, 갤럭시 J 시리즈(2015 ~ 2016)
    • LG전자(2012~2015) : 옵티머스 뷰~LG Vu 3, 옵티머스 LTE 태그, 옵티머스 LTE II, 옵티머스 G~LG G4, 옵티머스 G Pro~LG G Pro 2
    • 기타: Lumia 710
  • 나노 SIM(시기상 주로 VoLTE 상용 후 스마트폰)
    • 애플(2012~) : 아이폰 5~, 아이패드 4세대~, 아이패드 미니~
    • 구글(2014~) : 넥서스 6, 넥서스 5X, 넥서스 6P, 넥서스 7/2세대, 넥서스 9, 구글 픽셀 시리즈
    • 삼성전자(2014~) : 갤럭시 알파, 갤럭시 A 시리즈, 갤럭시 S6~, 갤럭시 노트5~, 갤럭시 J 시리즈(2017 ~, 갤럭시 J2 Pro 제외)
    • LG전자(2015~) : LG V10~, LG G5~, LG Stylus 2~
    • 팬택(2016~) : 스카이 IM-100
    • 소니 모바일(2014~) : 엑스페리아 Z3~
    • 기타 : 모토 X, Lumia 1520, 블랙베리 클래식~
  • e-SIM (embeded-SIM)
    • 애플(2017~) : 아이폰 XS~, 아이폰 XS Max~, 아이폰 XR~, 애플워치 시리즈 3~
    • 삼성전자 : 삼성 기어 S3 4G LTE, 갤럭시 워치 4G LTE
    • 구글 : 구글 픽셀 3~, 구글 픽셀 3 XL~
    • 기타 : 대부분의 키즈폰

보통 핸드폰을 개통 할 때 주는 신용카드 같은 심 카드에서 심 영역을 떼서 쓴다. 뜯고 남은 부분에는 심 핀(PIN)과 개인 잠근 해제 키(Personal Unlock Key, PUK)가 적혀있어 잘 보관 해두는 것이 좋다. 선불 유심의 경우 편의점에서 구매하고 개통을 편의점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하는 회사도 있는데, 개통 전에 풀 사이즈에서 유심을 분리하게 되면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꽂을 수 없기 때문에 개통 후에 분리하는 것이 좋다.[2]

사이즈 변경

심 크기가 맞지 않으면 채우거나 잘라내어 사용하면 되는데, 잘못하여 심 카드를 파괴하거나 휴대전화의 심 슬롯 내부를 휘저어 망가질 수 있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손쉬운 개조를 위해 어댑터와 전용 커터를 팔기도 한다. 큰 사이즈의 심을 작게 바꿨을 때 문제점이 있는데, 나노 심부터는 두께가 달라 유심 카드를 꺼내기 힘들어지고, 휴대전화 유심 슬롯 속 핀들을 짓이겨 버린다. 두께 차이는 0.1mm이므로 사포로 갈아서 쓰면 된다. 작은 심을 크게 하려면 심 카드 어댑터(SIM Card Adapter)라는 제품이 있어 작은 사이즈의 심을 어댑터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간단히 사이즈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어댑터를 사용할 때도 문제점이 있다. 핀이 단차나 유격에 걸릴 때 무리하게 빼내려고 하면 휴대전화 유심 슬롯 속 핀이 부러지게 된다. 보통 교체비용은 많지 않지만, 심 슬롯이 메인보드 일체형일 경우 메인보드를 통채로 교체해야 하므로 수리비가 수십 만원까지 나올 수도 있다. 또한 비어있는 어댑터를 넣게 되면 핀이 100% 걸려 부러지므로 비어있는 어댑터를 유심 슬롯에 끼워서는 안 된다.[2]

재활용

SK텔레콤(SKT)과 LG유플러스(LG U+), 케이티(KT)는 비슷하게 재사용처리를 거치면 본인 또는 타인의 유심이 재사용 가능하지만, NFC 유심의 경우 NFC SE를 이용한기능(교통카드, 유비터치, 모바일카드 앱을 유심에 다운로드하는 등)을 한 번이라도 사용하면 SK텔레콤은 개인정보 접근 문제상 타인 재활용은 불가능하고 본인만 재활용이 가능하고 LG유플러스와 케이티는 본인 것도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3G로 가입되었던 유심이라도 LTE개통이 가능하며 요금제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케이티 또한 유심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3G용 유심으로 LTE를 사용할 수 없다. 유심 가격도 서로 다르다. 하지만 LTE폰에서 3G유심을 못 쓰는것은 아니고 사이즈를 변경하여 LTE폰에 꽂아 쓰는 식의 유심기변은 가능하지만, 이 경우 3G망에만 붙으며 LTE요금제 가입이 불가능하다. 반대로 LTE유심으로 3G폰을 개통하는 경우에는 3G요금제에 가입하는 것이 가능하다.[2]

유심 다운로드

유심에 개통한 회선의 010 가입자 번호를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유심 다운로드에는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이 있다. 원래는 이 유심 다운로드를 개통 대리점에서 IC카드 리더에 꽂아 유선으로 수동개통하는 게 맞는데, 휴대폰의 온라인 구매가 활성화 되면서 통신사 직영 쇼핑몰에서도 무선 방식을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유심 다운로드가 필요한 때는 다음과 같다.[2]

  • 전화번호 변경 없이 통신사 변경과 함께 휴대폰을 구매한 경우
  • 통신사 변경 없이 사용하던 회선의 전화번호를 변경한 경우
  • 단말기 변경 없이 사용하던 회선의 통신사를 변경한 경우
  • 유심 분실/훼손 등의 이유로 유심을 재발급받은 경우

원래는 유심을 개통하거나 번호를 변경하면 알아서 진행되는 게 보통이며, 재부팅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2]

필요성

유심 다운로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화나 문자, 데이터 사용에는 문제가 없지만 안드로이드 폰의 경우 부가적인 사용에 많은 제약이 생기게 된다. 일단 내 휴대전화 번호 칸에 가입자 번호가 뜨지않고 알 수 없음 이라고 뜨고, 유심 인식 오류로 LTE접속이나 통신사 와이파이(Wi-Fi)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부 금융앱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은행의 스마트 OTP앱이나 비대면 계좌개설 앱, 신용카드사의 모바일카드 앱이나 앱카드앱, OK캐쉬백 앱이나 간편송금 앱 등에서 문제가 생긴다.[2]

심 락

통신회사들이 기계에 통신회사들이 기계에 락을 걸어서 정해진 유심만 쓰게 하는 걸 심 락이라고 부른다. 보통 캐리어 락 또는 컨트리 락으로 많이 불린다.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죽어도 안 풀어주는 경우, 돈을 받거나 일정기간이 지나면 풀어주는 경우가 있다.[2]

컨트리 락

컨트리 락(Country Lock)은 해당 국가에서 출시하는 휴대전화에 그 국가의 이동통신사 심 카드만 인식하도록 제한을 걸어서, 해외에 단말기를 들고 나가서 해당 국가의 심 카드를 장착했을 때 정상 작동하지 않도록 조치한 것을 의미한다. 해당 국가의 정부가 개인정보 유출 등을 이유로 걸어두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기기를 이동통신사 종속으로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해외 출국 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선불 요금제 등을 사용할 수 없고, 오로지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옛날에는 컨트락을 해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지만 현재는 완전 해제 불가인 경우보다 요청 시 해제 가능인 경우가 많고, 요청 시 해제가 가능하도록 법으로 규정한 국가도 있다.

캐리어 락

컨트리 락보다 더 좁은 의미로, 해당 국가 내에서 정해진 이동통신사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CDMA를 유지하고 있는 이동통신사들은 대부분 캐리어락을 걸어놓고 있다.[3]

대한민국

국내에서는 2009년 이후 출시한 WCDMA 지원 단말기는 캐리어락을 걸지 않아 SK텔레콤(SKT)와 케이티(KT) 단말기 간 유심을 교환할 수 있었지만, LTE를 도입하면서 LG유플러스도 유심을 도입하였는데, LG유플러스의 CDMA 네트워크는 전 세계에서 혼자만 1.8 GHZ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어 전용 칩을 추가로 탑재해야 했던 문제과 더불어, LG유플러스 전용 단말기는 기술적으로는 SK텔레콤/케이티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SK텔레콤/케이티 단말기는 LG유플러스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에서 LG유플러스의 LTE 모델에 캐리어 락을 허용하여 LG유플러스 단말기는 LG유플러스 통신만 사용하도록 조치하였지만 2013년 11월 20일부터 출시하는 단말기는 캐리어 락이 없다. 그 이후에 생산된 기기라도 CDMA2000을 지원하는 기기는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침에 의해 캐리어 락을 걸도록 권장하나 통신사가 이를 따르지 않아도 된다. 2014년 7월 1일 이후에 출시한 모든 LTE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3사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3]

북한

북한의 고려링크는 이동통신사가 2013년 당시에는 하나였기 때문에 컨트리락이 곧 캐리어락이었지만, 북한 당국 자체적으로 강성네트망이라는 두 번째 이동통신사가 생겼고 최근 별이라는 이동통신 사업자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외국인 전용 네트워크인 선넷이 폐지되고 고려링크에 흡수, 합병되면서 외국인도 고려링크에 가입이 가능해지자 고려링크는 내국인 전용 사업자인 별과 강성네트망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캐리어락을 걸었다. 2018년 10월 말 영국의 개발자가 관광 겸 북한을 방문했을 때 자신의 쓰던 구글 픽셀 3 단말에 고려링크의 유심을 끼우더니 원래 쓰던 통신사의 유심이 인식이 안 되는 심 락이 걸려버렸다고 밝혔다. 고려링크 관계자는 실수로 다른 심을 끼웠다고 밝혔고 심락을 푸는 방법은 관계자도 모른다고하여 귀국 후 자신이 직접 어렵게 풀었다고 한다. 그의 말에 따르면 내국인용과 외국인용 심이 존재하며 내국인용 심의 경우 강제 캐리어락이 걸리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3]

미국

미국의 경우, 〈버라이즌〉(Verizon)과 〈에이티앤티〉(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AT&T)가 캐리어 락을 걸어두는 것으로 유명하다. 따라서 미국 내에서 다른 이동통신사로 이동에 제약이 걸리는 편이 많은 편이다.[3]

중국

중국 차이나텔레콤은 'Roming-UIM'이라고도 부르는, CDMA-SIM이 GSM-SIM과 합쳐진 UIM(universal input method)을 쓴다. 차이나텔레콤 기기 중 CDMA를 지원하지만 유심을 사용하거나 LTE를 동시에 지원하는 기종은 CDMA, 혹은 자국 내에서만 캐리어락이 걸리며 타국의 GSM과 WCDMA망에서는 정상적으로 호환되고 타국의 유심까지 호환되는 경우가 많다.[3]

해제 방법

대부분의 언락에는 언락 코드라는 것이 필요한데, 위에 기술한 것처럼 언락을 정식으로 지원하는 통신사 제품의 경우에는 통신사에 연락하여 언락 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다만 정식으로 언락 코드를 발급받을 수 없는 경우라도 이베이 등지에서 개인 셀러에게 언락 코드를 구매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3]

각주

  1. 1.0 1.1 SIM 카드〉, 《위키백과》
  2. 2.0 2.1 2.2 2.3 2.4 2.5 2.6 2.7 2.8 SIM〉, 《나무위키》
  3. 3.0 3.1 3.2 3.3 3.4 3.5 SIM 락〉, 《나무위키》

참고자료

  • SIM 카드〉, 《위키백과》
  • SIM〉, 《나무위키》
  • SIM 락〉, 《나무위키》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유심 문서는 모바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