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다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다스 방식.png|썸네일|400 픽셀|다스 방식]]
 
[[파일:다스 방식.png|썸네일|400 픽셀|다스 방식]]
 +
 
'''다스'''(DAS, Direct-Attached Storage)란 [[스토리지]]에서 사용하는 기술 중 하나로,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서버]]와 스토리지를 직접 연결하는 기술을 말한다.
 
'''다스'''(DAS, Direct-Attached Storage)란 [[스토리지]]에서 사용하는 기술 중 하나로,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서버]]와 스토리지를 직접 연결하는 기술을 말한다.
  
85번째 줄: 86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 [[나스]]
 +
* [[스토리지]]
 +
 +
{{하드웨어|검토 필요}}

2020년 8월 12일 (수) 20:53 판

다스 방식

다스(DAS, Direct-Attached Storage)란 스토리지에서 사용하는 기술 중 하나로,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서버와 스토리지를 직접 연결하는 기술을 말한다.

개요

다스는 저장매체인 스토리지에서 사용하는 기술 중 하나로 서버와 스토리지가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파이버 채널로 직접연결되어 각자의 파일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을 말한다. 쉽게 말한다면 단일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용량을 저장하기 위해 여러 디스크를 묶어 컴퓨터 또는 서버에 외장 하드디스크 직접 연결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형태가 된다. 컴퓨터와 인터넷이 전세계적으로 보급화 됨에따라,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를 저장하기위해 스토리지라는 저장매체가 탄생하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서버에는 램과 하드디스크, 즉 주 기억장치(primary storage)와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storage)가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늘어나는 용량에 맞추다 보니 공간적인 한계에 봉착했고, 그 결과 구분된 스토리지 시스템을 가진 보조 기억장치가 탄생했다. 이는 직접 연결 스토리지 다스의 개념의 첫 사례가 되었다. 이와 같이 서버와 스토리지를 구분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위해 보다 정교하고 복잡한 아키텍처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1] 다스는 스토리지의 기술인 나스(NAS, Network Attached Storage), 샌(SAN, Storage Area Network)과 함께 주요기술로 사용된다. 다스는 컴퓨터 혹은 서버와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기때문에 데이터의 입출력이 많은 대기업이나, 금융권보다는 소규모 회사나 개인사용자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흔히 서버, 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부족한 저장 공간을 가장 쉽게 확보하는 방법으로 서버 자체에 물리적으로 외부 저장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직접연결을 했기때문에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매우빠르고 다수의 디스크가 여러개 존재하는 외장하드의 개념으로도 볼 수 있다. 저장공간이 부족하다면 디스크를 구입하여 저장공간을 늘릴수 있다. 샌방식과는 다르게 샌스위치가 없어 스토리지를 구축하고 유지보수하는데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직접연결하기 때문에 보안측면에서도 우수하다. 하지만 연결할 수있는 포트의 개수가 제한적이다. 그리고 데이터의 증가에 따른 외부 저장 장치의 지속적인 추가는 서버의 효율성을 저하시킬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가 다운되는 경우에는 중지된 서버에 장착된 스토리지또한 사용할수 없다.[2]

연결방식

  • 호스트 버스 어댑터
    호스트 어댑터 카드
다스는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기위해 호스트 버스 어댑터(HBA,Host Bus Adapter)를 장착하여 서버와 스토리지를 직접 연결한다. 호스트 버스 어댑터는 서버와 다른장비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장착하는 카드이고 호스트 어댑터 카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서버와 모든 장치들 사이에 모두 같은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지 않기때문이다. 서버와 각각 장치들을 만드는 제조사 마다 인터페이스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호환을 시켜주기 위해서 호스트 버스 어댑터가 필요하다. 즉 서버에서 각 장비들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장비들을 원할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각 장비들에 맞춘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서버와 다른 장비들의 연결이 아니더라도 호스트 어댑터 카드가 쓰이는 경우가 있다. 운영체제에서 대형 하드디스크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너무나도 빠르게 커지는 바람에 운영체제들이 하드디스크 용량을 모두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운영체제가 하드디스크를 제대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것도 호스트 어댑터 카드이다. 호스트 어댑터 카드를 구입할 때에는 서버에 맞는 제품인지를 확실하게 알아봐야 하고, 같은 회사의 제품이더라도 다른 서버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철저히 확인하고 구매를 해야 서버와 다른장치간의 원활한 연결이 가능하다. [3]
  • 스카시
    스카시 인터페이스
스카시/스커지 (SCSI)는 주변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할 때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표준을 일컫는다. 다시 말해, 컴퓨터에서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직렬 표준 인터페이스로 입출력 버스(통신)를 접속하는 데에 필요한 기계적, 전기적인 요구 사항과 모든 주변 기기 장치를 중심으로 명령어 집합에 대한 규격을 말한다. 스카시는 IBM 호환기종을 제외한 애플,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등에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각각 연결할려는 컴퓨터나 하드디스크, 외부장치 기기의 번호만 각각 지정해 주면 자료 충돌 없이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카시 어댑터를 통해 자체적으로 버스를 구성하기도 하지만 주변기기 자체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조금이라도 다르면 사용할 수 없다. 스카시는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이 호스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변장치 자체에 들어 있어서 스카시를 사용하는 주변장치들은 모두 호스트 어댑터를 통해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스카시가 발전된 것으로 스카시-2가 있는데 이는 초기 스카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발표된 2차 표준안으로, 이 규격은 표준 디스크와 테이프 장치 이외에 광자기 디스크, 매체 교환 장치, 통신 장치 등에도 적용하였다. 비용이 비싼 것이 단점이라 일반 개인용 컴퓨터에는 잘 도입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개인 용도로 이 방식을 많이 쓰고 있다.[4]

Single Ended : 스카시 버스의 한 종류이다. 이전에는 대부분의 장치가 Single-ended 방식이었다. 이 종류는 6m 길이의 버스를 허용하는 스카시-1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는다. 이 버스의 길이는 장치의 내부의 케이블의 길이도 포함하는 수치이다.

스카시 종류
종류 최고 버스 속도(MB/s) 버스 폭(bit) 최고 버스 길이(m) 최고 지원 드라이브 수
단일 LVD(최저전압) HVD(최고전압)
스카시-1 5 8 6 3 25 8
Fast 스카시 10 8 3 3 25 8
Fast Wide스카시 20 16 3 3 25 16
울트라 스카시 20 8 1.5 3 25 8
Wide 울트라 스카시 40 16 (3) 3 25 16
울트라 스카시3 160 16 4 12 5 16
[5]

각주

  1. 박주형, 〈스토리지 기초 지식 1편: DAS, SAN, 그리고 NAS〉, 《테크지 블로그》, 2019-12-02
  2. 에이원네트웍스, 〈NAS / DAS /SAN 의 개념 정리〉, 《에이원네트웍스》, 2016-03-21
  3. Klero, 〈HBA, HBA 카드에 대한 정의〉, 《티스토리》, 2015-05-15
  4. bestheroz , 〈하드웨어의 선택 - IDE, SCSI, SATA, SAS〉, 《네이버 블로그》, 2009-05-08
  5. 김건중 기자 , 〈(강좌) SCSI 란 무엇인가?〉, 《케이벤처》, 2000-01-01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다스 문서는 하드웨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