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 이동통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 2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 | 기존의 음성 및 패킷 전송은 물론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글로벌 로밍이 가능한 이통 통신 규격이다. 1980년대는 1세대로 아날로그 음성을, 90년대에 등장한 디지털 개인 휴대 전화(PCS)는 음성과 저속의 데이터를, 2000년대 실용화된 영상 전화는 음성을 비롯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인터넷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는 당초 3세대의 명칭을 IMT-2000으로 하고 고정 2Mbps, 휴대 384Kbps, 이동 144Kbps를 제공하도록 요구 조건을 정하고 기술 개발을 추진해 국제 단일 표준을 정하고자 했다. 그러나 기존 서비스 진영의 기술이 양분되어 있고 이해가 상충되어 현재는 6개가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대표적인 표준은 동기식인 북미의 CDMA 2000, 비동기식인 유럽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중국의 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 그리고 우리나라의 와이브로(WiBro) 등이 있다. 3세대 이동 통신(3G) 서비스가 지연되면서 3.5세대 기술 개발이 완료되어 이동 시 전송 용량이 최대 14.4Mbp에 달하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도 3G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 | 3세대 이동통신은 기존의 음성 및 패킷 전송은 물론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글로벌 로밍이 가능한 이통 통신 규격이다. 1980년대는 1세대로 아날로그 음성을, 90년대에 등장한 디지털 개인 휴대 전화(PCS)는 음성과 저속의 데이터를, 2000년대 실용화된 영상 전화는 음성을 비롯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인터넷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는 당초 3세대의 명칭을 IMT-2000으로 하고 고정 2Mbps, 휴대 384Kbps, 이동 144Kbps를 제공하도록 요구 조건을 정하고 기술 개발을 추진해 국제 단일 표준을 정하고자 했다. 그러나 기존 서비스 진영의 기술이 양분되어 있고 이해가 상충되어 현재는 6개가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대표적인 표준은 동기식인 북미의 CDMA 2000, 비동기식인 유럽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중국의 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 그리고 우리나라의 와이브로(WiBro) 등이 있다. 3세대 이동 통신(3G) 서비스가 지연되면서 3.5세대 기술 개발이 완료되어 이동 시 전송 용량이 최대 14.4Mbp에 달하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도 3G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ref>〈[https://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subject=3%EC%84%B8%EB%8C%80+%EC%9D%B4%EB%8F%99+%ED%86%B5%EC%8B%A0 3세대 이동통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ref> | <ref>〈[https://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subject=3%EC%84%B8%EB%8C%80+%EC%9D%B4%EB%8F%99+%ED%86%B5%EC%8B%A0 3세대 이동통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ref> | ||
== 역사 == | == 역사 == | ||
− | + | 새로운 세대의 셀룰러 통신 방식의 표준은 1981/1982년에 1G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약 10년마다 나타났다. 각 세대는 새로운 주파수 대역, 더 높은 데이터 속도 및 역방향 호환이 불가능한 전송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의 통신 규약간에 호환이 되는것이다. 첫번째 3G 네트워크 표준은 1998년에 도입되었으며, 2002년 IMT2000 서비스부터 본격화되었다. | |
==기술 == | ==기술 == | ||
==장단점 == | ==장단점 == |
2021년 8월 5일 (목) 10:10 판
3세대 이동통신(3rd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또는 3G는 이동통신의 발달 과정에서 3세대 기기에 적용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통신 규격을 말한다.
개요
3세대 이동통신은 기존의 음성 및 패킷 전송은 물론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글로벌 로밍이 가능한 이통 통신 규격이다. 1980년대는 1세대로 아날로그 음성을, 90년대에 등장한 디지털 개인 휴대 전화(PCS)는 음성과 저속의 데이터를, 2000년대 실용화된 영상 전화는 음성을 비롯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인터넷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는 당초 3세대의 명칭을 IMT-2000으로 하고 고정 2Mbps, 휴대 384Kbps, 이동 144Kbps를 제공하도록 요구 조건을 정하고 기술 개발을 추진해 국제 단일 표준을 정하고자 했다. 그러나 기존 서비스 진영의 기술이 양분되어 있고 이해가 상충되어 현재는 6개가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대표적인 표준은 동기식인 북미의 CDMA 2000, 비동기식인 유럽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중국의 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 그리고 우리나라의 와이브로(WiBro) 등이 있다. 3세대 이동 통신(3G) 서비스가 지연되면서 3.5세대 기술 개발이 완료되어 이동 시 전송 용량이 최대 14.4Mbp에 달하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도 3G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
역사
새로운 세대의 셀룰러 통신 방식의 표준은 1981/1982년에 1G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약 10년마다 나타났다. 각 세대는 새로운 주파수 대역, 더 높은 데이터 속도 및 역방향 호환이 불가능한 전송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의 통신 규약간에 호환이 되는것이다. 첫번째 3G 네트워크 표준은 1998년에 도입되었으며, 2002년 IMT2000 서비스부터 본격화되었다.
기술
장단점
각주
참고자료
- 〈3세대 이동통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