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fork)란 개발자들이 하나의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통째로 복사하여 독립적인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경우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고, 통째로 복사하는 것이 허용되는 라이선스를 따르기 때문에, 원저작자의 허가 없이 포크를 통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하다.
개요
포크(fork)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식사할 때 쓰는 포크와 스펠링이 같다. 하지만 포크의 다른 뜻으로 분기점이라는 뜻이 있다. 포크가 일어난다는 것은 새로운 분기점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포크의 종류에는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가 있으며 포크가 일어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이전의 규칙에서 새로운 규칙으로 넘어간다는 점에서 똑같다고 볼 수 있다.[1]
종류
- 소프트포크는 기존의 규칙에서 큰 틀은 바꾸지 않고 부분적인 업데이트만 일어나 포킹(Forking)된 블록끼리 호환이 가능하다. 어느정도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규칙을 따르는 블록체인은 업데이트가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이다.[2] 소프트포크가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진실을 반영하는 체인이 어떤 것인지 확정된 것이 아니여서 체인 재배열을 통해 거래기록이 뒤집히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어 매우 신중하게 거래를 진행해야한다.[3]
- 하드포크는 블록의 규칙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업데이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 노드들과 호환이 되지 않는다. 하드포크가 되면 전혀 다른 블록체인이 되어 합의에 도달하지 않고 서로 분리된 채 블록이 계속 쌓여나간다. 하드포크의 특성 상 포킹(Forking)할 때 코인을 송금한다면 포킹된 새로운 코인도 송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리플레이 어택(Replay Attack)이라고 한다. 리플레이 어택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포크가 일어나기 직전엔 절대로 송금하지 않아야 한다.[2]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비교
항목
|
소프트포크
|
하드포크
|
기존 체인 관계
|
- 기존 체인과 결합
- 기존 체인 재사용
|
- 영속적 분기
- 기존 체인 부정
|
규칙 변경 목적
|
- 단순 오류 수정
- 소규모 업데이트
|
- 기능개선, 오류정정
- 문제점 보완
|
업데이트 강제성
|
- 블록 생성 노드만 업데이트 필요
|
- 모든 참여 노드 업데이트 필수
|
컨센서스 필요성
|
- 참여 노드 합의 불필요
|
- 참여 노드 합의 필요
|
기존 버전 호환성
|
- 기존 블록체인과 호환(동시사용) 가능
|
- 기존 블록체인과 호환 불가
|
이유
블록체인에 소프트포크만 있었다면 아마 포크라는 용어를 쓰지 않았을 것이다. 소프트포크는 체인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소프트포크를 하는 이유는 잘 짜인 설계로 만들어진 블록체인 구조안에 약간의 손을 봐주는 상황만으로 블록체인이 더 좋게 실행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드포크를 하는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다음은 하드포크를 하는 이유이다.[4]
- 신규 기능 추가
- 블록체인에 A라는 기능이 없었는데 필요해졌다고 가정할 때 하드포크를 해야한다. 즉 있는 기능을 안쓰는건 소프트포크로 가능하지만 없는 기능을 만들어 내는 것은 소프트포크로 불가능하여 하드포크를 해야한다.[4]
- 블록 크기의 확장
- 블록 크기의 확장이 있을 경우 하드포크를 단행한다. 블록크기가 불필요하게 커도 사용할 수는 있지만 블록크기가 작으면 기록이 계속 밀리게 되면서 거래의 처리속도가 늦어지므로 블록 크기를 확장한다. 이 이유로 하드포크한 대표적인 예로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된 비트코인 캐시가 있다.[4]
- 해커의 공격
- 해킹 공격등을 당해 긴급하게 기존의 블록 내용이 바뀔수도 있다. 블록을 조작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개발진들이 블록을 다시 클리어하는 하드포크를 단행할 수 있다.[4]
- 새로운 코인을 만들 경우
- 재단과 다른 방향으로 현재의 체인을 이용해서 새로운 코인을 만들고 싶을 경우 하드포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이유는 주체가 재단이 아니라 제 3자이다. 즉 하드포크를 해도 기존의 체인도 계속 사용한다. 대표적인 예로 이더리움에서 하드포크한 이더리움 클래식이 있다.[4]
- 로드맵에 있는대로 진행하는 경우
- 가장 이상적인 하드포크로, 이러한 경우 기술이 발전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장의 입장에서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4] 대표적인 예로 2019년 2월 28일 시행된 이더리움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가 있다.
사례
포크
하드포크
소프트포크
각주
- ↑ 코인뉴스, 〈(비트코인 입문서)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가 무엇인가요?〉, 《티스토리》, 2018-05-30
- ↑ 2.0 2.1 easyblockchain, 〈쉽게 설명하는 블록체인:블록체인의 허점과 하드포크, 소프트포크〉, 《banksalad》, 2018-04-06
- ↑ GOPAX 공식 홈페이지 - http://a.to/19heRQc
- ↑ 4.0 4.1 4.2 4.3 4.4 4.5 Flatinum, 〈블록체인의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 《티스토리》, 2019-01-04
- ↑ 레드곰의 부업이야기, 〈Bitcoin 포크에 대한 짧은 안내서〉, 《티스토리》, 2017-03-27
참고자료
- 코인뉴스, 〈(비트코인 입문서)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가 무엇인가요?〉, 《티스토리》, 2018-05-30
- easyblockchain, 〈쉽게 설명하는 블록체인:블록체인의 허점과 하드포크, 소프트포크〉, 《banksalad》, 2018-04-06
- GOPAX 공식 홈페이지 - http://a.to/19heRQc
- 〈포크(소프트웨어 개발)〉, 《위키백과》
- 레드곰의 부업이야기, 〈Bitcoin 포크에 대한 짧은 안내서〉, 《티스토리》, 2017-03-27
- Flatinum, 〈블록체인의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 《티스토리》, 2019-01-04
같이 보기
이 포크 (개발)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술 □■⊕, 합의 알고리즘, 암호 알고리즘, 알고리즘,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솔루션, 블록체인 서비스
|
|
블록체인 기술
|
Bech32 • BTP • DRC-20 • EIP • IPFS • KRC-20 • NFT 마켓플레이스 • P2P • P2PKH • P2SH • PFP • PUF • SPV • TPS • TRC-20 • UTXO • 가나슈 • 가명성 • 가스 • 가십 • 가십 프로토콜 • 개념증명(PoC) • 검증가능지연함수(VDF) • 게스 • 고스트 프로토콜 • 공공예산 • 글로벌신뢰인공지능 • 대체가능토큰 • 대체불가토큰(NFT) • 도지더리움 브릿지 • 디지털 자산 • 디지털 희소성 • 라운드 • 라운드 로빈 • 라이트하우스 • 랜덤 • 레그테크 • 레이든 • 리카르디안 계약 • 린스타트업 • 마스터키 • 마스트 • 메인넷 • 멜팅 • 믹싱 • 민팅 • 밈블윔블 • 반감기 • 베타넷 • 변경불가성 • 브릿지 • 블록체인 생태계 •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aaS) • 블룸필터 • 비블록체인 • 비앱 • 비콘체인 • 비트코인코어 • 빤통경제 • 수정 고스트 프로토콜 • 스냅샷 • 스마트 계약 • 스마트 브리지 • 스웜프로토콜 • 스크립트퍼브키 • 스테이킹 • 스텔스 주소 • 스핀오프코인 • 슬래싱 • 시크릿 컨트랙트 • 심플 컨트랙트 • 아토믹스왑 • 암호경제(크립토 이코노미) • 앤드어스체인인공지능 • 앵커링 • 언스테이킹 • 에어드랍 • 에폭 • 오프체인 오더락 • 오피리턴 • 옵코드 • 원토큰 문제 • 웨이 • 위스퍼 프로토콜 • 위임 • 유니스왑 • 유동성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 이중지불 • 익명성 • 인증된 익명 아이디 • 인터레저 프로토콜(ILP) • 자산화 • 잠금 스크립트 • 최소기능제품(MVP) • 컨소시엄 블록체인 • 컬러드코인 • 코인셔플 • 코인소각 • 코인에이지 • 코인조인 • 코인토싱 • 크립토노트 • 키스토어 • 타임락 • 테스트넷 • 토다 • 토큰 이코노미 • 토큰화 • 튜링완전 • 튜링불완전 • 트랜잭션 아이디(TxID) • 트러스트 컨트랙트 • 트루빗 • 트릴레마 • 파워 • 파티셔닝 • 퍼블릭 블록체인 • 페널티 • 프라이버시 • 프라이빗 블록체인 • 플랫폼 • 플러딩 • 피어 • 피투피(P2P)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합의 • 해시락 • 해시타임락(HTLC) • 해제 스크립트 • 확장성
|
|
해시
|
레인보우 테이블 • 매핑 • 머클경로 • 머클루트 • 머클트리 • 분산해시테이블(DHT) • 블록해시 • 스큐드 머클트리 • 온라인툴즈 • 이전블록해시 • 카뎀리아 • 해시 • 해시레이트 • 해시맵 • 해시충돌 • 해시테이블 • 해시파워 • 해시함수 • 해싱
|
|
블록
|
고아블록 • 그래핀 • 논스 • 마이크로블록 • 베이킹 • 북키퍼 • 브랜치블록 • 브로드캐스팅 • 블록 • 블록높이 • 블록바디 • 블록생성자 • 블록정보 • 블록타임 • 블록헤더 • 비츠 • 세그윗 • 엉클블록 • 완결성 • 제네시스블록 • 타임스탬프 • 프룻 • 프룻체인
|
|
체인
|
더블체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 • 라이트닝 루프 • 루트체인 • 루프체인 • 메인체인 •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블록격자 • 블록체인 • 사용자 활성화 소프트포크(UASF) • 사용자 활성화 하드포크(UAHF) • 사이드체인 • 서브체인 • 소프트포크 • 오페라체인 • 오프체인 • 온체인 • 인터체인 • 차일드체인 • 체인 • 탱글 • 테스트체인 • 토카막 네트워크 • 포크 • 포크체인 • 퓨어체인 • 프로덕트체인 • 프루닝 • 프리포크 • 플라즈마 알고리즘 • 플라즈마캐시 • 플래시 계층 • 하드포크 • 해시그래프 • 홀로체인
|
|
노드
|
검증인(밸리데이터) • 기본노드 • 노드 • 라이트노드 • 랜덤노드 • 마스터노드 • 베이킹노드 • 보조노드 • 보증노드 • 슈퍼노드(슈퍼대표, 대표노드) • 슬롯 • 슬롯리더 • 엔드포인트노드(레인저노드) • 의회 네트워크 • 작업노드 • 종단노드 • 종자노드(시드노드) • 중계노드 • 지갑노드 • 채굴노드(마이닝노드) • 쿼럼 • 풀노드 • 합의노드
|
|
샤딩
|
네트워크 샤딩 • 데이터베이스 샤딩 • 동적샤딩 • 샤드 • 샤딩 • 스테이트 샤딩 • 알고리즘 샤딩 • 적응형 상태 샤딩 • 체인샤딩 • 트랜잭션 샤딩
|
|
채굴
|
병합채굴 • 사전채굴 • 에이식(ASIC) • 에이식부스트 • 에이식 저항 • 일드파밍 • 채굴 • 채굴 난이도 • 채굴량 • 탄소감축채굴 • 페어런치
|
|
탈중앙화
|
TVL • 거버넌스 • 게임파이 • 다오(DAO) • 다이코(DAICO) • 닥(DAC) • 닥스(DAX) • 덱스(DEX) • 디앱(DApp) • 디지오(DGO) • 디튜브 • 디파이(DeFi) • 분산경제 • 분산원장(DLT) • 분산 클라우드 • 소셜파이 • 씨파이(C-Fi) • 오프체인 거버넌스 • 온체인 거버넌스 • 원장 • 준중앙화 • 중앙화 • 탈중앙화 • 탈중앙화 TPS • 탈중앙화 조직(DO) • 탈중앙화 지수(DQ)
|
|
분산아이디
|
DIDs • IETF • ToIP • 검증가능한 자격증명 • 검증인 • 디지털아이덴티티재단 • 발급자 • 보유자 • 분산아이디(DID) • 분산아이디 기관 • 분산아이디 인증(DID Auth) • 아이온 • 자기주권 • 자기주권신원 • 최소화된 자격증명 데이터 • 탈중앙화 키관리시스템 • 통합해석기
|
|
오라클
|
상호인증 블록체인 • 오라클 • 오라클 머신 • 오라클 문제 • 오라클 서비스 • 중간자
|
|
BIP
|
BIP • BIP9 • BIP16 • BIP32 • BIP39 • BIP43 • BIP44 • BIP47 • BIP49 • BIP63 • BIP70 • BIP84 • BIP141 • BIP148
|
|
ERC
|
ERC • ERC-20 • ERC-165 • ERC-223 • ERC-621 • ERC-721 • ERC-777 • ERC-827 • ERC-884 • ERC-998 • ERC-1155 • ERC-1404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