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쿵후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쿵후

쿵후(功夫, Kungfu)는 무기 없이 유연한 동작으로 을 이용하여 공격하는 중국식 권법이다.[1]

개요

쿵후는 중국 고유의 전통 무술을 총칭하여 쿵후(功夫)라 부르며, 중국 인민공화국 설립 이후에는 전통 무술을 현대적 의미의 스포츠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우슈(武術)라는 명칭으로 부르기 시작하였다. 쿵후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기원전 5세기경 인도 승려인 달마 대사가 수행에 지친 소림사 승려들의 심신을 단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시한 소림무술이 그 시작이라는 설이 존재한다. 쿵후는 육체와 정신을 모두 단련하는 자기 수양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태극권(太極拳), 영춘권(詠春), 팔괘장(八卦掌) 등을 포함한 무수한 권법이 있다.[2]

역사

중국 무술을 흔히 쿵후라고 부르는데 쿵후는 공부의 중국식 발음으로 중국인들이 중국 무술을 '쿵푸' 한국식 발음으로 ;공부'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이유는 정신과 육체를 단련하여 인내와 집중을 기르는 것을 중국인은 공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국 무술 쿵푸는 6세기 선종의 창시자인 달마에서 시작되었는데 소림사에서 9년간 참선한 달마가 체력을 다지고 내공을 쌓기 위한 방법으로 무술을 만들었고 그것이 민간으로 전승되었다.

중국 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중국정부가 스포츠 화해 명칭을 우슈로 통일했고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중국 무술 쿵푸는 체조 종목처럼 무대에서 표현 연기를 하는 투로와 동급 체급 선수끼리 일대일 대련을 해 승부를 겨루는 산타로 나누어진다.

투로는 태극권, 남권, 장권으로 나누면서 3권으로 불리는데 태극권은 전 세계에 보급된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무술로 24개의 기본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자세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권은 무술에서 유래했지만 질병 예방 효과가 있고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지면서 건강 체조로 생활 체육으로도 자리 잡았다.[3]

한국쿵후의 역사

쿵후는 1950년대 전후에 한국에서 화교들에게만 무술을 지도하던 중국 쿵후의 고수들이 한국인들에게도 전수하게 되었고 소수의 한국인들이 어렵게 무술을 전수받아 한국내에 보급시킨 것이 오늘날의 한국 전통 쿵후 십팔기 무술의 뿌리가 되었다.

초창기 쿵후무예를 전수했던 중국의 노사(先生)는 서울에서 소림권의 고광유 노사, 매화 당랑권의 임품장 노사가 전수하였으며, 인천에서는 팔괘장의 노수전 노사가 전수하였고, 부산에서는 당랑권의 강경방 노사가 전수하였다.

그리고 화교무술가의 이덕강 노사와 여품삼 노사 등이 지도하였다. 한국내의 쿵후 무예는 임품장 노사와 이덕강 노사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이들에 의해 지도받았던 한국의 무술인들이 사범자격을 인정받게 되었다.

한국의 사범들이 늘어나면서 무술 사범들의 구심점이 필요하여 사단법인 대한쿵후협회의 모체인 대한십팔기무술협회의 황주환 회장님께서 중국노사들과 협의한 후에 1965년 아현동의 국술총본관에서 (당시 대만의 대사관에서 인정받음) 대한민국 최초로 본 협회의 모체인 전국무술국술협회를 창립하고 총재로는 중국의 임품장 노사가 추대되고 회장은 한국의 황주환 노사가 추대되어 중국 십팔기무술의 구심점이 되었다.

그 후 1967년 3월에 한국의 쿵푸 무술인 으로 구성된 대한십팔기무술협회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재추대 되면서 한국 십팔기무술 문화의 새 시대를 열었다.

협회가 설립된 후에 강용일, 이일형, 김갑현, 김주헌, 정소우, 최상철 등 국내 1세대 무술노사들이 서울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무술도장을 개관하여 쿵푸 십팔기무술을 본격적으로 전수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89년에 대한체육회 산하 경기단체인 대한우슈협회가 설립되고 사회단체인 대한십팔기협회가 유사단체로 활동하여 1997년 12월에 대한십팔기무술협회를 대한쿵후협회로 개명하면서 전통권과 현대권 으로 분류되는 계기 가 되었으며 이러한 중국의 현대무술 우슈(WU-SHU)가 들어오면서 한국의 전통무술(전통권) 쿵후(kung-fu) 수련자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근대무술 문화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쿵후(십팔기)무술의 전통권법이 소실될 위기까지 왔었다.

이러한 위기감과 안타까움에 사단법인 대한쿵후협회 최주성 회장이 중심이 되어 본 협회의 설립자이신 황주환 회장님을 총재로 추대하고 뜻을 함께한 의식 있는 소수의 사범들과 조직개편을 하여 강경한 의지로 전통권법을 지켜가자는 뜻을 모아 많은 시련과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국내 최초로 설립된 중국무술 쿵후무술협회를 해산시키지 않고 전통권법을 우리 민족의 정서와 체형에 맞게 토착화시키는 등, 한국의 전통쿵후무술을 계승 발전시켜 전수하게 되었다.

또한 본 협회는 1997년 12월에 현대권 우슈와 차별화를 위해 협회명을 현대정서에 맞게 십팔기라는 이름을 삭제하고 대한쿵후협회 로 명칭을 정정하였으며 2005년 12월에는 문화관광부에 사단법인으로 등록하여 한국 쿵후무예를 대표하는 공인단체로써 공신력 있는 자격증과 단증을 발급하고 있다.

본『사단법인 대한쿵후협회』는 전통 권법과 병기술, 태극권과 기공 수련이 표현무술이 아닌 실전 위주의 수련으로 종목의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중국의 쿵후무술은 중국의 문화혁명의 불행한 역사 속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동안 전통쿵후 무예의 전수가 상당부분 소실되었으나 한국에서는 그대로 전수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쿵후무술이 중국의 쿵후무술 보다 좀 더 심도 있게 전수되고 있는 부분도 많으며 이를 더욱 발전시켜 종주국인 중국의 쿵후무술보다 한 차원 더 높은 경지의 한국의 전통무예 문화로 더욱 승화시킬 것이며 한국무예의 또 다른 측면으로 형성시켜 나갈 것이다.[4]

쿵후의 종류

쿵후는 체조 종목처럼 무대에서 표현 연기를 하는 '투로'와 동급 체급 선수끼리 일대일 대련을 해 승부를 겨루는 '산타'로 나뉜다.

투로는 크게 투로는 크게 태극권(太極拳), 남권(南拳), 장권(長拳)으로 나뉘고 이것을 '3권'이라고 한다.

  • 태극권(太極拳)
태극권(太極拳)은 전 세계에 보급된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무술로 24개의 기본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氣)의 흐름을 조절하는 자세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권의 동작은 유연하고 완만한 동작으로 이 동작은 기(氣)를 단전에 모아 온몸에 유통시켜 오장육부를 강화할 수 있고 수련 과정 중 자가 치유 능력이 자연스럽게 생겨나게 도와준다고 한다. 태극권은 무술에서 유래했지만 질병 예방 효과가 있고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지며 현재 중국인들에게 '건강 체조'로 불리며 생활체육으로 자리 잡았다. 이른 아침에 공원에 가면 태극권을 수련하는 중국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 남권(南拳)
우람하고 절도 있는 동작으로 구성된 남권(南拳)은 중국 남방 지역 광동성(廣東省), 복건성(福建省)을 중심으로 널리 성행한 중국무술 권법을 말한다. 근육을 항상 팽팽하게 긴장시킨 뒤 신체의 중심을 중앙에 모으고 양쪽 다리에 힘을 주어 양팔을 힘 있게 움직일 수 있을 때 큰 소리로 기합을 넣는 것이 특징이다.
  • 장권(長拳)
장권(長拳)은 중국 북방지역에서 성행하는 무술로 온몸을 종횡으로 움직이는 크고 넓고 화려한 동작이 특징이다. 체조처럼 전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작이 우아해서 많은 여성들이 선호하는 무술이라고 한다. 장권을 익힌 후엔 병기를 사용하는데, 검과 도를 '단병기(短兵器)'라 하고 창과 곤을 '장병기(長兵器)'라고 한다. 남자는 도(刀)와 곤(棍)으로, 여자는 검(劍)과 창으로 기본동작을 한다. 경기 출전 시엔 반팔 의상을 착용한다.[5]

쿵푸 효과

중국에 가면 이른 아침부터 공원에 모여 중국무술 쿵푸 / 우슈를 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지속적으로 쿵푸 / 우슈를 하면 온몸이 골고루 단련되어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 수 있고 유산소 운동이 되어 다이어트도 되고 비만,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심장, 폐 기능이 향상되고 동작에 스트레칭 / 점프 등이 포함되어 있어 성장기 아이들의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중국무술 쿵푸 / 우슈는 어떤 경지에 이르기 위해 감정을 자제하고 신중하게 준비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정신 수양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5]

경기방법

아시안게임 경기 종목을 보면, 투로 경기로는 태극권, 남권, 장권이 있다. 태극권은 몸을 부드럽고 신축성 있게 움직이며 동작이 완만한 것이 특징이다. 상대방의 강하고 집중적인 공격을 피하면서 자신의 중심을 잡아 반격하는 기법이다. 여성이나 노인들도 무리없이 익힐 수 있어서 일상생활의 건강법으로 인기가 많은 무술이다.

남권은 양쯔강 이남의 광둥성과 푸젠성을 중심으로 성행하며 우람하고 절도 있는 동작이 요구된다. 양 다리에 힘을 모아 양팔을 뻗을 때 기합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장권은 사권, 화권, 소림권 등의 권법을 통들어 일컫는 것이다.

장권의 특징은 동작이 크고 넓으며 또한 신축성이 크다는 것이다. 맨손 체조의 마루운동과 같이 전신을 종횡으로 움직이며 그 맵시가 우아하고 아름답기도 하다. 채점은 5명의 심판이 합동으로 하며 각 동작의 기술 6점, 힘 2점과 태도, 복장, 시간, 자세에 2점등 모두 10점을 만점으로 한다.

산수경기의 득점은 무득점부터 3점까지 받을 수 있는데, 우선 3점을 득점하는 기준을 살펴보면, 한 경기에서 상대를 공격하여 경기장밖으로 나가게 할 경우, 전신소배퇴로 상대의득점부위를 공격하고(또는 넘어뜨리고), 서 있을 경우, 전소퇴나, 후소퇴로 상대를 공격하여 넘어뜨리고(발을 제외한 신체 부위가 바닥에 닿음) 서 있을 경우, 구척퇴로 상대를 공격하여 넘어뜨리고도 서있을 경우 몸을 살짝 비켜 방어하는 동시에 교묘한 초법으로 (고의로 넘어지는 기술.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종목 가이드북술 포함) 상대를 넘어뜨리는 경우이다. 2점을 득점하는 기준을 살펴보면 한 선수는 넘어지고 한 선수는 서 있을 때 서 있는 선수가 2득점이며, 퇴법으로 상대의 몸통부위를 치면 2득점이다. 또한 상대가 경고를 1회 받으면 2득점이다. 1득점을 받는 경우를 살펴보면 수법으로 상대의 득점부위를 치면 1득점이고, 퇴법으로 상대의 머리나 다리를 한 번 치면 1득점이다. 두 선수가 경기에서 8초 동안 소극적일 때 주심은 한쪽에 공격을 명령하는데 공격 명령을 받은 선수가 8초 동안 여전히 소극적일 때 상대가 1득점한다. 상대가 한 번 주의받을 때 1득점하며, 두 선수가 기술로상대를 넘어뜨리고자 할 때 나중에 넘어진 선수가 1득점 한다.

경기장 규격

투로경기는 길이 14m, 넓이 8m의 융단 위에서 진행하고 융단의 가장자리에는 5cm 넓이의 표 기선을 나타내야 한다. 경기장의 긴 가장자리 양 끝의 중간에는 길이 30cm, 넓이 5cm의 중선을 표시해야 한다.

산수경기장은 높이 60cm, 길이 8m, 넓이 8m의 철강과 나무구조로 이루어진 무대이다. 무대 위에는 융단을 깔고 융단 위에는 범포를 깐다. 무대 중앙에는 지름1m의 음양 도형 이 표시되고 무대 가장자리는 5cm 넓이의 붉은색 경계선을 표시한다. 10cm 넓이의 노란색 경고 선은 경기장 네 가장자리에서 90cm 떨어진 곳에표시한다. 경기장 주위에는 넓이 2m, 높이 20 ~ 40cm의 보호용 매트를 깐다.

체급 / 채점

산수(散手)에는 체중 48kg이하에서부터 -52kg, -56kg, -60kg, -65kg, -70kg, -75kg, -80kg, -85kg, -90kg, 90kg이상 등 11개 체급이 있다. 현대의 우슈는 전통우슈로 바탕으로 1990년 제11회 중국 북경 아시안게임에서우슈경기 7종목(장권, 남권, 태극권, 도술, 검술, 창술, 곤술)이 채택되어 국제 스포츠계에 공인되는 계기가 되었다.

1993년 중국 상해에서 제1회 동아시안 게임과 그리고 1994년 일본 제12회 히로(17th Asian Games INCHEON 2014 )시마안게임에서도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고 히로시마아시아경기대회에도 우슈는 태극권(太極拳) ∙ 남권(南拳) ∙ 장권(長拳)으로 나누어 남녀별로 3종목씩 모두 6개의 금메달이 걸렸다.

채점은 5명의 심판이 합동으로 하며 각 동작의 기술 6점, 힘 2점과, 태도∙복장∙시간 자세에 2점 등 모두 10점을 만점으로 한다.

선수는 나라의 구별 없이 전통 중국의상을 입어야 한다.(현재는 5심제심판방법이 9심제로 바뀌었다.)

또 1997년 부산 동아시안 게임에도 채택되었고 금년 제13회 태국 방콕아시안게 임에도 채택되었으며 산타 경기가 추가되었다.[6]

경기용어

  • 가검(架劍, word over-head block(jiajian)) 한손에는 검을 쥐고(악검), 검 안든 팔을 머리위로 들어올려 손의 모양은 검결지를 한 상태를 가검이라 함한다.
  • 가도(架刀, over-head broadsword block(jiaodao)) 도법의 검과 다른점은 검결지가 아니라 손바닥으로 들어올려(량장) 손바닥이 하늘을 가리키게 한다. (검은 검결지 도는 손바닥)
  • 가주(架팔꿈치 주,upward elbow block(jiazhou)) 같은 내용으로 올려막고, 팔꿈치치기동작을 가주라 한다.
  • 감도(감刀, broadsword horizontal cut(kandao)) 도술 도법의 일종으로 도로 베는동작으로 빗겨베기법이다.
  • 개보(盖步, front cross-step(gaibu)) 한발을 앞다리 앞으로 내밀어 착지하는것으로 발의 놓은 각도는 파보로한다.(罷步)
  • 검법(劍法, sword techniques(jianfa)) 검쓰는 방법으로 막는법 공격법등을 말한다.
  • 검술(劍術, sword play(jianshu)) 일정노선위로 오가면서, 막고 베고 찌르는등 공방의기법을 하는 동작을 뜻한다. 훈련투로을 통해 공방의 기법을 체득하고, 강도를 높힌다. 훈련및 방법 등.
  • 격보(擊步, beat step(jibu)) 양다리로 동시에 뛰는데, 뒷발이 앞발을 뛰면서 부딧치게 뛰는 보법동작을 말한다.
  • 곤번(滾飜, rolling(gunfan)) 몸을 뒤집는 동작을 형용한다.
  • 곤법(棍法, cudgel techniques(gunfa)) 몽둥이~ 곤술 사용법 공격과 방어동작이다.
  • 곤술(棍朮, cudgel play(gunshu)) 곤술의 막고 치는 동작을 일정노선을 만들어 공방의 훈련을 한다. 이에 따른 훈련투로및방법은 여러형태가 있을수 있다. 투로훈련과 약속대련이 그것이다.
  • 과뇌도(과腦刀, broadsword wrapping head(guonaodao)) "도"를 사용하는 방법중 기본이면서 중요한 법으로 머리부위를 돌려막는 동작이다.
  • 관권(꿰뚫기)(貫拳, sweeping back punch(guanquan)) 주먹의 제1 관절로상대의 두상에 주로“태양혈”을 공격할 때 씌이는 동작이다.
  • 괘검(掛劍, sword upward parry(guajian)) 상대공격(검이나 여타무기)을 위에서 아래로 빗겨막고 이어서 내리치는 검법이다.
  • 괘도(掛刀, broadsword upward parry(guadao)) 검술과 마찬가지로 상하빗겨막고, 벽도나 벽검으로 이어진다.
  • 교검(絞劍, sword twisting thrust(jiaojian)) 상대공격을 작은 원으로 교란 방어 한다는 동작으로 교란내지는 방어및 공격법으로 씌인다.
  • 구수(勾, hook hand(gou)) 손가락끝을 모아 새부리처럼 만드는것 주로 점혈 혹은 잡는동작 또는 태구건도의 올려막기등으로 씌인다.
  • 구퇴평형(구腿平衡, back cross-legged balance(kotui pingheng)) 평형동작중 앞발을 지탱하고 한발을 들어 평형의 정도를 극대화시키는 평형동작의 일종이다.
  • 궁보(弓步, bow stance(gongbu)) 궁보는 등산식으로 기본자세의 제1동작으로여긴다. 태권도의 앞굽이 를 연상하면 된다.
  • 권교(圈교, circling bridge(quanqiao)) 남권의 팔기법으로 팔뚝으로 돌려 막는 개념적 동작의 명칭이다.
  • 권법(拳法, fist techniques(quanfa)) 주먹사용 및 쓰는법으로 매우 다양한 유파의 권법이 현존한다. "남권북퇴"의 경우도 이를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 권창(圈槍, spear circling(quanqiang)) 창을 작은원형주위를 돌리는 것 남권의 권교와 비슷한 개념이다.
  • 궤보(궤步, knelt stance(guibu)) 남권 보법의 일종으로 앞발을 세우고 그뒤에무릎을 구부려 거의 포개지 는 보법형태를 말한다. 쪼구려 앉기라고 표현할수 있다.
  • 금계독립(金鷄獨立, golden cock stands on one leg(jinjiduli)) 한다리로서는 동작 독립보로 간략히 표기한다.
  • 기룡보(騎龍步, dragon riding stance(qilongbu)) 남권의 보형중 하나로 소등산 혹은 당랑의 입환식시 다리자세를 칭한다. 궁보에서 뒷다리만 구부린자세이다.
  • 나창(拿槍, right downward spear block(naqiang)) 창으로 상대의 무기를 잡는다란 의미로 이는 동작명칭이다.
  • 남권(南拳, southern style boxing(nanquan)) 우슈표연경기중 권술중 하나로 남파권법(태권도와 유사함) 남파소림총칭이다. 영춘권이나,홍가권등이 이에 속한다.
  • 단박각(單拍脚, fornt slap kick(danpaijiao)) 한다리 발등으로 소리나게 차는것이다.
  • 단접보(單蝶步, single butterfly stance(dandiebu)) 남파권법에서의 보법동작 이름으로 다리하나는 땅에 대고, 뒷다리는 바닥에 붙이는 동작을 말한다.
  • 단퇴(彈腿, side sole kick(chuaitui)) 발등으로 차는것이다.
  • 단편(單鞭, single whip(danbian)) 태극권에서의 동작으로 구수하면서 장으로치는 동작을 말한다.
  • 답보(踏步, stamping step(tabu)) 바닥에 발을 대는것이다.
  • 당주(撞주, elbow strike(zhuangzhou)) 팔꿈치 공격은 여러형태가 있는데 팔꿈치로 친다는 뜻이다.
  • 대련항목(對鍊項目, set sparring events(duilianxiangmu)) 둘이상이 서로짝을 짓거나, 한사람을 여럿이 공격과 방어를 하면서 취하 는 약속 겨루기및 공방의 권법 및 무기등 다양하다.
  • 대약보전천(大躍步前穿, giant leap(dayuebu qianchuan)) 양발을 굴러 높이 혹은 멀리 뛰어나가 장으로 찌르는 동작이다.
  • 도법(刀法, broadsword techniques(daofa)) 갈쓰는법 공방의 기술(刀)이다.
  • 도술(刀術, broadsword play(daoshu)) 공방의 기술(도법)을 일정 노선을 만들어 공격과 방어동작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훈련하는 법이다.
  • 도약(跳躍, jumping(tiaoyue)) 뛰는것이다.
  • 도파(挑把, spear end tilt(tiaoba)) 봉의 뒷부분으로 치는 동작이다.
  • 독립보(獨立步, one leg stance(dulibu)) 한다리로 서는것이다.
  • 루수(樓手, palm outward grasp(loushou)) "루수"로 한팔로 걷어내고 장으로 일장치는것을 말한다.
  • 등각(등脚, heel kick(dengjiao)) 한다리(발뒷꿈치)로 차는것이다.
  • 등공비각(騰空罷脚, jump front kick(tengkong feijiao)) 뛰어 차는것이다.
  • 등공전신파련(騰空轉身罷蓮, jump body-turning lotus kick(tengkongzhuanshen bailian)) 뛰어 몸돌려 바깥다리로 돌려차는것이다.
  • 등공전탄(騰空箭彈, jump snap kick(tengkong jiantan)) 뛰어 앞차기이다.
  • 등공측단(騰空側端 jump side kick(tengkong cechuai)) 뛰어 옆차기이다.
  • 등공파련(騰空罷蓮, jump lotus kick(tengkong bailian)) 뛰어 돌려차기이다.
  • 등퇴(騰腿, heel kick(dengtui)) 발 뒤꿈치로 차는것이다.
  • 란창(란槍 left downward spear block(lanqiang)) 창으로 막는것이다.
  • 람작미(擥雀尾, grasp the peacock's tail(lanquewei)) 태극권의 붕,리,제,안 자세의 동작 총칭이다. 람작미, 란찰의, 람삽의등 여러표현이 있는데, "남삽의"는중국장포(기다란 드레스같은 옷) 상대와 대결하기위해 장포의 밑부분을 걷어 올린다는뜻이다.
  • 량장(亮掌, palm turning(liangzhang)) 손바닥을 들어올려 뒤집는것. 양장(陽掌)이 하늘 위를 향한다.
  • 료검(료劍, sword upper cut(liaojian)) 검법으로서, 밑에서 위로 훑어 올려 베는것이다.
  • 료도(료刀, broadsword upper-cut(liaodao)) 같은 의미로 밑에서 올려 베는것이다.
  • 루슬요보(樓膝拗步, brush knee and twist step(louxiaobu)) 궁보자세에서, 상대의 공격을 걷고 일장으로 치는 것이다. 앞굽이 아래막고 몸 통지르기와 같다.
  • 리어타정(鯉魚打挺, carp skip-up(liyudating)) 뒤로 누웠다가 배치기로 뛰어앉는 자세이다.
  • 마보(馬步, horse stance(mabu)) 기마식 말탄자세를 말한다.
  • 말검(抹劍, sword slicing(mojian)) 칼끝날로 돌려 베는것 보법과 함께 운신하면서 실행한다.
  • 무화창(舞花槍, spear figure-8(wuhuaqiang)) 창으로 좌우를 돌려 방어하듯돌리는 것이다.
  • 박장(손바닥 치기)(拍掌, slap(paizhang)) 발등을 손바닥으로 소리나게 찬다.
  • 반교(槃橋, cioling bridge(panqiao)) 남권에서 마보자세로 팔뚝으로 막기법을하는 자세이다.
  • 반란추(搬란추 block and punch(banlanchui)) 태극권에서의 붕.리.제.안 동작의 총칭이다.
  • 반주(盤주, hook elbowing(panzhou)) 마보자세로 팔꿈치 치기법이다.
  • 반퇴평형(槃腿平衡, cross-legged balance(pantui pingheng)) 한다리로 서는것인데, 한다리는 양반자세 처럼하는 자세이다.
  • 발파(拔把, spear end parry(baba)) 검을 안에서 바깥으로 헤치는 동작 이름이다.
  • 백학량시(白鶴亮翅, white knee and twist step(baiheliangchi)) 태극권에서의 학날개 펴듯한 자태이다.
  • 번등(飜騰, flipping(fanteng)) 몸 뒤집는 자세이다.
  • 벽검(劈劍, sword hack(pijian)) 검으로 물건을 내리쳐 쪼개듯 내려치는 검법을뜻한다.
  • 벽권(팔로 내려치기)(劈拳, straight-arm chop(piquan)) 같은 개념으로 태권도의 수도치기처럼 팔뚝으로 내려치는 이름이다.
  • 벽도(劈刀, broadsword chop(pidao)) 검처럼 도로 내려쳐 쪼개는 개념이다.
  • 벽장(劈掌, palm hack(pizhang)) 장(掌)으로 내려쳐서 쪼개는 개념이다.
  • 벽창(劈槍, spear downward strike(piqiang)) 창으로 녀려친다.(찌르는 끝부분이 아닌 자루쪽으로)
  • 보법(步法, foot work(bufa)) 발 보법 말하자는 권투의 스텝처럼. 근보,종보,격보,등 여러 가지 형태이다
  • 보형(步型, stances(buxing)) 보의 형태를 말함. 구보, 파보, 등.
  • 복지후소(伏地后掃, back sweep(fudihousao)) 합기도의 앉아 돌려차기처럼엎드려서 뒷다리로 돌려찬다.
  • 부보(부步, squatting stance(pubu)) 빗겨앉는 자세로 기본자세의 한가지 종류이다.
  • 분각(分脚, parting legs(fenjiao)) 발끝으로 차는것이다.
  • 붕검(崩劍, sword tilting(bengjian)) 검을 세워 앞으로 미는것이다.
  • 붕창(崩槍, spear tilt(bengqiang)) 창끝은 상대의 인후부정도로 하고, 지탱하여당기는 공격법이다.
  • 삽보(揷步, back cross-step(chabu)) 앞발뒤에 발을 끼워 넣는것이다.
  • 삽장(揷掌, thrust palm(chazhang)) 장으로 끼워 넣는것.한팔위로나 다리위 혹은 뒤로끼워넣는동작을 의미한다.
  • 선자(旋子, butterfly(xuanzi)) 뛰어 몸을 평평하게 뉘어 뛰는동작으로 양다리를 번갈아 가위처럼 등공을 도모한다.
  • 선자전체(旋子轉體, spinning butterfly(xuanzi zhuanti)) 몸뉘어 뛴연후 몸통돌리기 동작을 말한다.
  • 선풍각(旋風脚, whirlwind kick(xuanfengjiao)) 양발을 시간차로 돌려 차는것으로 선풍기처럼 돌려찬다고 해서 선풍각이라 한다.
  • 솔창(率(把), spear downward slap(shuaiqiang)) 창으로 내려치는것(뒷부분)이다.
  • 수법(手法, hand techniques(shoufa)) 손 사용법이다.
  • 수차(竪叉, front split(shucha)) 앞뒷다리를 분개하여 바닥에 대는것이다.
  • 수형(手型, hand forms(shouxing)) 수형은 손의 형태 말하자면, 입장, 벽장, 료장, 음양장 등.
  • 신법(身法, body work(shenfa)) 몸놀림으로 권투의 위빙 더킹 등.
  • 신형(身型, body form(shenxing)) 몸의 형태나 몸의 모습을 변화케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말한다.
  • 쌍 봉 관 이 (雙峰貫耳, strike opponent's ears with bothists(shuangfengguaner)) 태극권에 주로 출현하는 용어로 양 태양혈 치는공법을 뜻하는데, 주로 양주먹 제1관절로 공격한다.
격법
  • 쌍접보(雙蝶步, double butterfly stance(shuangdiebu)) 남권동작의 보법의 일종으로 단접및 쌍접보이다.
  • 안장(손바닥 아래로 밀기)(按掌, downward push(anzhang)) 태극권, 장권등에서 출현 밑으로 내려 누르는 동작이다.
  • 야마분종(野馬分종, parting the wild horse's mane(yemafenzong)) 태극권동작 명칭으로 양팔을 서로 교차시켜 좌우로 나누는 동작을 말한다. 양장이 위는 양장 밑에위치한 장은 음장을 취한다.
  • 여봉사폐(如封似閉, moving as if shutting a door(rufengsibi)) 쌍장을밑에서 위로 쳐올리는 동작이름이다.
  • 연식평형(燕式平衡, swallow balance(yanshi pingheng)) 한발로 지탱 한다리는 지탱한 상태로 양팔을 펴 나는것같은 모양이다.
  • 오룡교주(烏龍絞柱, black-dragon coil-up(wulong jiaozhu)) 누워 한다리는 굽히고,한다리는 편상태로 양발을 엇갈려 돌려 원그려 구루면서 일어나는 동작을 말한다.
  • 외파퇴(外罷腿, lotus kick(waibaitui)) 안에서 바깥으로 돌려차기이다.
  • 용조(龍爪, dragon's paw(longzhao)) 용손톱형태의 수형명칭이다.
  • 운검(云劍, cloud sword(yunjian)) 검을 머리위에서 돌리는동작형용명칭이다.
  • 운수(云手, cloud hand(yunshou)) 태극권의 수법동작으로 남권의 "미인조경"처럼 취하는 이름 보법과 같이 운용한다.
  • 응조(鷹爪, eagle's paw(yingzhao)) 매의 손톱처럼 수형을 취한다.
  • 이자마보(二字馬步, v-shape horse stance(erzimabu)) 남권동작의 기본자세이름으로 기마식을 뜻함. 주로 영춘권에서 겸양마 (鉗陽馬)혹은 2자 마보라 표현한다.
  • 이합퇴(裏合腿, inside crescent kick(lihetui)) 발차기로 발바닥으로 얼굴치듯한 내용으로 태권도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내려찍기개념 발차기이다.
  • 자검(刺劍, sword thrust(cijian)) 검을 세워 찌르기이다.
  • 작지룡(雀地?, slide down(quedilong)) 태극권에서의 한다리를 바닥에 깔고앉는것을 말한다.
  • 잡권(깨뜨리기,부수기)(?拳, hammer strike(zaquan)) 주먹등을 내려치기 다른 손바닥에 친다.
  • 장(손바닥)(掌, palm(zhang)) 손바닥을 뜻하는데, 장권, 남권, 태극권 모두 조금씩 다르다.
  • 장권(長拳, long fist or long boxing(changquan)) 북파소림을 총칭하는현대적 권법이름의 명칭이다.
  • 장도(藏刀, broadsword hiding(cangdao)) 도를 감춘다는 의미로 도법중"장도"하면 팔과 장 뒤로 도를 잠시 뒤로 했다가 다음동작으로 연결한다.
  • 장법(掌法, palm techniques(zhangfa)) 손바닥 쓰는법이다.
  • 재권(栽拳, plant punch(zaiquan)) hctlaemt 주먹을 아래로 친다는 개념이다.
  • 전두도(纏頭刀, broadsword twining head(chantoudao)) 도를 머리를 방어하는 도법의 기본공중 하나이다.
  • 전완화(剪腕花, sword figure-8(jianwanhua)) 도나 검을 팔목을 돌려 막는동작이다.
  • 전탁(前啄, forward peck(qianzhuo)) 앞을 쪼기(남권에 주로 출현하는 수기동작)상보하면서 전탁및 횡탁이다.
  • 전제슬평형(前提膝平衡, forward knee-lifted balance(qiantixipingheng)) 앞다리를 들어 평형동작을 취한다.
  • 점검(点劍, sword touching(dianjian)) 검법으로 검끝(검첨)으로 점혈하는 동작이다.
  • 점창(点槍, spear pointing(dianqiang)) 참으로 점혈및 창끝으로 공격하는법이다.
  • 정주(??, elbowing(dingzhou)) 팔꿈치 공격법이다.
  • 정척퇴(正?腿, front kick(zhengtitui)) 앞차올리기
  • 조장(挑掌, tilt palm(tiaozhang)) 도장이라함. 장을 세우는 것, 장날로 공격하는 의미도 있다.
  • 종보(종步, hopping step(zongbu)) 양다리로 뛰는 동작으로 따라가는 보법이다.
  • 좌반(座槃, cross-legged sitting(zuopan)) 헐보또는 반좌식이라함, 좌반이나 반좌나 같은 의미로 꼬아앉은 자세로 영화 사형도수에서의 뱀이 앉아 상대를 노리는 자세를 연상하면 된다.
  • 주법(팔꿈치 기술)(주法, elbow techniques(zhoufa)) 팔꿈치로 치는것이다.
  • 직신전소(直身前掃, front sweep(zhishenqiansao)) 몸을 세워 앞다리로 공격하는 발차기일종 주로 바닥을 쓸어 넘어뜨리는 기술이다.
  • 질부(跌趺, tumbling(diepu)) 스스로 넘어지면서 공격하는 공격법으로 하단부공격이다.
  • 질차(跌叉, jumping split(diecha)) 태극권동작으로 깔고앉는 자세이다.
  • 찰도(札刀, broadsword thrust(zhadao)) 도로 찌르는 동작 및 기술이다.
  • 찰창(札槍, spear thrust(zhaqiang)) 창으로 찌르는 동작이나, 기술이다.
  • 참도(斬刀, broadsword hack(zhandao)) 도로 베는 동작의 이름이다.
  • 창배(槍背, dive shoulder roll(qiangbei)) 창의 등을 의미한다.
  • 창법(槍法, spear techniques(qiangfa)) 창을 쓰는 법.으로 찰창, 나창, 란창, 벽창 등
  • 창술(槍朮, spear play(qiangshu)) 일정의 공격과 방어의 동작으로 연무선을 따라 창쓰는법을 훈련하는 것을 창술이라한다.
  • 천검(穿劍, sword piercing(chuanjian)) 검으로 찌르는 내용을 뜻함. 주로 공격적인 법이라기보단, 검끝을 바깥방향으로 움직일때"행보천검"이라던가, 상보천검등으로 표현한다.
  • 천사창(穿梭槍, spear slide(chuansuoqiang)) 옥녀천사처럼 좌우로 찌를때이다.
  • 천장(穿掌, piercing palm(chuanzhang)) 장으로 찌르는 동작명칭이다.
  • 추장(손바닥으로 밀기)(推掌, palm push(tuizhang)) 장으로 친다는 개념이다. 혹은 밀기 등으로 쓰인다.
  • 충권(주먹으로 찌름)(衝拳, thrust punch(chongquan)) 주먹으로 친다는 개념이다.
  • 측공번(側空飜 aerial cartwheel(cekongfan)) 옆으로 뛰기이다.
  • 측공퇴평형(側控腿平衡, side leg-raised balance(cekongtuipingheng)) 다리를 옆으로 찬 상태로 멈춤평형동작을 할때. 난도동작의 일종이다.
  • 침교(沈橋 sinking bridge(chenqiao)) 남권에서의 마보상태로 하는 팔뚝의 기법이다.
  • 탄퇴(彈腿, snap kick(tantui)) 발차기나, 소림북파무술중 기본공훈련의 일종으로 12로동작이 있슴. 혹은 차는 기술로 표기하는경우도 있다. 총쏘는것처럼 신속히 차는기술의 의미도 있다.
  • 탐해평형(探海平衡, search-sea balance(tanhai pingheng)) 손끝을 하단부를 향하게하고, 한다리를 들어 평형동작을 취한다.
  • 태극권(太極拳, taiji shadow boxing(taijiquan)) 태극권으로 중국무술 내가삼대문의 일파(태극,형의,팔괘)를 뜻한다. 유파도 많아서 원전은 진식, 양식 , 오식, 무식, 손식등이 국가체위에서 정식으로 인준한 기본형이고, 그 외에도 이파,학파 대만에는 정자가 유행하는등 많은 유파가 있다.
  • 퇴법(발차기,다리 기술)(腿法, leg techniques(tuifa)) 발차기로 등퇴, 요음퇴, 횡등퇴, 다양한 발차기가 있다.
  • 편권(鞭拳, whipping punch(bianquan)) 등주먹을 뜻한다.
  • 평형(平衡, balance(pingheng)) 평형동작으로 연식,제슬,전제슬,측공퇴등 다양한 평형동작이 있다.
  • 표장(標掌, palm thrust(biaozhang)) 남권수번동작으로 평천장을 뜻한다.
  • 학취수(鶴嘴手, crane-bill hook(hezuishou)) 주로 남권에서의 수기법 학의 부리처럼 손가락끝을 모아 공격기로 사용한다.
  • 해저침(海底鍼, needle on the sea bottom(haidizhen)) 바다밑을 찌르는침처럼 동작명칭(주로 태극권)이다.
  • 행보(行步, walking step(xingbu)) 걷는 보법이다.
  • 허보(虛步, empty stance(xubu))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된 보법의 일종이다.
  • 헐보(歇步, resting stance(xiebu)) 틀어앉은 자세로 좌반이나, 반좌나 헐보나같은 의미이다.
  • 호조(虎爪, tiger's paw(huzhao)) 호랑이 손톱이란 의미이다.
  • 횡탁(橫啄, horizontal peck(hengzhuo)) 빗겨쪼기(남권의 학취수로 전개보로상보하면서 횡탁한다) 학취수로 전탁 이후 횡탁한다.[6]

동영상

각주

  1. 쿵후〉, 《네이버 국어사전》
  2. 쿵후〉, 《두산백과》
  3. 정창일, 〈중국무술 우슈(쿵푸)의 역사와 종류〉, 《FT스포츠》, 2021-08-14
  4. 한국쿵후 역사〉, kungfu
  5. 5.0 5.1 해커스국무원, 〈중국무술, 쿵푸(工夫)/우슈(武术)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20-06-24
  6. 6.0 6.1 도솔동자, 〈우슈.쿵푸란?〉, 《Daum카페》, 2013-08-11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쿵후 문서는 스포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