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랑선성

위키원
(랑선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베트남 위치

랑선성(베트남어: Lạng Sơn)은 베트남 동북부에 위치해 있는 성이다.[1][2][3][4]

개요[편집]

랑선성의 면적은 8,305.21㎢이며 인구는 807,315명(2023)이다. 성도는 랑선시이다. 중국광시좡족자치구 충쭤시, 윈난성과 국경을 접한다. 중국과 통하는 통상구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수많은 베트남산 농산물이 중국으로 수출된다. 랑선과 중국 광서성은 '우의관(Friendship Gate)'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양국 간 육상 교역의 핵심 통로이다. 국도 1호선의 최북단이기도 하다.

19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이 성의 명칭은 국제 문서에서 "Langson"(영어), "Lang-Son"(프랑스어) 또는 일반 문학 및 관광 포스터에서는 "Langland"로 표기되었다. 또한 1977년 이전 베트남어 표기에서는 때때로 "Lạng-sơn"(킨족식 표기) 또는 "La̭ng-xơn"(므엉족식 표기)으로도 사용되었다.

베트남 정부가 인정한 40여 개의 소수민족이 랑선성에 거주하고 있으며, 각 민족은 고유의 언어, 전통,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자연환경[편집]

랑선성은 카르스트 석회암 산악 지형과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림과 산악 지역은 성 전체 면적의 약 80%를 차지한다. 랑선성은 남북으로 약 123km, 동서로 약 126km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 해발 고도는 252m이다. 가장 낮은 지점은 후우룽(Hữu Lũng)현 남부로 해발 20m이고, 가장 높은 지점은 모우선(Mẫu Sơn)산으로 해발 1,541m에 이른다. 모우선 산은 랑선 시에서 동쪽으로 약 30km 떨어져 있으며, 작은 봉우리들로 둘러싸여 있는 산악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겨울철에 눈이 내리는 경우도 있다. 박선(Bắc Sơn)산맥 또한 랑선성에 위치하며, 석회암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옥한 계곡은 높은 산맥들 사이에 위치하며,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랑선성 북부는 까오방(Cao Bằng)성과 인접해 있다. 끼(Cùng) 또는 규(Kỳ) 강은 총 길이 약 243km로 랑선 시를 관통하며 흐르고, 높이 약 1,000m의 산맥으로 둘러싸인 계곡에 비옥한 충적 평야를 형성한다. 이 강은 유역 면적 약 6,660km²를 가지며, 딩랍(Đình Lập)현의 박사(Bắc Xa) 산악지대, 해발 1,166m에서 발원한다. 끼강은 중국의 서강(Tây Giang) 유역의 일부이다.

랑선성 북부 산악 지방인 랑선성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식물과 동물의 보고인 울창한 산림을 가지고 있다. 베트남의 자연림 중 5%를 차지하는 카르스트 석회암 지형(탄산염 카르스트)에는 롱선(Long Son)과 까이방(Cai Bang)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지역은 식물과 동물의 다양성 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베트남 동북부는 전국 115만 헥타르의 암석산 중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랑선성과 까오방성이 상당 부분의 석회암 지형을 차지한다.

랑선성은 연평균 기온이 17~22°C, 연강수량은 1,200~1,600mm에 이른다. 여름철 평균기온은 약 28.5°C, 겨울철은 12~13°C이며, 평균 상대 습도는 80~85%, 연간 일조 시간은 약 1,600시간이다.

역사[편집]

고대사로 거슬러 올라가면 청동기 시대로까지 이른다. 이 시기는 중국과 인도를 연결하던 무역로가 홍하 삼각주에서 난닝(Nanning)을 거쳐 광저우(Guangzhou)로 이어졌던 시기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7,000~9,000년 전, 이 지역의 석회암 동굴은 박선 문화(Bac Son culture)의 초기 정착민들이 거주하던 곳이었다.

딘 왕조(968–980)는 이 지역의 무역 성장을 장려하며 중국 송나라 황제에게 용주(永州, Yong Zhou)에 무역 거점을 설치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중국의 연대기에는 안남인들이 향수, 코끼리 상아, 코뿔소 뿔, 금, 은, 소금을 중국산 직물과 교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리 왕조 시대에는 끼꿍(Kỳ Cùng)강 인근 빈빈(Vĩnh Bình)에 대규모 시장이 형성되었다. 1406년 4월 4일, 명나라 사절단이 랑선 국경을 넘자, 호귀리(Hồ Quý Ly)의 군이 이를 습격해 명나라가 호송하던 쩐 왕조의 왕자를 살해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명나라 영락제는 징벌 전쟁을 감행했다. 이후 1527~1592년 동안 명나라는 국경의 전략적 요충지인 랑선을 대대적으로 요새화하였으며, 현재도 랑선 시 서쪽 석회암 봉우리에는 당시 명나라 성채가 남아 있다. 랑선은 응우옌 왕조가 1802년에 건국된 이후, 1831년 명명제 재위 당시 북부 안남 지역의 13개 원래 성 중 하나로 정식 설치되었다. 응우옌 왕조 초기에 북부 베트남은 총독이 통치하였다.

1884년 9월 말, 중국 광서군(Guangxi Army)의 대규모 부대가 랑선에서 출정해 룩남(Lục Nam) 계곡으로 진입하였고, 10월 2일에는 통킹 함대(Tonkin Flotilla) 소속 프랑스 군함 Hache와 Massue를 기습하였다. 프랑스 총사령관 루이 브리에르 드 릴(Louis Brière de l'Isle)은 즉각 반응하여 약 3천 명의 병력을 함선을 통해 룩남 계곡으로 이동시키고, 중국군이 집결하기 전 공격하였다. 케프 원정(Kép campaign, 10월 2일~15일) 동안, 프랑수아 드 네그리에(François de Négrier) 장군 휘하 프랑스군은 람(6일), 켭(8일), 주(10일) 전투에서 중국군을 연이어 격파하였다. 중국군은 북려(Bắc Lệ)와 동송(Dong Song)으로 후퇴하였고, 프랑스는 켭과 주에 전진기지를 구축하였다. 12월 16일, 중국군은 주 인근 하호(Ha Ho)에서 프랑스 외인부대 2개 중대를 기습하였고, 프랑스군은 피해를 입고 전사자를 전장에 남긴 채 탈출하였다. 이에 드 네그리에 장군은 병력을 증강하고 중국군을 추격하였으나, 중국군은 동송으로 무사히 철수하였다. 그 뒤 12,000명의 중국군이 퍄뽀(Phja Pò, 주에서 동쪽으로 18km) 언덕에 대규모 진지를 구축하고, 현지 마을을 약탈하면서 토착 농민들의 원한을 샀다. 12월 23일, 리엔선(Liên Sơn) 마을 주민들이 프랑스군 주둔지로 와서 누이 뽑(Núi Bóp) 일대에 중국군이 집결하고 있다고 알렸다. 프랑스군은 이 위협을 방관할 수 없었고, 결국 1885년 1월 초 드 네그리에 장군은 공격 명령을 받고 누이뽑 전투를 개시했다. 작전군에는 해병대, 터르코(Turco) 대대, 통킹 토착 소총병, 111 및 143 보병 대대, 포병 등이 포함되었다. 랑선 시는 이 해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당시는 매우 번성한 도시였다.

프랑스는 랑선을 전략적 군사기지로 전환했으며, 까오방(Cao Bằng)과 더불어 중요한 거점으로 삼았다. 1906년 고고학자 앙리 만쉬(Henri Mansuy)는 포빈지아(Pho Binh Gia) 인근 탐칸(Tham Kanh) 동굴을 발견하고, 고유 석기와 인골을 발굴하였다. 1922~1925년에는 고로니(M. Coloni)가 이 지역의 박선 문화 유적지 43곳을 확인하였다. 1940년 9월 22일, 일본군은 프랑스 비시 정부와 체결한 협정을 깨고 베트남으로 침공하였다. 25일까지 일본군은 랑선 철도역 인근까지 진입하였고, 26일 저녁 휴전 협정이 체결되어 랑선은 다시 비시 프랑스군에 점령되었다. 1945년 9월 호찌민이 공산 정부를 수립하고, 일본은 포츠담 회담에 따라 남쪽에서는 영국·인도군에 항복, 북쪽에서는 중국 국민당에 항복하였다. 호찌민은 중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와 협약을 맺고 베트남 자치권을 보장받았으나, 1947년 10월 프랑스는 랑선을 거점으로 비엣민에 대해 공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비엣민은 랑선 북부 고속도로 4호선에서 대승을 거두며 프랑스를 격퇴하였다. 이 승리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서막이 되었다. 1950년, 비엣민이 랑선성과 시를 완전히 장악하였다. 1979년 2월, 중국군 60만 명이 베트남을 침공하였고, 20만 명이 랑선성으로 진입하였다. 랑선 시는 북부의 중심 도시로 공격당하였으나, 베트남군이 반격에 성공하며 중국군은 철수하였다. 이 전투는 오늘날까지도 랑선성에서 전설처럼 전해진다. 현재에도 국경 마을에서는 전쟁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1959년 중국 침공 당시에도 랑선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재건되었고, 끼꿍강 인근 구시가에는 유서 깊은 유적이 남아있다.

행정구역 변천[편집]

  • 1949년 06월 07일: 하이닌 성의 록빈(Lộc Bình) 현이 랑선성으로 이관됨.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랑선은 비엣박연락구(Liên khu Việt Bắc)의 일부였음.
  • 1956년 07월 01일: 박장성의 흐우룽(Hữu Lũng) 현이 편입됨.
  • 1964년 12월 16일: 디엠헤(Điềm He) 현과 Bằng Mạc 일부를 합쳐 반꽌(Văn Quan) 현이 신설됨. 동시에 온쩌우(Ôn Châu) 현과 Bằng Mạc 일부가 합쳐져 찌랑(Chi Lăng) 현이 신설됨.
  • 1975년 12월 27일~1978년 12월 29일: 까오방성과 통합되어 "까오랑성(Cao Lạng)"으로 재편되었다가 다시 분리되었으며 이때 꽝닌성의 딘랍(Đình Lập) 현이 랑선성으로 편입되어 현재까지 10개 현을 유지하고 있음.
  • 1979년: 중국의 국경 공격을 방어함.

산업[편집]

랑선성의 경제는 농업임업에 80% 의존하고 있다. 이 지방은 보크사이트, 인광석, 석탄 등의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 은, 납 등의 광물도 매장되어 있다.

주요 작물로는 벼가 있으며, 1986년 기준 총 55,000헥타르 중 40,000헥타르가 벼 재배지였다. 그 외에도 고구마, 옥수수, 마니옥이 재배된다. 차(茶), 황색 담배도 주요 특산물이다. 이러한 작물은 주로 박선산맥, 빈자산맥, 반꾸언산맥 계곡 및 끼꽁강(Kỳ Cùng River), 터엉강(Thương River) 유역 평야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일부 지역(예: 후울엉현)은 사탕수수, 오렌지, 파인애플을 재배하며, 다른 지역은 차나무, 자두나무를 재배한다. 축산업도 발달하여, 1986년 기준 14만 마리의 물소 및 소, 15만 마리의 돼지가 기록되었다. 땃께 오리(That Khe duck)는 이 지역의 특산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전국적으로 농업·임업·어업 협동조합이 273개인데 비해, 랑선성에는 농업 협동조합 15개, 어업 협동조합 4개, 총 32개의 협동조합이 있다(전국 협동조합 수는 7,592개). 농장은 전국적으로 120,699개인데 반해, 랑선성에는 단 26개만 존재한다.

사회[편집]

정부가 독재 공산당이다 보니 오히려 정치가 안정적이라 동남아시아에서는 그나마 치안이 괜찮은 나라이다. 코로나 이전에는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브루나이와 함께 전 국토에 여행경보가 발령되지 않은 국가였다. 그만큼 중범죄 및 총기/테러 사건이 드물며, 타 동남아 국가에 흔한 종교분쟁도 없다. 중범죄는 흔치 않지만, 경범죄는 어느 정도 주의해야 하는데, 한국인들을 타겟으로 한 각종 덤탱이 사기, 소매치기, 날치기가 많아 조심해야 한다. 특히 인구가 많고 복잡한 호치민, 하노이에 여행 계획이 있다면 물건 간수를 꼭꼭 잘하자. 궁금한 사람은 구글이나 네이버에 베트남 날치기나 베트남 소매치기 정도만 검색해 봐도 우수수 쏟아져 나올 정도로 사례가 많다. 어께에 매는 가방(특히 여자들 핸드백)을 매거나 뒷주머니에 물건을 넣는다면 소매치기에게 가져가 달라고 광고하는 꼴이니 백팩을 매고 다니자. 백팩도 가급적이면 앞으로 매는 것이 좋으며, 크로스백도 강한 충격으로 절단되어 절도되는 피해사례가 많으니 주의가 필요하며, 사실 상 힙색이 가장 안전하다.[5][6]

문화[편집]

공산주의 시대에 베트남의 문화적 삶은 정부가 통제하는 미디어와 공산주의적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수십 년 동안 외국 문화의 영향은 차단되고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북한 등 공산주의 국가의 문화를 음미하고 공유하는 것이 강조되었었다. 1990년대 이래로, 베트남은 일본, 유럽, 미국의 문화와 미디어에 대폭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에는 1945년 9월 2일에 하노이에서 설립된 국영방송국인 베트남의 소리가 있다.

베트남의 민속 의상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여성들이 입는 아오자이이다. 아오자이는 현재에는 명절이나 결혼 등 행사, 일상의상 등으로 입는다. 흰색 아오자이는 베트남 전역에서 여학생의 교복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고 학생 이외에는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로 아오 자이를 만들어 입는다. 예전에는 성별 구분 없이 아오자이를 입었으나 현재에는 여성용 의복으로 한정된다. 단, 전통 문화 행사에서는 남성이 입는 경우도 있다.

관광[편집]

많은 방문객을 끌어들이는 풍부한 전쟁사를 가진 지역으로 황폐해진 동당 국경 마을과는 별도로, 이 지방의 다른 역사적 장소는 랑선시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두 개의 커다란 석회암 동굴과 명나라의 16세기 성곽이다.

땀타인 동굴과 니타인 동굴로 불리는 두 동굴에는 불교식 제단이 있고, 조명이 잘 설치되어 있다. 땀타인 동굴은 3개의 방, 물 연못으로 매우 크고, 밖에는 광활한 논을 볼 수 있는 창문이 있다. 오른쪽 동굴의 바깥쪽 방에는 6개의 사당이 있는 땀자오 사찰(1777년 건축)이 있다. 왼쪽에 있는 동굴의 두 번째 방에도 사당이 있다. 응옥뚜옌강은 이 동굴을 통해 산으로 흘러들어 가는데, 이것은 "극적인 광경"으로 묘사되는 특이한 특징이다. 니타인 동굴과 땀타인 동굴에서 약 700m 떨어진 곳에 있는 이 동굴은 18세기에 랑선성 수비대의 군사 지휘관인 응오틴시에 의해 발견되었다. 동굴 입구에 그의 시가 새겨져 있다. 동굴 근처에 세워진 명패는 완전한 유럽 복장을 한 프랑스 거주자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응옥뚜옌강이 동굴을 통해 흐른다.

명왕조의 성은 암석 바깥의 황량한 지역에 위치한 16세기 기념물로, 동쪽과 마주보고 있는 성벽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랑선시에서 땀띤 도로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길가에서 늘어선 계단이 성곽의 폐허로 이어진다. 랑선시는 또한 18세기에 지어진 고대 성벽들을 가지고 있다.

교통[편집]

랑선성에는 두 개의 국제 국경 통로가 있다. 그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통로는 동당(Đồng Đăng)에 위치한 후우응이꽌(Hữu Nghị Quan) 국경문, 일명 우의문(Friendship Gate)으로, 중국의 핑샹(Pingxiang)시와 연결된다. 이는 베트남 북부에서 중국과 연결되는 최초의 역사적 육상 통로로, 매일 07:00~17:00까지 개방되며, 양국 사이의 중립지대를 약 500m 도보로 통과해야 한다.

1996년부터 하노이~베이징 간 국제 특급열차가 이 경로를 통해 운행된다. 주 2회(화요일과 금요일) 운행되며, 랑선 시와 동당역을 경유하여 국경 도시에서 약 3시간 정차, 출입국 수속을 진행한다. 단, 하노이와 베이징 사이의 중간역에서는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랑선성은 하노이에서 북쪽으로 155km 거리에 위치하며, 국도 1호선과 1A호 선이 지나는 교통 요충지이다. 이 노선은 역사적으로 유명한 찌랑(Chi Lăng) 고개(1427년 레러이(Lê Lợi)가 10만 명의 명나라 군을 물리친 전투지)를 통과하며, 박장(Bắc Giang)을 지나간다. 또한, 까오방성과는 국도 4호선을 따라 135km 거리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랑선성〉, 《위키백과》
  2. 이동 랑선성〉, 《나무위키》
  3. 이동 "Lạng Sơn", Wikipedia
  4. 이동 "Lạng Sơn province", Wikipedia
  5. 이동 베트남〉, 《나무위키》
  6. 이동 베트남〉,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국가
동남아시아 도시
동남아시아 지리
동남아시아 바다
동남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랑선성 문서는 베트남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