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베트남 북중부지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베트남 위치

베트남 북중부지역(베트남어: Bắc Trung Bộ)은 베트남 북중부에 위치한 지역이다.[1][2][3]

개요[편집]

베트남 북중부지역의 면적은 51,242.75㎢이며 인구는 11,190,830명(2022)이다. 현재 북중부 지역은 행정적으로 6개의 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성은 다시 도시, 군(현), 읍, 사, 사회단위 등으로 세분되어 있다. 이 지역은 정부가 지정한 6개 경제권 가운데 하나로, 경제사회 종합계획 수립이 위임된 지역이다.

베트남의 지리적 지역 구분 체계에 따르면, 베트남 북중부지역은 북부와 남중부 사이의 이행 지역이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의 주민은 주로 리(Lý), 쩐(Trần), 레(Lê) 왕조 시기에 청화(Thanh Hóa), 응헤안(Nghệ An), 하띤(Hà Tĩnh) 출신의 사람들이 빈찌티엔(Bình Trị Thiên)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형성되었다. 그로 인해, 이 지역의 베트남 사람들은 민속 문화 전반에서 깊은 연관성과 공동체적 유대를 형성해왔다. 이 지역에는 25개의 다양한 소수민족이 거주하며, 대표적으로 타이족, 므엉족, 따이족, 몽족, 브루-반키우족 등이 쯩선(Trường Sơn) 산맥 지역에 분포한다. 동쪽의 해안 평야에는 킹족(베트남인) 이 주로 거주한다.

국방 측면에서 이 지역의 각 성은 제4군관구 사령부(Bộ Tư lệnh, Quân khu 4)의 책임과 관리 하에 있다.

자연환경[편집]

베트남 북중부지역의 영토는 좁고 길게 형성된 지형으로, 북쪽의 땀디엡 산맥에서 남쪽의 박마 산맥까지 이어진다. 북쪽은 북부 중산지대 및 홍강 삼각주, 남쪽은 남중부 연안 지역, 서쪽은 쯔엉선 산맥과 라오스, 동쪽은 동해(북부만)과 접해 있다. 중산지대, 해양, 도서 등이 영토를 따라 분포해 있어 다양하고 풍부한 경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지역은 복잡한 지형과 혹독한 기후, 다양한 변화가 존재하므로 이를 합리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많은 깊은 만과 강 하구는 크고 작은 항구를 형성할 수 있어, 지역 내 및 국내외 다른 지역과의 물자 교류와 유통에 도움을 준다.

역사[편집]

베트남 북중부지역은 역사적으로 국가 방어와 영토 보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지닌 지역이다. 예로부터 "변두리", "국경 방패"라 불렸고, 베트남 민족의 수많은 항쟁의 출발지였다.

중국 지배 1000년 동안, 이 지역은 중국 봉건 외세에 맞선 여러 반란의 발상지였다. 248년, 짠푸현(Thanh Hóa)의 관옌(Quan Yên) 출신의 쯔엉티쯩(여장군 쯔우) 은 동오(東吳)의 육윤(Lục Dận) 장군의 6000 군대를 물리쳤다. 이후 육윤은 대군을 모아 저항군을 분열시키고 진압했고, 쯔우는 푸디엔(Phú Điền)의 뚱산에서 순국했다. 리비(Lý Bí) 는 하띤의 득토(Đức Thọ)에서 호족들을 모아 량나라의 총독 소자(蕭資)를 쫓아냈고, 542년에 전리조를 창건했다. 722년, 마이툭로안(Mai Thúc Loan)은 응에안의 호안주(Hoan Châu)에서 당나라에 맞서 만안(萬安) 도읍을 세우고 반란을 일으켰다. 931년, 즈엉딘응에(Dương Đình Nghệ)는 아이주(Ái Châu, 현 타인호아)에서 일어나 남한(南漢)의 총독 이진(李進)을 축출하고 대라성(Đại La)을 해방시켰다. 938년, 응오꾸옌(Ngô Quyền)은 아이주에서 군사를 일으켜 대라성을 점령하고 교공찬(Kiều Công Tiễn)을 토벌한 후, 박당강 전투에서 남한군을 격파하고 자주 독립 시대를 열었다.

호조(胡朝)와 후레조(後黎朝) 시대, 타인호아, 투언화, 응에안은 대명제국에 맞선 저항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레러이(Lê Lợi) 가 명나라에 대항해 봉기할 때 이들 지역은 전략적 거점이자 강력한 후방이었다. 쾅쭝(Quang Trung) 황제는 푸쑤언(Phú Xuân, 현 후에)에서 즉위 후 북중부를 군사, 인재, 물자 공급지로 삼아 1789년 계유년 전투에서 청나라 20만 대군을 무찔렀다. 19세기 말, 프랑스 식민 침략에 맞서 하띤의 향케 봉기(Phan Đình Phùng), 타인호아의 바딘 봉기(Cần Vương 운동의 절정)가 일어났다. 프랑스와 미국에 맞선 두 차례 전쟁 동안, 북중부는 전선이자 후방으로 중대한 역할을 했다. 현재 제4군구(Quân khu 4) 가 베트남 북중부지역 6개 성의 국방을 총괄하며, 전인민 국방 체제를 강화하고 무장력을 육성하고 있다.

산업[편집]

베트남 북중부지역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1인당 GDP가 낮은 지역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서북부(Tây Bắc) 지역이다.

베트남 북중부지역에는 풍부한 석회암 등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광업 및 건축 자재 생산 산업이 발달했으며, 이는 북중부 산업의 핵심이다. 목재 가공, 기계, 섬유, 식품 가공 등의 산업도 존재하나 지역 간 분포는 고르지 않다. 기술 및 연료 인프라가 개선 중이며, 타인호아는 현재 북중부에서 산업 생산 가치가 가장 높은 성이다. 주요 산업 작물로는 사탕수수(타인호아), 차(응에안), 고무(꽝빈), 후추(꽝빈)가 있다.

베트남 북중부지역에는 대규모 어장이 없지만, 해안 어업은 가능한 지역이다. 응에안은 북중부의 주요 어업 중심지이며 대부분 어선이 소형 연안형이어서 남획과 어족 자원 고갈 우려가 있으며 최근에는 염수·기수 양식업이 빠르게 성장 중이며, 해안 농촌 경제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베트남 북중부지역에는 라오스와의 국경에 위치한 관문들(아젓, 꺼우쩌오, 짜로, 라오바오 등)이 많고, 긴 해안선은 외국 선박의 무역 및 관광 유입에 유리하며 관광업이 빠르게 성장 중이며, 운송 및 통신업을 중심으로 서비스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다.

사회[편집]

베트남의 공식 언어는 베트남어이며 로마자로 적는다. 베트남어는 단철어(單綴語)로 성조에 6성이 있다. 중국의 영향으로 한자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식민통치를 받으면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가 추진되어 현재 한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꾸옥 응으(베트남어: quốc ngữ / 國語)로 불리는 이 로마자 표기는 16세기부터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이 현지어를 로마자로 옮겨 적으려는 작업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예수회의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포르투갈어 철자법을 바탕으로 최초의 안남어 사전을 만들어냈다.

정부가 독재 공산당이다 보니 오히려 정치가 안정적이라 동남아시아에서는 그나마 치안이 괜찮은 나라이다. 코로나 이전에는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브루나이와 함께 전 국토에 여행경보가 발령되지 않은 국가였다. 그만큼 중범죄 및 총기/테러 사건이 드물며, 타 동남아 국가에 흔한 종교분쟁도 없다. 중범죄는 흔치 않지만, 경범죄는 어느 정도 주의해야 하는데, 한국인들을 타겟으로 한 각종 덤탱이 사기, 소매치기, 날치기가 많아 조심해야 한다. 특히 인구가 많고 복잡한 호치민, 하노이에 여행 계획이 있다면 물건 간수를 꼭꼭 잘하자. 궁금한 사람은 구글이나 네이버에 베트남 날치기나 베트남 소매치기 정도만 검색해 봐도 우수수 쏟아져 나올 정도로 사례가 많다. 어께에 매는 가방(특히 여자들 핸드백)을 매거나 뒷주머니에 물건을 넣는다면 소매치기에게 가져가 달라고 광고하는 꼴이니 백팩을 매고 다니자. 백팩도 가급적이면 앞으로 매는 것이 좋으며, 크로스백도 강한 충격으로 절단되어 절도되는 피해사례가 많으니 주의가 필요하며, 사실 상 힙색이 가장 안전하다.[4][5]

문화[편집]

베트남은 기본적으로 연장자 존중, 효도, 체면 등의 문화가 남아있지만 동시에 한국식 나이 서열의 원인을 제공한 일제 통치의 영향이 없어서 의도적으로 나이와 관련된 서열 문화를 무시하려는 경향도 공존한다. 다만 중국의 한나라에 대응하던 무기를 들고 싸운 쯩 자매나 서양인들도 17 ~ 19세기에 베트남은 여성이 경제 활동을 남성보다 잘하는 것 같다는 기록을 할 정도로 여성 경제 활동 참여, 국방에 대한 참여는 다른 유교 문화권과 달리 오히려 권장되거나 다른 문화를 주민 반발 때문에 받아들이지 못했다. 강인한 생활력을 갖춘 여성상이 선호되는 것이다. 심지어 여성이 아이와 총을 동시에 드는 프로파간다 포스터도 제작된다.

공산주의 시대에 베트남의 문화적 삶은 정부가 통제하는 미디어와 공산주의적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수십 년 동안 외국 문화의 영향은 차단되고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북한 등 공산주의 국가의 문화를 음미하고 공유하는 것이 강조되었었다. 1990년대 이래로, 베트남은 일본, 유럽, 미국의 문화와 미디어에 대폭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에는 1945년 9월 2일에 하노이에서 설립된 국영방송국인 베트남의 소리가 있다.

베트남의 민속 의상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여성들이 입는 아오자이이다. 아오자이는 현재에는 명절이나 결혼 등 행사, 일상의상 등으로 입는다. 흰색 아오자이는 베트남 전역에서 여학생의 교복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고 학생 이외에는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로 아오 자이를 만들어 입는다. 예전에는 성별 구분 없이 아오자이를 입었으나 현재에는 여성용 의복으로 한정된다. 단, 전통 문화 행사에서는 남성이 입는 경우도 있다.

베트남은 인구가 많지만, 대중문화 자생력은 상당히 뒤떨어진다는 평이다, 대한민국, 중국, 일본, 태국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인도와 튀르키예 드라마들도 어느정도 수입된다.

교통[편집]

베트남 북중부지역은 국가 주요 간선 도로가 지나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이다. 북중부는 북부의 중점경제지역 및 중부 중점경제지역과 인접해 있으며, 북남을 잇는 철도 및 도로의 주요 교통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서쪽과 동쪽을 잇는 여러 자동차 도로들이 존재하며, 주요 국도로는 7호선, 8호선, 9호선, 보조 국도로는 46, 47, 48, 49호선이 있어 라오스와 동해를 연결한다.

이 지역에는 공항 시스템(토쑤언 공항, 빈 공항, 동허이 공항, 푸바이 공항 등)과 항만(응이선, 꺼러, 꺼회, 선즈엉-붕앙, 냣레, 혼라, 찐마이 등), 그리고 수산 양식에 유리한 석호들이 존재한다. 또한 퐁냐-께방 동굴, 후에 왕도 등은 베트남의 중요한 관광 중심지로, 베트남과 라오스, 미얀마, 태국 등 여러 나라와의 경제 교류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

관광[편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편집]

  • 호 왕조 성(Thành nhà Hồ) – 청화성(Thanh Hóa)
  • 퐁냐께방 국립공원(Vườn quốc gia Phong Nha - Kẻ Bàng) – 꽝빈성(Quảng Bình)
  • 후에 고도 유적지군(Quần thể di tích cố đô Huế) – 투아티엔후에성(Thừa Thiên Huế)
  • 후에 궁중 아악(Nhã nhạc cung đình Huế) – 후에 궁정 전통 음악

해변[편집]

  • 삼선 해변(Bãi biển Sầm Sơn)
  • 하이띠엔 해변(Bãi biển Hải Tiến)
  • 하이호아 해변(Bãi biển Hải Hòa)
  • 끄어러 해변(Bãi biển Cửa Lò)
  • 티엔깜 해변(Bãi biển Thiên Cầm)
  • 낫레 해변(Bãi biển Nhật Lệ)
  • 끄어뚱 해변(Bãi biển Cửa Tùng)
  • 투언안 해변(Bãi biển Thuận An)
  • 랑꼬 해변(Lăng Cô)

국립공원[편집]

  • 벤엔 국립공원(Vườn quốc gia Bến En) – 청화
  • 푸맛 국립공원(Vườn quốc gia Pù Mát) – 응헤안
  • 부광 국립공원(Vườn quốc gia Vũ Quang) – 하띤
  • 퐁냐께방 국립공원(Vườn quốc gia Phong Nha - Kẻ Bàng) – 꽝빈
  • 박마 국립공원(Vườn quốc gia Bạch Mã) – 후에

출신 인물[편집]

  • 고대-중세 인물: 짜오 티 쯔잉(Triệu Thị Trinh), 마이 투끄 론(Mai Thúc Loan), 즈엉 딘 응에(Dương Đình Nghệ), 호 꾸이 리(Hồ Quý Ly), 레 러이(Lê Lợi), 응우옌 호앙(Nguyễn Hoàng), 광쭝(Quang Trung)
  • 문학·혁명가·지도자: 응우옌 주(Nguyễn Du), 판 보이 짜우(Phan Bội Châu), 호찌민(Hồ Chí Minh), 쩐 푸(Trần Phú), 레 홍 퐁(Lê Hồng Phong), 하 허이 탑(Hà Huy Tập), 보 응우옌 잡(Võ Nguyên Giáp), 레 주언(Lê Duẩn), 레 카 피에우(Lê Khả Phiêu), 레 득 아인(Lê Đức Anh)
  • 왕조 인물: 호 왕조, 후 레 왕조, 쯔어우(Trịnh), 응우옌(阮) 군주, 응우옌 왕조 등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북중부 지방 (베트남)〉, 《위키백과》
  2. 이동 "Bắc Trung Bộ", Wikipedia
  3. 이동 "North Central Coast", Wikipedia
  4. 이동 베트남〉, 《나무위키》
  5. 이동 베트남〉,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국가
동남아시아 도시
동남아시아 지리
동남아시아 바다
동남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베트남 북중부지역 문서는 베트남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