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박장성

위키원
(박장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베트남 위치

박장성(베트남어: Bắc Giang)은 베트남 동북부에 위치해 있는 성이다.[1][2][3]

개요[편집]

박장성의 면적은 3,895.9㎢이며 인구는 2,462,600명(2024)이다. 성도는 박장시이다. 박장성은 홍강 삼각주 유역에 위치해 있다. 동쪽으로 꽝닌성, 북쪽으로 랑선성, 서쪽으로는 수도 하노이, 남쪽으로는 박닌성하이즈엉성과 접해있다.

현재의 명칭인 박장(北江, Bắc Giang)은 쩐 왕조(Trần Dynasty) 시기부터 비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안신왕(An Sinh Prince) 쩐 리에우(Trần Liễu)의 봉토를 일컫는 말이었다. 그 봉토는 까우강(Sông Cầu)의 오른쪽 강둑에 위치하였다. 또한 이 지역은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륙남(陆南, Lục Nam)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이는 륙안(Lục Ngạn) 현과 륙남강(Sông Lục Nam)의 이름을 조합한 것이다. 두 명칭 모두 박장성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많은 언덕이 있는 지역(륙안)에 남쪽으로 흐르는 강이 있는 곳(륙남)을 의미한다.

박장성은 고대 낀박 지역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풍부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박장성은 유네스코가 인정한 23개의 고대 만다린 마을이 있는 꽌호 민요의 요람 중 하나이다.

박장성(Bắc Giang)은 관광객들을 위한 다양한 명소들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유적지로는 께조(Khe Rỗ) 원시림, 쑹장(Xương Giang) 고성, 깜선(Cấm Sơn) 호수, 득라(Đức La) 사원, 토하(Thọ Hà) 정자 등이 있다.

자연환경[편집]

박장성은 평야지대, 중간지대, 산악지대의 세 가지 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지대는 주로 히엡호아(Hiệp Hòa), 비엣옌(Việt Yên) 지구 및 박장시(Bắc Giang city)에 분포하고 있고, 산악지대는 선동(Sơn Động), 루크응안(Lục Ngạn), 옌테(Yên Thế), 탄옌(Tân Yên), 옌중(Yên Dũng), 랑장(Lạng Giang) 등 6개 군이며, 이 산악 지역은 박장성 전체 면적의 약 72%를 차지한다.

성 전체 면적 중 약 12만 3천 헥타르가 농업용지, 11만 헥타르는 산림용지, 그리고 6만 6,500헥타르는 주거 및 도시용지 또는 기타 용도로 사용된다. 박장성의 농지는 벼, 채소, 과일 작물 및 뿌리나무 재배에 적합하며, 산림 확대 가능성도 있다. 산림 자원은 약 350만m³의 목재와 5억 그루의 대나무 및 줄사초(neohouzeaua)로 추정된다.

지형은 북쪽의 고산지대와 남쪽의 홍강 삼각주 사이에 있는 완만한 산악 지대로, 고립된 산보다는 연속된 산지가 많다. 성 북단에는 미개간된 산림이 있으며, 동남부에는 옌뜨산(Yên Tử)이 위치한 옌뜨 자연보호구가 있다. 지형의 해발 고도는 대부분 300~900m 범위이며, 최고 해발 고도는 1,068m(옌뜨산)이다. 꽝닌성과 경계를 이루는 북동부에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케로(Khe Rỗ) 산림이 71.53km²에 걸쳐 분포한다.

박장성에는 총 347km의 하천과 계류가 있으며, 주요 강은 루크남강(Lục Nam), 트엉강(Thương), 까우강(Cầu)이다. 하천 외에도 캄선호(Cấm Sơn), 쿠언떤호(Khuôn Thần) 등 다양한 호수가 있다. 연못, 호수 및 석호 지역의 총 면적은 약 16,300헥타르에 달한다. 캄선호는 룩응안 지구에 위치해 있으며, 랑선성과 접한다. 길이는 약 30km, 폭은 200m에서 최대 7km에 이르며, 면적은 약 26km²로, 우기에는 30km²까지 증가할 수 있다.

쿠언떤호는 약 2.4km²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는 5개의 작은 언덕섬이 있으며, 20년 된 소나무 숲에 둘러싸여 있다. 이 호수에서는 페달 보트 및 모터보트를 이용할 수 있다. 호숫가에는 소수민족 마을이 분포하고 있으며, 접근 경로는 박닌 → 박장(51km) → 호아강(98km) → 캄선호로 이어진다. 트엉강의 최고 유량은 64.4m³/s이며, 최저 유량은 12.9m³/s로 보고된다.

박장성은 북부 평야의 열대 온대 기후 지역의 지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온, 습도, 강우량은 수개월과 계절에 따라 다르다. 박장성의 기후는 5월부터 9월까지의 덥고, 장마철과 11월부터 3월까지는 춥고 건조한 계절이라는 두 가지 뚜렷한 계절로 구분되어 왔다. 평균 온도는 22~23°C로 다양하며, 기록된 최대 온도는 41°C이고 최저 온도는 13°C이다. 습도 값은 73% ~ 87% 범위에 있다. 평균 강우량은 1,953mm로 보고된다. 연간 1,500~1700시간의 일조 시간은 열대나 아열대 나무를 키우기에 좋다. 평균 풍속은 2.1m/s이고 평균 대기압은 757.71mmHg이다. 박장성은 베트남 동부 해안과 동해(남중국해)에 위치한다. 비록 일부 산악 지역에서 회오리 바람과 우박바람이 토착화된 현상이기는 하지만, 태풍, 폭풍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미국 자연사박물관 생물다양성 보존센터(CBC-AMNH)와 베트남 생태학·생물자원 연구소(IEBR)가 공동으로 박장성에서 실시한 다분류 조사에 따르면, 까우리어(Khau Rịa)와 푸타카(Pu Tha Ca) 산에서는 61종, 떠이꼰린(Tây Côn Lĩnh) 산에서는 105종 등 총 146종의 조류가 발견되었다.

역사[편집]

후 레 왕조(Later Lê Dynasty) 시기, 이 지역은 박하부(北河府, Bắc Hà phủ)로 불렸다. 이후 응우옌 왕조(Nguyễn Dynasty)가 들어서면서, 1822년에는 티엔푹부(Thiên Phúc phủ)가 되었고, 뜨득 황제(Emperor Tự Đức) 시기에는 다푹부(Đa Phúc phủ)로 불렸다. 1889년 11월 5일부터 1891년 9월 9일까지, 박장성에는 륙남성(Tỉnh Lục Nam)이 존재하였다. 이 성은 바오록(Bảo Lộc), 프엉언(Phượng Nhỡn), 륙남(Lục Nam), 후울렁(Hữu Lũng) (랑장과 박닌성 일부에서 분리됨), 그리고 옌바이(Yên Bái) (랑선성에서 분리됨) 등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1891년 바오록과 프엉언이 박닌성으로 환원되면서 륙남성은 폐지되었고, 제1보병연대(Đạo Quan Binh I)에 통합되었다. 현대의 박장성은 1895년 10월 10일에 박닌성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초기에는 랑장(Lạng Giang)과 다푹(Đa Phúc) 부, 낌아인(Kim Anh), 옌중(Yên Dũng), 프엉언(Phượng Nhỡn), 비엣옌(Việt Yên), 히엡화(Hiệp Hòa), 옌테(Yên Thế) 등과 륙남강 이남 지역의 일부 소영토로 구성되었다. 당시 성청 소재지는 푸랑트엉(Phủ Lạng Thương)이었으며, 현재의 박장시이다. 1896년, 다푹부와 낌아인 현은 다시 박닌성으로 반환되었다.

1945년 3월, 일본군은 박장성에서 프랑스 전쟁포로들을 집단 학살했다. 박장 주둔군이 항복하자마자 일본군은 포로 45명을 총검으로 찔러 살해했고, 중상을 입은 4명만이 생존했다. 3월 11일, 까우강가에서 22명의 포로가 살해되었고, 3월 13일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13명이 학살되었다. 3월 14일, 교회 뒤편에서 프랑스 포로 14명이 추가로 처형되었다. 1950년, 베트남 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시기, 박장성은 베트북 연맹구(Liên khu Việt Bắc)에 편입되었고, 히엡화(Hiệp Hòa), 륙안(Lục Ngạn), 옌테(Yên Thế), 랑장(Lạng Giang), 비엣옌(Việt Yên), 옌중(Yên Dũng), 후울렁(Hữu Lũng) 등 7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1955년 2월 22일, 꽝옌성(Quảng Yên) 소속이었던 선동현(Sơn Động)이 박장성에 편입되었다. 1956년 7월 1일, 북부 자치구(Khu tự trị Việt Bắc)가 설립되면서, 후울렁현은 랑선성(Lạng Sơn)으로 이관되었다. 1957년 1월 21일, 선동과 륙안은 선동(Sơn Động), 륙안(Lục Ngạn), 륙남(Lục Nam) 3개 현으로 분할되었다. 1962년 10월 27일, 박장성과 박닌성은 통합되어 하박성(Hà Bắc)이 되었으며, 이후 1997년 1월 1일, 두 성은 다시 분리되어 현재의 행정구역이 되었다.

산업[편집]

박장성은 북중부 산맥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중심지이다. 박장성은 2019년 인구 기준으로 12위, 국내총생산(GRDP)에서 16위, 1인당 GRDP에서 24위, 베트남의 베트남의 12번째 행정 단위다. 1인당 GRDP에서, GRDP 성장률에서는 2위를 하였다. GRDP는 VND 108,915억 동 (미화 47억 달러에 상당)에 달했고, 1인당 GRDP는 VND 6000만동 (미화 2620달러에 상당), GRDP 증가율은 16.2%에 달했다.

사회[편집]

베트남 정부가 독재 공산당이다 보니 오히려 정치가 안정적이라 동남아시아에서는 그나마 치안이 괜찮은 나라이다. 코로나 이전에는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브루나이와 함께 전 국토에 여행경보가 발령되지 않은 국가였다. 그만큼 중범죄 및 총기/테러 사건이 드물며, 타 동남아 국가에 흔한 종교분쟁도 없다. 중범죄는 흔치 않지만, 경범죄는 어느 정도 주의해야 하는데, 한국인들을 타겟으로 한 각종 덤탱이 사기, 소매치기, 날치기가 많아 조심해야 한다. 특히 인구가 많고 복잡한 호치민, 하노이에 여행 계획이 있다면 물건 간수를 꼭꼭 잘하자. 궁금한 사람은 구글이나 네이버에 베트남 날치기나 베트남 소매치기 정도만 검색해 봐도 우수수 쏟아져 나올 정도로 사례가 많다. 어께에 매는 가방(특히 여자들 핸드백)을 매거나 뒷주머니에 물건을 넣는다면 소매치기에게 가져가 달라고 광고하는 꼴이니 백팩을 매고 다니자. 백팩도 가급적이면 앞으로 매는 것이 좋으며, 크로스백도 강한 충격으로 절단되어 절도되는 피해사례가 많으니 주의가 필요하며, 사실 상 힙색이 가장 안전하다.[4][5]

문화[편집]

중국 남부 지방과의 오랜 교류로 인하여, 베트남 문화를 특징짓는 한 가지 요소는 재정적 책임이다. 베트남에서 교육과 자수성가는 높은 가치를 부여받는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과거 시험을 통과하는 것만이 베트남 사람이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유일한 것이었다. 베트남이 오늘날의 영역으로 통합된 것은 근대의 일로, 그 전에는 유교 및 한(漢)문화의 영향을 받은 북부와 베트남의 주 종족인 킨 족외에 인종적으로 말레이계에 속하는 참파인의 국가였던 참파가 있었던 중부문화권, 그리고 크메르 제국의 영역에 속했던 남부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 북부, 중부, 남부의 차이는 언어 및 풍속, 문화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존재한다. 중국의 유교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베트남에서는 윗사람과 아랫사람이라는 상하 개념은 없고, 서로 스스럼없이 대한다.

베트남은 기본적으로 연장자 존중, 효도, 체면 등의 문화가 남아있지만 동시에 한국식 나이 서열의 원인을 제공한 일제 통치의 영향이 없어서 의도적으로 나이와 관련된 서열 문화를 무시하려는 경향도 공존한다. 다만 중국의 한나라에 대응하던 무기를 들고 싸운 쯩 자매나 서양인들도 17 ~ 19세기에 베트남은 여성이 경제 활동을 남성보다 잘하는 것 같다는 기록을 할 정도로 여성 경제 활동 참여, 국방에 대한 참여는 다른 유교 문화권과 달리 오히려 권장되거나 다른 문화를 주민 반발 때문에 받아들이지 못했다. 강인한 생활력을 갖춘 여성상이 선호되는 것이다. 심지어 여성이 아이와 총을 동시에 드는 프로파간다 포스터도 제작된다.

공산주의 시대에 베트남의 문화적 삶은 정부가 통제하는 미디어와 공산주의적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수십 년 동안 외국 문화의 영향은 차단되고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북한 등 공산주의 국가의 문화를 음미하고 공유하는 것이 강조되었었다. 1990년대 이래로, 베트남은 일본, 유럽, 미국의 문화와 미디어에 대폭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에는 1945년 9월 2일에 하노이에서 설립된 국영방송국인 베트남의 소리가 있다.

베트남의 민속 의상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여성들이 입는 아오자이이다. 아오자이는 현재에는 명절이나 결혼 등 행사, 일상의상 등으로 입는다. 흰색 아오자이는 베트남 전역에서 여학생의 교복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고 학생 이외에는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로 아오 자이를 만들어 입는다. 예전에는 성별 구분 없이 아오자이를 입었으나 현재에는 여성용 의복으로 한정된다. 단, 전통 문화 행사에서는 남성이 입는 경우도 있다.

교통[편집]

박장성은 하노이에서 50km 떨어져 있으며 국도 제1A 호선, 31호, 279호 등 도로망이 좋다. 박장성에서 하노이, 랑선성, 타이응우옌성, 꽝닌성의 광산 지역 등을 운행하는 열차 노선을 가지고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박장성〉, 《위키백과》
  2. 이동 "Bắc Giang", Wikipedia
  3. 이동 "Bắc Giang province", Wikipedia
  4. 이동 베트남〉, 《나무위키》
  5. 이동 베트남〉,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국가
동남아시아 도시
동남아시아 지리
동남아시아 바다
동남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박장성 문서는 베트남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