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연신내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신내역(Yeonsinnae Station, 延新內驛)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갈현동, 대조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환승역이다. 2024년 12월 28일 GTX-A 개통돼 홍대입구역, 초지역, 수서역, 종로3가역, 고속터미널역, 상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 이어 동일하게 6호선 개통 24년 만에 3개 노선 환승역이 됐다. 역 이름은 불광천을 가리킨 옛 지명 가운데 하나인 연신내에서 유래됐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구파발천 하저터널로 구파발역과 연결된다.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3호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6호선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다. 두 노선 역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7개가 있다.

3호선 승강장[편집]

구파발역
| 하 상 |
불광역
상행 수도권 전철 3호선 구파발(은평성모병원)·지축·백석(건강보험일산병원)·정발산(고양아람누리)·대화 방면
하행 불광·충무로·약수·수서·오금 방면

6호선 승강장[편집]

6호선은 곡선승강장으로 특정지역으로 분류되며, 승강장과 열차사이의 단차가 매우 넓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독바위역
순환 |
구산역
순환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역·월드컵경기장(성산)·고려대(종암)·신내 방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승강장[편집]

대곡역
| |
서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킨텍스·운정중앙 방면
서울역·수서역·구성역·동탄역 방면

환승[편집]

환승은 3호선 → 6호선 또는 6호선 → 3호선(독바위역에서 출발하는 승객만) 환승 때 연신내역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인접한 역[편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X103 대곡역
운정중앙역 방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X106 서울역
동탄역 방면
서울 지하철 3호선
320 구파발역
대화역 방면
수도권 전철 3호선 322 불광역
오금역 방면
서울 지하철 6호선
613 독바위역
응암역 순환
서울 지하철 6호선 615 구산역
신내역 방면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연신내역 문서는 수도권 지하철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