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지축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축역(Jichuk station, 紙杻驛)은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전철역이다. 이 역을 경계로 대화역 방향으로는 한국철도공사일산선, 오금역 방향으로는 서울교통공사지하철 3호선으로 나뉜다.

역사[편집]

개요[편집]

역사 전체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유지 관리 업무는 서울특별시 산하 지방 공기업인 서울교통공사에서 담당한다. 과거 고양군 시절에 개통했으므로, 대한민국에서 군(郡) 단위 지역에 최초로 영업을 개시한 도시철도역이기도 하다. 동부 역사는 기존부터 존재해 왔던 서울교통공사서울 지하철 3호선이며, 서부 역사는 일산선 연결 당시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건설했던 한국철도공사일산선으로 하나의 역이 둘로 구분된 있는 특징이 있다. 지축차량사업소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가 승강장 서측 끝단에 있다.

역 구조[편집]

지상 2층 규모의 지상역으로, 지상 2층에 승강장이 있다. 대합실(맞이방) 및 역무 시설은 서울교통공사(1번 출구) 측과 한국철도공사(2번 출구) 측에 각각 별도로 개설돼 있으며, 개찰구와 출구가 각각 하나씩 있다. 각 출구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다.

1990년 최초로 개통됐을 때엔 당시 서울 지하철 3호선이 6량이었으므로 서울지하철공사 구역만 건설됐다가, 1991년 일산선의 착공과 함께 10량으로 증설되면서 남은 4량의 구역을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건설했다. 따라서, 승강장의 관할 구역은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의 구역이 약 6:4의 비율로 나뉘어 있으며, 관할의 경계를 나타낸 표식이 선로 옆에 설치돼 있다. 다만, 스크린도어, 열차도착안내기는 모두 서울교통공사의 것만 설치돼 있다. 또한 2009년 1회용 교통카드 시행 이전은 2번 출구의 승차권 자동발매기, 교통카드 인식 단말기(개집표기)는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했으나, 현재는 서울교통공사가 관리하며, 안내 표지판은 한국철도공사의 제품을 사용한다. 다만, 2번 출구의 정산은 한국철도공사가 하며, 승차량 통계 역시 각자 산출한다. 두 개찰구 모두 서울교통공사에서 관리하므로 두 개찰구 모두 개찰구 밖으로 나갔다가 15분 이내 개찰구 안으로 들어올 경우 환승으로 인정된다.

배선도[편집]

지축역과 지축차량사업소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1990년 7월 13일 개통 당시 승강장은 1면 1선(단선) 규모였기 때문에 3호선 전 열차의 회차를 처리하기엔 용량이 부족해 일부 열차만 시·종착했다. 이후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에 맞추어 철도청을 통해 승강장을 1면 2선으로 확장해 현재 규모가 됐고, 건넘선이 철거돼 이 역에서 시·종착한 열차는 폐지됐다. 지축차량사업소 인입선은 삼송역구파발역에만 연결돼 있다.


승강장[편집]

삼송역
| 하 상 |
구파발역
상행 수도권 전철 3호선 화정·대곡역·백석(건강보험일산병원)·정발산(고양아람누리)·대화 방면
하행 구파발(은평성모병원)·연신내·충무로·옥수·도곡·수서·오금 방면

주변[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역사 업무 전체 중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가 2개 운영권을 담당하고 있으나, 개찰구는 회사별로 각자 설치되어 있으며 운임 수익 정산도 따로 한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3호선(서울교통공사) 승차 2,449 2,537 2,582 2,437 2,429 2,593 2,584 2,803 2,949 3,057
하차 2,388 2,438 2,517 2,400 2,375 2,590 2,597 2,861 3,165 3,291
승하차 4,837 4,975 5,099 4,838 4,804 5,183 5,181 5,664 6,113 6,348
3호선(일산선) 승차 129 572 638 657 0 524 547 587 644 657
하차 106 481 518 493 0 541 561 613 698 713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호선(서울교통공사) 승차 2,655 1,810 1,473 1,405 1,431 1,356 1,373 1,214 1,304
하차 2,920 2,089 1,696 1,635 1,575 1,427 1,421 1,339 1,470
승하차 5,575 3,899 3,169 3,040 3,006 2,783 2,794 2,553 2,774 2,855 5,141 6,857 9,278
3호선(일산선) 승차 581 394 343 311 297 263 244 218 233 249 552 738 1,146
하차 631 465 425 367 298 243 214 208 234 249 537 728 1,127

인접한 역[편집]

일산선·서울 지하철 3호선
318 삼송역
대화역 방면
수도권 전철 3호선 320 구파발역
오금역 방면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지축역 문서는 수도권 지하철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