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대곡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곡역(大谷驛)은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전철역이며 교외선철도역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도촌천 하저터널로 백석역과 연결된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이 역만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심야에 3편성이 주박한다.

역명 유래[편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大莊洞)과 내곡동(內谷洞)의 경계 지점에 있다. 역명 결정 과정에 논란이 일자, 두 동명에서 한 글자씩 조합하여 '대곡역'으로 역명이 결정됐다.

역사[편집]

역 구조 및 특징[편집]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역으로, 당초부터 일산선 역 신설과 함께 경의선 측도 건설됐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은 기존 일산선 역에 연결된 형태로 건설되어 출입구와 대합실 일부를 공유하며, 독자적인 출입구는 설치돼 있지 않다.

개찰구는 지상 2층 일산선 측에 위치하며 지상 2층에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연결된 환승 통로가 있다. 승강장은 일산선 역이 지상 3층, 경의·중앙선 역이 지상 1층에 있으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도 승강장을 공유한다.

일산선, 경의선, 교외선 등이 교차하나 실제 경의선교외선의 분기역은 능곡역이다. 일산선은 고가로 통과하기 때문에 삼각선 등의 연결 선로가 존재하지 않고, 교류 방식인 한국철도공사 관할의 타 전철화 노선과 달리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직결을 위해 전력 공급을 직류로 받는다. 결정적으로 일산선은 우측통행이기 때문에, 일산선-경의선-교외선 상호 간 직접적 연계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2009년 경의선 전철이 개통하기 이전에 통근열차가 대곡역에 정차했다. 당시엔 일산선 대합실에서 경의선 승강장을 잇는 통로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대신 일산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연결한 환승 통로로 대체됐다. 다만 기존 환승 통로보다 지나치게 우회해 문제의 소지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3호선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다.

백석역
| |
화정역
1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정발산(고양아람누리)·주엽·대화 방면
2 지축역·충무로·옥수·오금 방면

경의·중앙선, 서해선 광역전철 승강장[편집]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가진 지상역으로, 현재 두 노선 승강장에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5개가 있다. 서해선 승강장쪽은 통근형 전동차를 비롯해서, KTX-이음 열차도 정차할 수 있도록 다중 슬라이드형 안전문이 설치되었다.

능곡역
| | | |
곡산역
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행신역·가좌·신촌·서울·덕소·용문·지평 방면
2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역·시흥시청역·초지(신안산대)·원시 방면
3 일산역 방면
4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일산역·문산 방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승강장[편집]

킨텍스역
| |
연신내역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킨텍스역·운정중앙 방면
서울역·수서역·구성·평택지제 방면

교외선[편집]

원릉역
|
시.종착 ↓
1 교외선 무궁화호 의정부 방면

역 주변[편집]

나가는 곳 방면
1 대림아파트, 양우아파트
2 일산신도시·백석·대화
3 서울·원당·화정, 백석역
4 일산신도시, 백석, 대화
5 갈머리, 한국수자원공사, 대곡초등학교
6 대곡초등학교, 임시주차장
7 임시주차장
8 대곡동

이용객 변동[편집]

개찰구를 3호선과 경의·중앙선 구분없이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어 모든 승차량이 일산선 승차량으로 간주된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3호선 승차 681 954 1,058 1,092 833 881 883 872 882 914
하차 435 482 571 802 648 703 711 703 720 775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호선 승차 843 941 1,021 1,197 1,312 1,436 1,536 1,632 1,696 1,789 1,457 1,542 1,902
하차 647 722 782 919 1,004 1,102 1,169 1,237 1,303 1,387 1,130 1,215 1,529

인접한 역[편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X102 킨텍스역
운정중앙역 방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X105 연신내역
평택지제역 방면
일산선
313 백석역
대화역 방면
수도권 전철 3호선 315 화정역
오금역 방면
경의선
K323 곡산역
문산역 방면
문산역 방면
문산역 방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본선 완행
중앙선 급행
지선 완행
K321 능곡역
지평역 방면
용문역 방면
서울역 방면
K324 백마역
문산역 방면
문산역 방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 본선 급행
경의선 지선 급행
K320 행신역
용문역 방면
서울역 방면
수도권 전철 서해선
S10 곡산역
일산역 방면
수도권 전철 서해선 S12 능곡역
원시역 방면
교외선
시·종착역 무궁화호
교외선
원릉역
의정부역 방면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대곡역 문서는 GTX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