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포크 (개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기.png (다른뜻) 포크에 대해 보기

포크(fork)란 개발자들이 하나의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통째로 복사하여 독립적인 새로운 소프트웨어개발하는 것을 뜻한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경우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고, 통째로 복사하는 것이 허용되는 라이선스를 따르기 때문에, 원저작자의 허가 없이 포크를 통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하다.

개요[편집]

포크(fork)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식사할 때 쓰는 포크와 스펠링이 같다. 하지만 포크의 다른 뜻으로 분기점이라는 뜻이 있다. 포크가 일어난다는 것은 새로운 분기점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포크의 종류에는 하드포크소프트포크가 있으며 포크가 일어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이전의 규칙에서 새로운 규칙으로 넘어간다는 점에서 똑같다고 볼 수 있다.[1]

종류[편집]

소프트포크[편집]

소프트포크는 기존의 규칙에서 큰 틀은 바꾸지 않고 부분적인 업데이트만 일어나 포킹(Forking)된 블록끼리 호환이 가능하다. 어느 정도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규칙을 따르는 블록체인은 업데이트가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이다.[2] 소프트포크가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진실을 반영하는 체인이 어떤 것인지 확정된 것이 아니여서 체인 재배열을 통해 거래기록이 뒤집히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어 매우 신중하게 거래를 진행해야한다.[3]

하드포크[편집]

하드포크는 블록의 규칙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업데이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 노드들과 호환이 되지 않는다. 하드포크가 되면 전혀 다른 블록체인이 되어 합의에 도달하지 않고 서로 분리된 채 블록이 계속 쌓여나간다. 하드포크의 특성 상 포킹(Forking)할 때 코인을 송금한다면 포킹된 새로운 코인도 송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리플레이 어택(Replay Attack)이라고 한다. 리플레이 어택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포크가 일어나기 직전엔 절대로 송금하지 않아야 한다.[2]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비교[편집]

항목 소프트포크 하드포크
기존 체인 관계 - 기존 체인과 결합

- 기존 체인 재사용

- 영속적 분기

- 기존 체인 부정

규칙 변경 목적 - 단순 오류 수정

- 소규모 업데이트

- 기능개선, 오류정정

- 문제점 보완

업데이트 강제성 - 블록 생성 노드만 업데이트 필요 - 모든 참여 노드 업데이트 필수
컨센서스 필요성 - 참여 노드 합의 불필요 - 참여 노드 합의 필요
기존 버전 호환성 - 기존 블록체인과 호환(동시사용) 가능 - 기존 블록체인과 호환 불가

하드포크를 하는 이유[편집]

블록체인소프트포크만 있었다면 아마 포크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다. 소프트포크는 체인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소프트포크를 하는 이유는 잘 짜여진 블록체인 구조에 약간의 수정을 가하면 훨씬 더 좋은 블록체인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하드포크를 하는 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다음은 하드포크를 하는 이유이다.[4]

  • 신규 기능 추가
블록체인에 A라는 기능이 없었는데 필요해졌다고 가정할 때 하드포크를 해야한다. 즉 있는 기능을 안쓰는건 소프트포크로 가능하지만 없는 기능을 만들어 내는 것은 소프트포크로 불가능하여 하드포크를 해야한다.[4]
  • 블록 크기의 확장
블록 크기의 확장이 있을 경우 하드포크를 단행한다. 블록크기가 불필요하게 커도 사용할 수는 있지만 블록크기가 작으면 기록이 계속 밀리게 되면서 거래의 처리속도가 늦어지므로 블록 크기를 확장한다. 이 이유로 하드포크한 대표적인 예로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된 비트코인 캐시가 있다.[4]
  • 해커의 공격
해킹 공격등을 당해 긴급하게 기존의 블록 내용이 바뀔수도 있다. 블록을 조작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개발진들이 블록을 다시 클리어하는 하드포크를 단행할 수 있다.[4]
  • 새로운 코인을 만들 경우
재단과 다른 방향으로 현재의 체인을 이용해서 새로운 코인을 만들고 싶을 경우 하드포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이유는 주체가 재단이 아니라 제 3자이다. 즉 하드포크를 해도 기존의 체인도 계속 사용한다. 대표적인 예로 이더리움에서 하드포크한 이더리움 클래식이 있다.[4]
  • 로드맵에 있는대로 진행하는 경우
가장 이상적인 하드포크로, 이러한 경우 기술이 발전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장의 입장에서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4] 대표적인 예로 2019년 2월 28일 시행된 이더리움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가 있다.

사례[편집]

포크[편집]

하드포크[편집]

소프트포크[편집]

  • 세그윗 : 세그윗이란 Segregated Witness의 약자로서, 비트코인블록에서 디지털 서명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블록당 저장 용량을 늘리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말한다. 비트코인은 세그윗이라는 소프트포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비트코인은 거래내역을 기록하는 블록 크기가 1MB에 불과하여 초당 7건, 하루 최대 60만건의 거래내역밖에 처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트코인 블록에서 디지털 서명 부분을 분리하여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블록당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게 되었다.
  • 라이트닝 네트워크 :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오프체인 상에서 결제를 하는 시스템이다. 결제 채널을 열 때 수수료가 한번, 닫을 때 한번, 총 두번이 나가게 된다. 그 외의 수수료는 스마트 컨트렉트로 처리되기 때문에 이더 가스를 소모하는 것처럼 아주 소액이 필요하다. 결제 채널을 열어놓으면 결제 채널은 닫기 전까지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고 여러번 거래해도 수수료가 거의 들지 않는다. 오프체인상의 거래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굉장히 빨리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라이트닝 네트워크라고 불린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세그윗이 필수적이다.[5] 대표적인 예로 비트코인 캐시는 세그윗과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모두 소프트포크하였다.[6]
  • BIP9 : BIP9은 여러 BIP제안들이 비트코인 네트워크 안에서 얼마나 지지를 받는지 확인하고,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어떻게 시스템에 적용할지 같은 절차적인 방법을 정의한 제안이다.[7]
  • BIP16 : 비트코인 스크립팅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표준 트랜잭션 유형을 설명하고 새 트랜잭션에만 적용되는 추가 유효성 검사 규칙을 정의한다.[8]
  • BIP30 : 참조 구현에 있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에서 중복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한 사양을 제공한다. [9]
  • BIP34 : 비트코인 블록 및 트랜잭션은 버전이 지정된 이진 구조이다. 두 가지 모두 현재 버전 1을 사용한다. 이 BIP는 버전 관리 된 트랜잭션 및 블록에 대한 업그레이드 경로를 도입한다. 새로 생성된 코인베이스 트랜잭션에 고유한 값이 추가되고 블록이 버전 2로 업데이트 된다.[10]
  • BIP65 : 비트코인 스크립팅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opcode(OP_CHECKLOCKTIMEVERIFY)를 설명한다. 이 스크립트는 미래의 어느 시점까지 트랜잭션 출력을 배제 할 수 있도록 한다.[11]
  • BIP66 : 서명을 엄격한 DER 인코딩으로 제한하기 위해 비트코인 트랜잭션 유효성 규칙에 제안된 변경 사항을 지정한다.[12]
  • BIP91 : BIP 148에 따라 세그윗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자 채굴자 측에서는 다른 제안을 하게 된다. Segwit2x이다. 이를 위해 Segwit2x에서는 BIP 91을 사용한다. BIP 91은 BIP 9는 아니지만 유사한 과정을 따르는데, 336 블록동안 비트 4를 표시한 블록의 수가 80% 이상일 경우 락인되고, 활성화 후에는 비트1을 표시하지 않은 블록을 거부하게 된다.[13]
  • BIP141 : BIP141은 세그윗(SegWit)을 활성화하기 위한 원래 계획이다.[14] 분리된 증인(Consensus layer)이라고 하며 찬성률이 95%일 때 세그윗(Segwit)이 자동 업데이트된다.[15]
  • BIP148 : 다소 급진적인 제안으로, BIP 141의 세그윗 활성화를 위해서 채굴자의 동의를 구해야 하는 BIP 9 방식을 따르지 않고 유저들의 주도하에 특정 날짜 이후부터 BIP 141에 동의하지 않는 블록을 거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3]
  • P2SH : Pay to script hash 의 약자이다. 공개키가 아닌 스크립트 해시에 지불하는 개념으로, 하나의 퍼블릭 키를 해싱하는 것이 아닌 여러 공개키 함께 해싱하여 출력하는 개념이다.[16]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주소 형식을 변경한다.[17]

각주[편집]

  1. 코인뉴스, 〈(비트코인 입문서)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가 무엇인가요?〉, 《티스토리》, 2018-05-30
  2. 2.0 2.1 easyblockchain, 〈쉽게 설명하는 블록체인:블록체인의 허점과 하드포크, 소프트포크〉, 《banksalad》, 2018-04-06
  3. GOPAX 공식 홈페이지 - http://a.to/19heRQc
  4. 4.0 4.1 4.2 4.3 4.4 4.5 Flatinum, 〈블록체인의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 《티스토리》, 2019-01-04
  5. 소셜세이브 블록체인, 〈(코인백과사전 2편) 알기쉬운 비트코인, 비트코인의 기술들〉, 《네이버 블로그》, 2018-03-10
  6. 코인펜, 〈하드 포크VS소프트 포크〉, 《티스토리》, 2018-08-19
  7. Lee Jungmin, 〈[1]〉, 《leejungmin》, 2017-07-29
  8. dergigi, 〈BIP 16〉, 《GitHub》, 2019-04-10
  9. kn0rhaan, 〈BIP 30〉, 《GitHub》, 2017-07-21
  10. luke-jr, 〈BIP 34〉, 《GitHub》, 2016-11-30
  11. zaqltomo, 〈BIP 65〉, 《GitHub》, 2018-03-06
  12. harding, 〈BIP 66〉, 《GitHub》, 2018-04-05
  13. 13.0 13.1 새아침, 〈BIP 용어 정리 (비트코인세그윗 관련)〉, 《네이버 블로그》, 2017-07-27
  14. 에이미 캐스터, 〈CoinDesk Explainer : Bitcoin 분할을 피하면서 BIP 91이 SegWit을 실행하는 방법〉, 《coindesk》, 2017-07-18
  15. Eastinny, 〈[2]〉, 《clien》, 2017-07-18
  16. Skkrypto, 〈Bitcoin #3: 거래 구조와 UTXO〉, 《brunch》, 2018-08-11
  17. 레드곰의 부업이야기, 〈Bitcoin 포크에 대한 짧은 안내서〉, 《티스토리》, 2017-03-27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포크 (개발)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