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 | |
| {{블록체인 기술|좋은글}} | | {{블록체인 기술|좋은글}} |
− | | + | {{암호화폐 거래}} |
− | [[분류:거래]]
| |
아토믹스왑(atomic swap)은 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서로 다른 코인을 직접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2013년 티어 놀란(Tier Nolan)이 비트코인 토크 포럼에서 처음 제안했다. 2014년 코모도(Komodo)의 주요 개발자인 'JL777'이 처음으로 아토믹스왑 개발에 성공했다. 아토믹스왑은 '아토믹 크로스 체인 트레이딩'(atomic cross chain trading)의 줄임말로서, 간략히 코인스왑(coin swap) 또는 에어스왑(airswap)이라고도 한다.
아토믹스왑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들 간의 직접적인 교환을 말한다. 대개 서로 다른 블록체인 기반의 코인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이용하는데, 거래 수수료가 발생하고, 해킹 위험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암호화폐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암호화폐 소유자들끼리 직접 다른 종류의 코인을 교환하고자 할 때 아토믹스왑이 사용된다.
신뢰 문제[편집]
아토믹스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거래 상대방에 대한 신뢰 문제이다. 사용자 A와 B가 있고, A는 비트코인 소유자이고 B는 라이트코인 소유자인데, 둘이 직접 코인을 교환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두 명이 교환 비율에 합의하여, A가 B에게 비트코인 1개를 보내고, 그 대가로 B가 A에게 라이트코인 10개를 보내기로 합의했다고 가정해 보자. 문제는 거래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관계에서 거래 상대방에 대해 아무런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단지 상대방의 지갑 주소를 알고 있을 뿐인데, 만약 한 쪽이 암호화폐를 보냈으나, 다른 쪽이 보내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두 명이 서로 거래 시간을 약속하고 동시에 보내는 방법을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만약 한 명은 전송 버튼을 눌렀으나, 다른 사람이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어떻게 될 것인가? 블록체인의 특성상 일단 한 번 전송 버튼을 누르면, 그 거래는 취소할 수가 없기 때문에, 먼저 버튼을 누르는 사람이 사기를 당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결국 익명성이 보장되는 암호화폐 거래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제3의 기관인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양 당사자가 직접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일은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탈중앙화를 표방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거래하기 위해서 역설적이게도 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아토믹스왑은 이러한 거래 상대방의 신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연구·도입하고 있다. 아토믹스왑은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두 암호화폐 간에 아토믹스왑이 성공하려면, 각 암호화폐에 적용된 해시 함수가 동일해야 하고, 해시 타임 락 계약(HTLC) 기반이어야 하며,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를 사용해야 하고, 기타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타임락 기술[편집]
서로 다른 블록체인 사이에서 코인을 거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타임락(time lock) 기술이다. 이 기술은 해시 타임 락 계약(HTLC, hash time lock contract)이라고도 하는데, 두 사람이 코인을 교환할 때 일정한 시간을 설정해 두고, 만약 한 쪽은 코인을 전송했으나 다른 쪽에서 일정 시간 안에 코인을 전송하지 않을 경우에 거래가 취소되고, 미리 받은 코인은 자동으로 반환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소유자 A가 B에게 비트코인을 1개를 전송하고, B는 A에게 라이트코인 10개를 전송했다고 가정해 보자. 두 코인이 서로 상대방을 향해 전송되었으나 아직 최종적으로 코인을 개인 지갑으로 수령한 상태는 아니다. 이 때 B는 자신만 아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A가 보낸 비트코인을 최종적으로 수령할 수 있다. B가 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그 내용이 블록체인에 올라가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되는데, 이 때 A가 그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함으로써 자신에게 도착해 있던 라이트코인을 받을 수 있게 된다.[1] 만약 일정한 시간 안에 A와 B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위 거래는 취소되고 코인은 원래 소유주에게 반환된다. 이 방법을 사용해, 2017년 11월 비트코인과 라이트코인 사이에 아토믹스왑이 성공했다.[2]
라이트닝 네트워크[편집]
아토믹스왑은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란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거래 시, 두 블록체인의 장부에 거래내역을 각각 기록을 하는 것이 아니라, 두 블록체인 밖의 다른 제3의 거래 장부에 별도로 기록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통해 거래의 두 당사자들로부터 독립된 공정하고 중립적인 블록체인에 거래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A와 B가 서로 코인을 거래하는 경우, 제3의 사용자인 C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사용자 C는 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가 아니라, A와 B가 모두 신뢰하는 개별 노드(node)를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C가 A와도 결제 채널이 열려 있고, B와도 결제 채널이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즉, 사용자 C는 사용자 A와 B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양자의 거래를 매개해 주는 역할을 하는 노드에 해당한다. 사용자 A와 B는 비트코인과 라이트코인을 서로 교환하고자 할 때, 중간에 있는 사용자 C를 일종의 개인 사설 환전소로 이용하여 거래를 할 수 있다. 먼저 A가 비트코인 1개를 C에게 보내고, 그 사실이 알려지면 B가 라이트코인 10개를 C에게 보낸다. 두 전송가 모두 성공한 후 사용자 C는 비트코인 1개를 B에게 보내고, 라이트코인 10개는 A에게 보냄으로써, 이 거래가 완성된다.[1]
일렉트럼 아토믹스왑[편집]
2017년 12월 코모도(Komodo)와 비트코인캐시(bitcoin cash) 사이에 아토믹스왑이 성공했다. 이 때 사용한 기술이 일렉트럼 아토믹스왑(electrum atomic swap) 기술이다. 기존에는 아토믹스왑을 수행하려면, 사용자가 서로 다른 두 블록체인을 모두 내려받은 후 거래가 가능했다. 그에 따라 거래 준비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방대한 저장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일렉트럼 아토믹스왑 기술을 사용하면, 거래 당사자가 양쪽의 블록체인을 전부 다운로드 받지 않아도 간단하게 코인 거래를 할 수 있다.[3]
웨이브즈[편집]
러시아의 이더리움이라고 불리는 웨이브즈(Waves)의 창시자인 알렉산더 사샤 이바노프는 2017년 웨이브즈 지갑에 아토믹스왑 기능을 구현했다. 웨이브즈 지갑을 사용하면, P2P 방식으로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를 생성, 전송, 교환할 수 있다. 웨이브즈 지갑을 사용하면, 비트코인, 이더리움, 웨이브즈 등 암호화폐뿐 아니라, 미국 달러, 유로화 등 법정화폐로도 교환할 수 있다. 웨이브즈는 이 기능을 이용하여, 2017년 4월 탈중앙된 분산형 암호화폐 거래소인 덱스(DEX) 기능을 구현했다. 웨이브즈는 매처(matcher)라는 특별한 노드를 두고, 이 노드를 통해 들어오는 주문을 매치하고 빠른 속도로 거래를 실행한다. 웨이브즈는 이처럼 탈중앙화된 거래소를 통한 아토믹스왑 방식의 암호화폐 교환 거래에 대해 0.003 웨이브즈 정도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 ↑ 1.0 1.1 veritaholic, 〈아토믹스왑: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어떻게 다른 알트코인들에 적용될 수 있는가〉, 《뉴스페퍼민트》, 2018-08-04
- ↑ 고란 기자, 〈암호화폐 거래소 장부거래 의혹…덱스가 뜬다〉, 《중앙일보》, 2018-04-07
- ↑ ventasnu, 〈아토믹스왑(Atomic swap)과 비트코인(BTC), 라이트코인(LTC) 그리고 코모도(KMD)코인〉, 《VENTAS - Cryptocurrency Market Leader》, 2018-02-13
참고자료[편집]
- 고란 기자, 〈암호화폐 거래소 장부거래 의혹…덱스가 뜬다〉, 《중앙일보》, 2018-04-07
- 최규현 기자, 〈아토믹 스왑(Atomic Swap)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비아이뉴스》, 2019-04-29
- 머니넷스탭, 〈아토믹 스왑(Atomic swap)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7-09-19
- ventasnu, 〈아토믹스왑(Atomic swap)과 비트코인(BTC), 라이트코인(LTC) 그리고 코모도(KMD)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02-13
- veritaholic, 〈아토믹 스왑: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어떻게 다른 알트코인들에 적용될 수 있는가〉, 《뉴스페퍼민트》, 2018-08-04
- goldenman, 〈(암호화폐) 아토믹 스왑 & 에토믹 스왑, 쉬운 말로 설명해보기 (Atomic Swaps & Etomic Swaps)〉, 《스팀잇》, 2018-03-01
- "Atomic cross-chain trading", bitcoin wiki
같이 보기[편집]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술 □■⊕, 합의 알고리즘, 암호 알고리즘, 알고리즘,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솔루션, 블록체인 서비스
|
|
블록체인 기술
|
Bech32 • BTP • DRC-20 • EIP • IPFS • KRC-20 • NFT 마켓플레이스 • P2P • P2PKH • P2SH • PFP • PUF • SPV • TPS • TRC-20 • UTXO • 가나슈 • 가명성 • 가스 • 가십 • 가십 프로토콜 • 개념증명(PoC) • 검증가능지연함수(VDF) • 게스 • 고스트 프로토콜 • 공공예산 • 글로벌신뢰인공지능 • 대체가능토큰 • 대체불가토큰(NFT) • 도지더리움 브릿지 • 디지털 자산 • 디지털 희소성 • 라운드 • 라운드 로빈 • 라이트하우스 • 랜덤 • 레그테크 • 레이든 • 리카르디안 계약 • 린스타트업 • 마스터키 • 마스트 • 메인넷 • 멜팅 • 믹싱 • 민팅 • 밈블윔블 • 반감기 • 베타넷 • 변경불가성 • 브릿지 • 블록체인 생태계 •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aaS) • 블룸필터 • 비블록체인 • 비앱 • 비콘체인 • 비트코인코어 • 빤통경제 • 수정 고스트 프로토콜 • 스냅샷 • 스마트 계약 • 스마트 브리지 • 스웜프로토콜 • 스크립트퍼브키 • 스테이킹 • 스텔스 주소 • 스핀오프코인 • 슬래싱 • 시크릿 컨트랙트 • 심플 컨트랙트 • 아토믹스왑 • 암호경제(크립토 이코노미) • 앤드어스체인인공지능 • 앵커링 • 언스테이킹 • 에어드랍 • 에폭 • 오프체인 오더락 • 오피리턴 • 옵코드 • 원토큰 문제 • 웨이 • 위스퍼 프로토콜 • 위임 • 유니스왑 • 유동성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 이중지불 • 익명성 • 인증된 익명 아이디 • 인터레저 프로토콜(ILP) • 자산화 • 잠금 스크립트 • 최소기능제품(MVP) • 컨소시엄 블록체인 • 컬러드코인 • 코인셔플 • 코인소각 • 코인에이지 • 코인조인 • 코인토싱 • 크립토노트 • 키스토어 • 타임락 • 테스트넷 • 토다 • 토큰 이코노미 • 토큰화 • 튜링완전 • 튜링불완전 • 트랜잭션 아이디(TxID) • 트러스트 컨트랙트 • 트루빗 • 트릴레마 • 파워 • 파티셔닝 • 퍼블릭 블록체인 • 페널티 • 프라이버시 • 프라이빗 블록체인 • 플랫폼 • 플러딩 • 피어 • 피투피(P2P)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합의 • 해시락 • 해시타임락(HTLC) • 해제 스크립트 • 확장성
|
|
해시
|
레인보우 테이블 • 매핑 • 머클경로 • 머클루트 • 머클트리 • 분산해시테이블(DHT) • 블록해시 • 스큐드 머클트리 • 온라인툴즈 • 이전블록해시 • 카뎀리아 • 해시 • 해시레이트 • 해시맵 • 해시충돌 • 해시테이블 • 해시파워 • 해시함수 • 해싱
|
|
블록
|
고아블록 • 그래핀 • 논스 • 마이크로블록 • 베이킹 • 북키퍼 • 브랜치블록 • 브로드캐스팅 • 블록 • 블록높이 • 블록바디 • 블록생성자 • 블록정보 • 블록타임 • 블록헤더 • 비츠 • 세그윗 • 엉클블록 • 완결성 • 제네시스블록 • 타임스탬프 • 프룻 • 프룻체인
|
|
체인
|
더블체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 • 라이트닝 루프 • 루트체인 • 루프체인 • 메인체인 •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블록격자 • 블록체인 • 사용자 활성화 소프트포크(UASF) • 사용자 활성화 하드포크(UAHF) • 사이드체인 • 서브체인 • 소프트포크 • 오페라체인 • 오프체인 • 온체인 • 인터체인 • 차일드체인 • 체인 • 탱글 • 테스트체인 • 토카막 네트워크 • 포크 • 포크체인 • 퓨어체인 • 프로덕트체인 • 프루닝 • 프리포크 • 플라즈마 알고리즘 • 플라즈마캐시 • 플래시 계층 • 하드포크 • 해시그래프 • 홀로체인
|
|
노드
|
검증인(밸리데이터) • 기본노드 • 노드 • 라이트노드 • 랜덤노드 • 마스터노드 • 베이킹노드 • 보조노드 • 보증노드 • 슈퍼노드(슈퍼대표, 대표노드) • 슬롯 • 슬롯리더 • 엔드포인트노드(레인저노드) • 의회 네트워크 • 작업노드 • 종단노드 • 종자노드(시드노드) • 중계노드 • 지갑노드 • 채굴노드(마이닝노드) • 쿼럼 • 풀노드 • 합의노드
|
|
샤딩
|
네트워크 샤딩 • 데이터베이스 샤딩 • 동적샤딩 • 샤드 • 샤딩 • 스테이트 샤딩 • 알고리즘 샤딩 • 적응형 상태 샤딩 • 체인샤딩 • 트랜잭션 샤딩
|
|
채굴
|
병합채굴 • 사전채굴 • 에이식(ASIC) • 에이식부스트 • 에이식 저항 • 일드파밍 • 채굴 • 채굴 난이도 • 채굴량 • 탄소감축채굴 • 페어런치
|
|
탈중앙화
|
TVL • 거버넌스 • 게임파이 • 다오(DAO) • 다이코(DAICO) • 닥(DAC) • 닥스(DAX) • 덱스(DEX) • 디앱(DApp) • 디지오(DGO) • 디튜브 • 디파이(DeFi) • 분산경제 • 분산원장(DLT) • 분산 클라우드 • 소셜파이 • 씨파이(C-Fi) • 오프체인 거버넌스 • 온체인 거버넌스 • 원장 • 준중앙화 • 중앙화 • 탈중앙화 • 탈중앙화 TPS • 탈중앙화 조직(DO) • 탈중앙화 지수(DQ)
|
|
분산아이디
|
DIDs • IETF • ToIP • 검증가능한 자격증명 • 검증인 • 디지털아이덴티티재단 • 발급자 • 보유자 • 분산아이디(DID) • 분산아이디 기관 • 분산아이디 인증(DID Auth) • 아이온 • 자기주권 • 자기주권신원 • 최소화된 자격증명 데이터 • 탈중앙화 키관리시스템 • 통합해석기
|
|
오라클
|
상호인증 블록체인 • 오라클 • 오라클 머신 • 오라클 문제 • 오라클 서비스 • 중간자
|
|
BIP
|
BIP • BIP9 • BIP16 • BIP32 • BIP39 • BIP43 • BIP44 • BIP47 • BIP49 • BIP63 • BIP70 • BIP84 • BIP141 • BIP148
|
|
ERC
|
ERC • ERC-20 • ERC-165 • ERC-223 • ERC-621 • ERC-721 • ERC-777 • ERC-827 • ERC-884 • ERC-998 • ERC-1155 • ERC-1404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
암호화폐 : 암호화폐 종류, 암호화폐 종류(국가별), 암호화폐 종류(가나다), 암호화폐 분류, 암호화폐 거래소, 암호화폐 거래 □■⊕, 암호화폐 지갑, 암호화폐 역사, 채굴기, 채굴업체, 채굴지역
|
|
캔들
|
꼬리 • 망치형 • 몸통 • 비석형 • 시가 • 십자형(도지형) • 아래꼬리 • 양봉 • 역망치형 • 위꼬리 • 음봉 • 일자형 • 잠자리형 • 장대양봉 • 장대음봉 • 종가 • 최고가 • 최저가 • 캔들
|
|
차트
|
MACD • 고점 • 골든크로스 • 과매도 • 과매수 • 구름대 • 그래프 • 기준선 • 눌림목 • 다이버전스 • 데드크로스 • 바닥 • 보합 • 보합세 • 볼린저밴드 • 상대강도지수(RSI) • 상승 • 상승세 • 상한선 • 선행스팬1 • 선행스팬2 • 스토캐스틱 • 이동평균선 • 일목균형표 • 저점 • 저항선 • 전고점 • 전저점 • 전환선 • 지지선 • 차트 • 최고점 • 최저점 • 하락 • 하락세 • 하한선 • 후행스팬
|
|
패턴
|
N자형 • V자형 • 계단형 • 덤핑 • 데드캣 • 머리어깨형 • 박스권(횡보) • 베어트랩 • 불트랩 • 삼각수렴 • 쌍바닥(W자형) • 쌍봉(M자형) • 엘리어트 파동 • 역N자형 • 역V자형 • 역머리어깨형 • 펌프앤덤프 • 펌핑 • 플래시 크래시 • 피날레 • 피보나치 수열 • 하이먼 민스키 모델
|
|
거래
|
가상자산 사업자 •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자 • 거래량 • 고객신원확인(KYC) • 고빈도거래(HFT) • 공매도 • 공매수 • 교차상장 • 극초단타 • 김프판 • 단타 • 달러마켓 • 데이트레이딩 • 덱스(DEX, 탈중앙화 거래소) • 도둑상장 • 도지마켓 • 디커플링 • 디픽스 • 락업 • 런치패드 • 레버리지 • 리딩 • 리딩방 • 마진거래 • 마진콜 • 매도 • 매도벽 • 매매 • 매수 • 매수벽 • 매집 • 바이낸스 런치패드 • 배칭거래 • 벌집계좌 • 벽 • 베어마켓 • 분할매도 • 분할매매 • 분할매수 • 불마켓 • 블록딜 • 비봇 • 비티씨마켓 • 빅맥지수 • 상승장 • 상장 • 상장호재 • 선물거래 • 손절 • 순환매 • 스왑 • 스윙트레이딩 • 스프레드 • 시가총액 • 시그널 • 시드머니 • 아비트리지 • 악재 • 알고리즘 트레이딩 • 암호화폐 거래 • 에스크로 • 에어드랍 • 엔화마켓 • 오더북 • 올인 • 왝더독 • 원화마켓 • 월렛인베스터 • 위안화마켓 • 유로마켓 • 이더마켓 • 이티피 • 익절 • 일물일가의 법칙 • 자금세탁방지(AML) • 자동거래 • 자전거래 • 장세 • 재료 • 중앙화 거래소(CEX) • 중장기투자 • 차익거래(재정거래) • 초단타(스캘핑) • 커플링 • 코봇 • 코스트 애버리징(물타기) • 코인마켓캡 • 코인코덱스 • 타이밍 • 테더마켓 • 트레이더 • 트레이딩 • 트레이딩뷰 • 패닉셀(투매) • 포모 • 포지션 • 프로그램 매매 • 픽 • 하락장 • 하트넘버 • 현물거래 • 호재 • 홈트레이딩
|
|
주문
|
FAS • FOK • GTC • IOC • MIT • 가격지정주문 • 동시호가 • 매도스톱리밋주문 • 매수스톱리밋주문 • 매도역지정가주문 • 매수역지정가주문 • 메이커 • 메이커 피 • 시장가주문 • 스케일오더 • 지정가주문 • 조건부주문 • 조건부지정가주문 • 장시작 동시호가 • 장마감 동시호가 • 추적손절매주문 • 추적스톱리밋주문 • 최유리지정가주문 • 최우선지정가주문 • 테이커 • 테이커 피 • 호가 • 호가 스프레드
|
|
장외거래
|
리퍼블릭 프로토콜 • 아토믹스왑 • 장외거래(OTC) • 체인저
|
|
투자
|
ATO • ETF • IBO • ICCO • ICO • IEO • IWO • RCPS • SIEO • STO • TGE • 가치투자 • 공모 • 공모펀드 • 다단계사기 • 드래그얼롱 • 로보어드바이저 • 리버스 ICO • 모태펀드 • 뮤추얼펀드 • 벤처캐피탈 • 보통주 • 분산투자 • 사기 • 사모 • 사모펀드 • 상환전환우선주 • 선투자 • 소프트캡 • 액셀러레이터 • 액셀러레이팅 • 어드바이저 • 에스에이에프티(SAFT) • 엔젤투자자 • 우선주 • 월스트리트 • 유한책임투자자(LP) • 인큐베이터 • 인큐베이팅 • 장기투자 • 전환사채 • 조각투자 • 주식 • 질라 • 집중투자 • 콜옵션 • 크라우드세일 • 크라우드펀딩 • 크립토펀드 • 태그얼롱 • 토큰넥스트 • 투기 • 투자 • 튤립버블 • 퍼블릭세일 • 펀드 • 펀딩 • 컨설팅 • 펀더멘탈 • 포트폴리오 • 폰지사기 • 풋옵션 • 프라이빗세일 • 프리세일 • 피라미드사기 • 하드캡 • 하위테스트 • 헤지 • 헤지펀드 • 히든캡
|
|
코인 속어
|
가즈아 • 김치 프리미엄(김프) • 대마불사 • 떡락 • 떡상 • 몰빵 • 비들러 • 존버 • 줍줍 • 코린이 • 펌핑 • 흑두루미 • 흑우 • 흡성대법
|
|
드라마
|
펌핑타임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