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이 보기)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 | + | [[파일:최지웅.jpg|썸네일|300픽셀|'''최지웅''']] |
[[파일: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大邱慶北科學技術院)]] | [[파일: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大邱慶北科學技術院)]] | ||
− | '''최지웅'''은 특수대학교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大邱慶北科學技術院)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반도체연구센터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뇌공학융합연구센터 업무 총괄을 맡고 있다. | + | '''최지웅'''은 특수대학교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大邱慶北科學技術院)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반도체연구센터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뇌공학융합연구센터 업무 총괄을 맡고 있다. |
==개요== | ==개요== | ||
− | 최지웅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이자 뇌공학융합연구센터의 업무 총괄을 맡고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반도체연구센터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통신 시스템 및 신호처리, [[사물인터넷]](IoT) | + | 최지웅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이자 뇌공학융합연구센터의 업무 총괄을 맡고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반도체연구센터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통신 시스템 및 신호처리, [[사물인터넷]](IoT), [[M2M]], 단말 간 직접 통신(D2D), 생체신호처리, 체질량지수(BMI)와 뇌 및 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자기장 통신 및 전력전송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2016년부터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입학처장으로 입학처 업무도 겸하고 있다. |
==약력== | ==약력== | ||
;학력 | ;학력 | ||
− | * 2004년 ~ 2005년 : 서울대학교 반도체연구센터 박사과정<ref name="헤드"></ref> | + | * 2004년 ~ 2005년 : [[서울대학교]](SNU) 반도체연구센터 박사과정<ref name="헤드"></ref> |
+ | |||
;경력 | ;경력 | ||
− | * 2005년 ~ 2007년 : | + | * 2005년 ~ 2007년 :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박사 후 방문 학자 |
− | * 2006년 ~ 2007년 : | + | * 2006년 ~ 2007년 :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 GCT 반도체 기술 컨설턴트 |
− | * 2007년 ~ 2009년 : | + | * 2007년 ~ 2009년 :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라, 마벨 반도체(Marvell Semiconductor) 수석 엔지니어 |
− | * 2009년 ~ 2010년 : | + | * 2009년 ~ 2010년 :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라, 마벨 반도체 스태프 엔지니어 |
* 2010년 ~ 2014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조교수 | * 2010년 ~ 2014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조교수 | ||
* 2014년 ~ 2018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부교수 | * 2014년 ~ 2018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부교수 | ||
40번째 줄: | 41번째 줄: | ||
==주요 활동== | ==주요 활동== | ||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 |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 | ||
−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최지웅 교수 연구팀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기존의 통신데이터전송률을 100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터보-CAN(Turbo-CAN) 기술을 개발했다고 2016년 6월 28일 알렸다. 연구성과는 정보통신과 네트워크 분야 국제학술지 IEEE 커뮤니케이션 매거진 6월호에 게재됐다. 최지웅 교수연구팀과 실리콘밸리 출신 강수원 박사가 함께 개발한 터보-CAN은 대부분의 차량에 탑재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 가진 낮은 데이터 전송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패스밴드 주파수 대역에 신호를 전송해 100Mbps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했다. 기존의 차량 내 장착된 CAN 통신은 브레이크, 엔진, 조향 제어 등 저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에 충분했으나 스마트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로 카메라 센서, 주변 정보의 고속 전달 및 제어, 인포테인먼트 등이 중요해짐에 따라 CAN 통신의 용량으로는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없었다. 개발된 고속 통신 네트워크 기술들은 CAN 통신과 호환되지 않는 등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터보-CAN 기술은 CAN 통신에서 활용하지 않던 패스밴드 통신 대역을 활용함과 동시에 베이스밴드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술로 CAN 통신과 호환이 가능해 차량에 설치돼 있는 기존 통신 네트워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CAN 통신의 전송률과 비교해 100배 이상의 전송률 향상이 가능하다. | +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최지웅 교수 연구팀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기존의 통신데이터전송률을 100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터보-CAN(Turbo-CAN) 기술을 개발했다고 2016년 6월 28일 알렸다. 연구성과는 정보통신과 네트워크 분야 국제학술지 IEEE 커뮤니케이션 매거진 6월호에 게재됐다. 최지웅 교수연구팀과 실리콘밸리 출신 강수원 박사가 함께 개발한 터보-CAN은 대부분의 차량에 탑재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 가진 낮은 데이터 전송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패스밴드 주파수 대역에 신호를 전송해 100Mbps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했다. 기존의 차량 내 장착된 CAN 통신은 브레이크, 엔진, 조향 제어 등 저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에 충분했으나 스마트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로 카메라 센서, 주변 정보의 고속 전달 및 제어, 인포테인먼트 등이 중요해짐에 따라 CAN 통신의 용량으로는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없었다. 개발된 고속 통신 네트워크 기술들은 CAN 통신과 호환되지 않는 등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터보-CAN 기술은 CAN 통신에서 활용하지 않던 패스밴드 통신 대역을 활용함과 동시에 베이스밴드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술로 CAN 통신과 호환이 가능해 차량에 설치돼 있는 기존 통신 네트워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CAN 통신의 전송률과 비교해 100배 이상의 전송률 향상이 가능하다. 최지웅 교수는 실리콘밸리 벤처기업에서 활동하는 강수원 박사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차량 내 네트워크의 병목 현상 해결, 외부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효율 향상, 차량 보안 향상 등 기술 고도화와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최지웅 교수는 터보-CAN 기술은 기존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해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핵심이라며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와 스마트자동차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해당 기술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f name="차량용1">김민철 기자,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71 DGIST 최지웅 교수,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 《베리타스 알파》, 2016-06-28</ref><ref name="차량용2">세명일보 기자, 〈[http://m.smnews.co.kr/view.php?idx=42&referer= DGIST,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 《세명일보》, 2016-06-29</ref>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
68번째 줄: | 69번째 줄: | ||
* [[한국통신학회]] | * [[한국통신학회]] | ||
* [[전기전자기술자협회]] | * [[전기전자기술자협회]] | ||
+ | * [[대구 국제 미래자동차엑스포 2020]] | ||
{{교수|검토 필요}} | {{교수|검토 필요}} |
2021년 4월 19일 (월) 00:55 기준 최신판
최지웅은 특수대학교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大邱慶北科學技術院)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반도체연구센터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뇌공학융합연구센터 업무 총괄을 맡고 있다.
개요[편집]
최지웅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이자 뇌공학융합연구센터의 업무 총괄을 맡고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반도체연구센터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통신 시스템 및 신호처리, 사물인터넷(IoT), M2M, 단말 간 직접 통신(D2D), 생체신호처리, 체질량지수(BMI)와 뇌 및 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자기장 통신 및 전력전송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2016년부터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입학처장으로 입학처 업무도 겸하고 있다.
약력[편집]
- 학력
- 경력
- 2005년 ~ 2007년 :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박사 후 방문 학자
- 2006년 ~ 2007년 :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 GCT 반도체 기술 컨설턴트
- 2007년 ~ 2009년 :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라, 마벨 반도체(Marvell Semiconductor) 수석 엔지니어
- 2009년 ~ 2010년 :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라, 마벨 반도체 스태프 엔지니어
- 2010년 ~ 2014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조교수
- 2014년 ~ 2018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부교수
- 2016년 ~ 2019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입학, 학생처장
- 2012년 ~ 2020년 : 한국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뇌인지학과 제휴교수
- 2017년 ~ 2020년 : ㈜브이에스아이(VSI) 최고기술자문 겸 사외이사
- 2018년 ~ 2020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뇌공학융합연구센터장
- 2018년 ~ 2020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학과 교수
- 2019년 :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초빙교수[1]
- 수상
- 2000년 : 한국 노키아 장학금
- 2003년 : 한국통신학회(KICS) 하계종합학술대회 우수논문상
- 2005년 : 삼성전자 휴먼테크논문대상 은상
- 2005년 ~ 2007년 : 정보통신부 박사후 장학금, 2005~2007년
- 2009년 ~ 2020년 :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시니어 멤버
- 2015년 ~ 2017년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PM 심의위원
- 2014년 ~ 2020년 : 한국통신학회(KICS) 상임이사
- 2015년 : 한국통신학회(KICS) 추계종합학술대회 우수논문상
- 2015년 : 삼성휴먼테크 경진대회 동상
- 2016년 : 한국통신학회(KICS) 추계종합학술대회 우수논문상
- 2017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학술 우수상
- 2019년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연구 우수상[1]
주요 활동[편집]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편집]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최지웅 교수 연구팀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기존의 통신데이터전송률을 100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터보-CAN(Turbo-CAN) 기술을 개발했다고 2016년 6월 28일 알렸다. 연구성과는 정보통신과 네트워크 분야 국제학술지 IEEE 커뮤니케이션 매거진 6월호에 게재됐다. 최지웅 교수연구팀과 실리콘밸리 출신 강수원 박사가 함께 개발한 터보-CAN은 대부분의 차량에 탑재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 가진 낮은 데이터 전송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패스밴드 주파수 대역에 신호를 전송해 100Mbps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했다. 기존의 차량 내 장착된 CAN 통신은 브레이크, 엔진, 조향 제어 등 저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에 충분했으나 스마트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로 카메라 센서, 주변 정보의 고속 전달 및 제어, 인포테인먼트 등이 중요해짐에 따라 CAN 통신의 용량으로는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없었다. 개발된 고속 통신 네트워크 기술들은 CAN 통신과 호환되지 않는 등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터보-CAN 기술은 CAN 통신에서 활용하지 않던 패스밴드 통신 대역을 활용함과 동시에 베이스밴드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술로 CAN 통신과 호환이 가능해 차량에 설치돼 있는 기존 통신 네트워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CAN 통신의 전송률과 비교해 100배 이상의 전송률 향상이 가능하다. 최지웅 교수는 실리콘밸리 벤처기업에서 활동하는 강수원 박사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차량 내 네트워크의 병목 현상 해결, 외부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효율 향상, 차량 보안 향상 등 기술 고도화와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최지웅 교수는 터보-CAN 기술은 기존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해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핵심이라며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와 스마트자동차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해당 기술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2][3]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편집]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기술원 뇌기능항상성연구단이 2017년도 7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에 2017년 11월 9일 선정됐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2022년까지 국비 78억원, 시비 7억8000만원 등 총 85억80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이 사업을 통해 뇌기능항상성연구단은 뇌기능 항상성 유지를 위한 멀티모달(Multi-modal, 시각·청각·촉각 등 각각의 감각 채널) 뇌기능 센싱 및 제어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뇌신경회로 활성의 변화를 탐지 및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뇌질환 치료 의료기기의 원천 기술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뇌기능항상성연구단에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전공 최지웅 교수를 비롯해 뇌과학 및 ICT, 의료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전공 최지웅 교수는 뇌신경회로의 동작을 모방할 수 있는 뇌신경 조절 물질을 제어하는 뇌신경회로 정밀조절 기술을 연구해 뇌의 기능적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며 파킨슨병, 치매, 인지장애 등 다양한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 및 의료기기 개발로 우리나라가 해당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공모 사업은 신약, 줄기세포, 유전체, 차세대 의료기술 등 미래 유망 바이오·의료기술의 연구개발 투자와 바이오 인프라 구축이 목표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을 비롯해 경북대와 한양대 등 총 3개의 기관이 선정됐다.[4]
주요연구[편집]
- 차세대 차량 내외부 통신네트워킹 (In-vehicle network (IVN), Vehicle to everything (V2X), V2X/IVN 연동 최적화)
- 차세대 통신 및 인공지능 기반 통신보안 기술 (Drone-aided communications, AI based physical layer security including anti-jamming technology)
- 자기장 통신 및 전력전송 (Near field communications and wireless power transfer)
- 비침습 기반 생체 신호처리 및 머신러닝 (fNIRS, EEG)
- 침습 기반 생체 신호처리 및 머신러닝 (Neural recording & stimulation with AI based processing)
- 뇌-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Brain-machine/computer interface, BMI/BCI)[5]
각주[편집]
- ↑ 1.0 1.1 1.2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통신 및 신호처리 연구실 공식 사이트 최지웅 교수 - https://comm.dgist.ac.kr/?page_id=92
- ↑ 김민철 기자, 〈DGIST 최지웅 교수,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 《베리타스 알파》, 2016-06-28
- ↑ 세명일보 기자, 〈DGIST,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 《세명일보》, 2016-06-29
- ↑ 나호용 기자, 〈DGIST,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선정〉, 《중앙일보》, 2017-11-09
-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공식 사이트 정보통신융합전공 - https://114.71.99.52/kr/html/sub08/080202.html
참고자료[편집]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통신 및 신호처리 연구실 공식 사이트 최지웅 교수 - https://comm.dgist.ac.kr/?page_id=92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공식 사이트 정보통신융합전공 - https://114.71.99.52/kr/html/sub08/080202.html
- 나호용 기자, 〈DGIST,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선정〉, 《중앙일보》, 2017-11-09
- 김민철 기자, 〈DGIST 최지웅 교수,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 《베리타스 알파》, 2016-06-28
- 세명일보 기자, 〈DGIST, 차량용 초고속 데이터 통신기술 개발〉, 《세명일보》, 2016-06-29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