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링 테스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 | [[앨런 튜링]]은 | + | [[앨런 튜링]]은 〈계산기계와 지성(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이라는 논문에서 기계가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40년대 후반, 동료와 비평가들로부터 기계는 절대 인간 지능을 흉내 내지 못한다는 말을 듣게 된다. 튜링은 사람들의 의견에 의문을 가졌고 결국 논문을 통해 강한 인공지능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튜링은 "기계도 생각할 수 있을까?(Can machines think?)"라는 질문을 던진다. 논문 첫 문장에 나오는 말이다. '기계'와 '생각'이라는 개념도 정의했다. 기계는 디지털 컴퓨터를 말했고 생각은 그가 만든 튜링테스트를 통과하면 증명된다고 설명했다. 튜링테스트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인간과 기계를 다른 공간에 배치하고 심문자(interrogator)는 그들과 텍스트로 대화를 나눈다. 심문자는 어떤 공간에 누가 있는지 알지 못한다. 만약 대화를 통해 기계와 인간을 구분하지 못하면 기계가 지능을 가졌다고 판단한다. 튜링테스트는 보통 이렇게 알려져 있다. 하지만 튜링이 실제 논문에서 제시한 실험은 더욱 디테일하다. 논문에는 튜링테스트 수행 방법에 대해 자세히 적혀 있다. 참고로 튜링테스트로 불리는 실험을 정작 튜링 본인은 '모방 게임(imitation game)'이라고 불렀다. 첫 번째 실험은 이번에도 최종 결론을 내릴 심문자가 있어야 한다. 한 공간에는 남자를 다른 공간에는 여자를 배치한다. 심문자는 둘의 존재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필기한 질문을 둘에게 전달하고 답변을 받는다. 심문자는 둘 중 누가 남자고 누가 여자인지를 가려야 한다. 단, 남자는 심문자를 속이기 위해 여자인 척을 하게 된다. 두번째 실험에 와서야 남자 대신 기계가 배치된다. 이번에는 기계가 여자인 것처럼 대화를 해야 한다. 인간을 모방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성별을 모방할 것을 요구한 실험이다. 튜링테스트는 인공지능을 판별하는 의미 있는 실험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였다.<ref> 테크플러스, 〈[https://blog.naver.com/tech-plus/221611103759 오래된 AI 판별법 '튜링테스트'...여전히 유효한가?]〉, 《네이버 블로그》, 2019-08-09 </ref> 하지만 튜링은 논문의 나머지 부분에서 "기계들이 생각할 수 있다"는 명제에 대해서 반대 이론들을 제시했다. 튜링이 튜링 테스트를 제시한 이후에, 튜링 테스트는 이후 [[인공지능]]의 역사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많은 비판 또한 받아왔다. 그렇게 튜링 테스트는 인공지능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ref name="위키"> 튜링 테스트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8A%9C%EB%A7%81_%ED%85%8C%EC%8A%A4%ED%8A%B8</ref> |
== 역사 == | == 역사 == | ||
=== 철학적 배경 === | === 철학적 배경 === | ||
− | "기계가 생각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한 의문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마음의 이원론자와 물질주의 관점의 구별에 확고히 자리잡고 있다. 데카르트는 1967년에 썼던 "담론서설"에서 튜링 테스트의 형태를 먼저 제시했다. 인간의 산업에 의해 많은 | + | "기계가 생각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한 의문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마음의 이원론자와 물질주의 관점의 구별에 확고히 자리잡고 있다. 데카르트는 1967년에 썼던 "담론서설"에서 튜링 테스트의 형태를 먼저 제시했다. 인간의 산업에 의해 많은 오토마타(Automata)나 움직이는 기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 이유는 기계가 단어를 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고, 심지어 그 기관에 변화를 가져오는 상체 종류의 행동에 대한 반응을 쉽게 방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부분에 닿으면 그것은 우리가 말하고 싶은 것을 물어볼 수 있다. 만약 다른 부분에 그것이 아프다고 외칠 수 있다면, 그리고 그래서 켜다 그러나 아무리 낮은 유형의 인간이라도 할 수 있는 것처럼, 그 앞에서 말할 수 있는 모든 것에 적절히 답하기 위해, 그것은 결코 다양한 방법으로 연설을 주선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여기서 데카르트는 기계는 인간의 상호 작용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지적하지만, 그러한 자동자는 어떤 인간이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들이 있는 곳에서 말한 것들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데카르트는 적절한 언어 반응의 불충분함을 인간과 기계를 구분하는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튜링 테스트를 우선시한다. 데카르트는 미래의 기계가 그러한 부족함을 극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가 그것의 개념적인 체계와 기준을 우선시한다고 해도 튜링 테스트를 제안하지는 않는다. |
드니 디드로는 저서 "철학적 생각" 에서 튜링 테스트 기준을 공식화했다. | 드니 디드로는 저서 "철학적 생각" 에서 튜링 테스트 기준을 공식화했다.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 * 튜링 테스트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8A%9C%EB%A7%81_%ED%85%8C%EC%8A%A4%ED%8A%B8</ref> | + | *테크플러스, 〈[https://blog.naver.com/tech-plus/221611103759 오래된 AI 판별법 '튜링테스트'...여전히 유효한가?]〉, 《네이버 블로그》, 2019-08-09 |
+ | *튜링 테스트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8A%9C%EB%A7%81_%ED%85%8C%EC%8A%A4%ED%8A%B8</ref>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앨런 튜링]] | * [[앨런 튜링]] | ||
+ | * [[인공지능]] | ||
{{인공지능 기술|검토 필요}} | {{인공지능 기술|검토 필요}} |
2020년 7월 17일 (금) 11:49 판
튜링 테스트(Turing Test) 또는 튜링 검사는 인간의 것과 동등하거나 구별할 수 없는 지능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기계의 능력에 대한 테스트이다. 1950년 앨런 튜링(Alan Turing)에 의해 개발되었다.
목차
개요
앨런 튜링은 〈계산기계와 지성(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이라는 논문에서 기계가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40년대 후반, 동료와 비평가들로부터 기계는 절대 인간 지능을 흉내 내지 못한다는 말을 듣게 된다. 튜링은 사람들의 의견에 의문을 가졌고 결국 논문을 통해 강한 인공지능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튜링은 "기계도 생각할 수 있을까?(Can machines think?)"라는 질문을 던진다. 논문 첫 문장에 나오는 말이다. '기계'와 '생각'이라는 개념도 정의했다. 기계는 디지털 컴퓨터를 말했고 생각은 그가 만든 튜링테스트를 통과하면 증명된다고 설명했다. 튜링테스트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인간과 기계를 다른 공간에 배치하고 심문자(interrogator)는 그들과 텍스트로 대화를 나눈다. 심문자는 어떤 공간에 누가 있는지 알지 못한다. 만약 대화를 통해 기계와 인간을 구분하지 못하면 기계가 지능을 가졌다고 판단한다. 튜링테스트는 보통 이렇게 알려져 있다. 하지만 튜링이 실제 논문에서 제시한 실험은 더욱 디테일하다. 논문에는 튜링테스트 수행 방법에 대해 자세히 적혀 있다. 참고로 튜링테스트로 불리는 실험을 정작 튜링 본인은 '모방 게임(imitation game)'이라고 불렀다. 첫 번째 실험은 이번에도 최종 결론을 내릴 심문자가 있어야 한다. 한 공간에는 남자를 다른 공간에는 여자를 배치한다. 심문자는 둘의 존재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필기한 질문을 둘에게 전달하고 답변을 받는다. 심문자는 둘 중 누가 남자고 누가 여자인지를 가려야 한다. 단, 남자는 심문자를 속이기 위해 여자인 척을 하게 된다. 두번째 실험에 와서야 남자 대신 기계가 배치된다. 이번에는 기계가 여자인 것처럼 대화를 해야 한다. 인간을 모방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성별을 모방할 것을 요구한 실험이다. 튜링테스트는 인공지능을 판별하는 의미 있는 실험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였다.[1] 하지만 튜링은 논문의 나머지 부분에서 "기계들이 생각할 수 있다"는 명제에 대해서 반대 이론들을 제시했다. 튜링이 튜링 테스트를 제시한 이후에, 튜링 테스트는 이후 인공지능의 역사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많은 비판 또한 받아왔다. 그렇게 튜링 테스트는 인공지능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2]
역사
철학적 배경
"기계가 생각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한 의문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마음의 이원론자와 물질주의 관점의 구별에 확고히 자리잡고 있다. 데카르트는 1967년에 썼던 "담론서설"에서 튜링 테스트의 형태를 먼저 제시했다. 인간의 산업에 의해 많은 오토마타(Automata)나 움직이는 기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 이유는 기계가 단어를 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고, 심지어 그 기관에 변화를 가져오는 상체 종류의 행동에 대한 반응을 쉽게 방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부분에 닿으면 그것은 우리가 말하고 싶은 것을 물어볼 수 있다. 만약 다른 부분에 그것이 아프다고 외칠 수 있다면, 그리고 그래서 켜다 그러나 아무리 낮은 유형의 인간이라도 할 수 있는 것처럼, 그 앞에서 말할 수 있는 모든 것에 적절히 답하기 위해, 그것은 결코 다양한 방법으로 연설을 주선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여기서 데카르트는 기계는 인간의 상호 작용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지적하지만, 그러한 자동자는 어떤 인간이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들이 있는 곳에서 말한 것들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데카르트는 적절한 언어 반응의 불충분함을 인간과 기계를 구분하는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튜링 테스트를 우선시한다. 데카르트는 미래의 기계가 그러한 부족함을 극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가 그것의 개념적인 체계와 기준을 우선시한다고 해도 튜링 테스트를 제안하지는 않는다.
드니 디드로는 저서 "철학적 생각" 에서 튜링 테스트 기준을 공식화했다.
"만약 그들이 모든 것에 대답할 수 있는 앵무새를 발견한다면, 주저하지 않고 현명한 존재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것은 그가 이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그 당시에 이미 물질 주의자들의 일반적인 주장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원론에 따르면, 마음은 비정형적이므로 순수하게 물리적인 용어로 설명될 수 없다. 물질 주의에 따르면, 마음은 물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고 이것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마음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
앨런 튜링
엘리자베스와 패리
뢰브너 상
형태
모방 게임
표준 해석
모방 게임 vs 표준 튜링 테스트
평가관은 컴퓨터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각주
- ↑ 테크플러스, 〈오래된 AI 판별법 '튜링테스트'...여전히 유효한가?〉, 《네이버 블로그》, 2019-08-09
- ↑ 튜링 테스트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8A%9C%EB%A7%81_%ED%85%8C%EC%8A%A4%ED%8A%B8
참고자료
- 테크플러스, 〈오래된 AI 판별법 '튜링테스트'...여전히 유효한가?〉, 《네이버 블로그》, 2019-08-09
- 튜링 테스트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8A%9C%EB%A7%81_%ED%85%8C%EC%8A%A4%ED%8A%B8</ref>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