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 디자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eejia1222 (토론 | 기여) |
leejia1222 (토론 | 기여) (→어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일러스트 디자인'''<!--일러스트디자인-->(illustration design)이란 제 3자에게 무엇인가 의미를 전달하거나, 내용 암시에 사용되기 위해 제작된 [[디자인]]이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6556&cid=40942&categoryId=33050 일러스트레이션]〉, 《두산백과》</ref> 서적, 잡지, 신문, 광고 등 문장 내용을 보조하기 위해 삽입하는 [[삽화]]를 뜻한다. 보다 넓은 의미로 확장하여 삽화가 아닌 문장에 관련을 가지고 인용되는 그림도 포괄적으로 '일러스트' 혹은 '일러스트레이션'이라 부르기도 한다.<ref>명함메이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ulz4kzp1v&logNo=220991794865 일러스트 뜻 :: 일러스트란 무엇인가 ?]〉, 《명함메이트와 함께》, 2017-04-25</ref> | '''일러스트 디자인'''<!--일러스트디자인-->(illustration design)이란 제 3자에게 무엇인가 의미를 전달하거나, 내용 암시에 사용되기 위해 제작된 [[디자인]]이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6556&cid=40942&categoryId=33050 일러스트레이션]〉, 《두산백과》</ref> 서적, 잡지, 신문, 광고 등 문장 내용을 보조하기 위해 삽입하는 [[삽화]]를 뜻한다. 보다 넓은 의미로 확장하여 삽화가 아닌 문장에 관련을 가지고 인용되는 그림도 포괄적으로 '일러스트' 혹은 '일러스트레이션'이라 부르기도 한다.<ref>명함메이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ulz4kzp1v&logNo=220991794865 일러스트 뜻 :: 일러스트란 무엇인가 ?]〉, 《명함메이트와 함께》, 2017-04-25</ref> | ||
− | == | + | ==어원== |
일본의 영향으로 받아 일러스트(イラスト)로 줄여서 부른다. 일러스트는 사전에 없던 엉터리 줄임말이었는데, 언론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가 되어가면서 국어사전과 영영사전에도 실리게 되었다. 이제는 업계조차 일러스트로 주로 부르게 되어 사실상 표준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ref>〈[https://namu.wiki/w/%EC%9D%BC%EB%9F%AC%EC%8A%A4%ED%8A%B8%EB%A0%88%EC%9D%B4%EC%85%98 일러스트레이션]〉, 《나무위키》</ref> | 일본의 영향으로 받아 일러스트(イラスト)로 줄여서 부른다. 일러스트는 사전에 없던 엉터리 줄임말이었는데, 언론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가 되어가면서 국어사전과 영영사전에도 실리게 되었다. 이제는 업계조차 일러스트로 주로 부르게 되어 사실상 표준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ref>〈[https://namu.wiki/w/%EC%9D%BC%EB%9F%AC%EC%8A%A4%ED%8A%B8%EB%A0%88%EC%9D%B4%EC%85%98 일러스트레이션]〉, 《나무위키》</ref> | ||
2021년 7월 6일 (화) 15:37 판
일러스트 디자인(illustration design)이란 제 3자에게 무엇인가 의미를 전달하거나, 내용 암시에 사용되기 위해 제작된 디자인이다.[1] 서적, 잡지, 신문, 광고 등 문장 내용을 보조하기 위해 삽입하는 삽화를 뜻한다. 보다 넓은 의미로 확장하여 삽화가 아닌 문장에 관련을 가지고 인용되는 그림도 포괄적으로 '일러스트' 혹은 '일러스트레이션'이라 부르기도 한다.[2]
목차
어원
일본의 영향으로 받아 일러스트(イラスト)로 줄여서 부른다. 일러스트는 사전에 없던 엉터리 줄임말이었는데, 언론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가 되어가면서 국어사전과 영영사전에도 실리게 되었다. 이제는 업계조차 일러스트로 주로 부르게 되어 사실상 표준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3]
상세
일러스트,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또는 삽화(揷畵)는 도해(圖解)라고도 하며, 특히(사본, 인쇄본 등), 잡지, 신문, 광고 등에서 문장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강조라기 위한 목적으로 첨부되는 그림을 명칭한다. 또는 직접 이 목적 때문에 만든 그림이 아니라도 문장에 관련을 가지고 표현한다면일러스트,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의 역할을 한다.[4]
본래 일러스트는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이라는 영단어에서 유래했다. 일러스트레이션(약칭으로 '일러스트')은 '밝게 한다' 또는 '조명한다'라는 의미를 띠고 있으며, 어떤 내용을 그림·사진·도표 등으로 알기 쉽게 표현한 것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즉, 삽화(揷畵)를 뜻한다. 이러한 삽화를 그리는 사람을 삽화가, 일러스트레이터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좁은 의미로 삽화가만을 가리키는 단어였지만, 기술이 발달해서 업무 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질 때도 있는 현재는 흔히 원화가라고 부르는 콘셉트 디자이너나 그래픽 디자이너까지 아울러서 일러스트레이터라고 부르는 추세다. 이런 시각에 따르면 애니메이터 가운데 캐릭터 디자이너 또한 일러스트레이터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일러스트레이터라는 통칭은 부적절한 면이 있기에, 미술 업계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디자이너(Entertainment designer)라는 용어로 통일하는 경향이 있다.[5]
디자인에서는 일러스트라고도 약칭을 한다. 원시시대의 그들의 생활에서 의미를 갖고 동굴벽화가 사용되었다면, 그것은 일러스트레이션의 효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제 3자에게 무엇인가의 의미를 전달하거나,내용이 암시되게 사용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목적과 용도를 두고 아이디어를 떠올리거나 표현방식이나 기법을 정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표현상의 문제보다 제 3자의 내용에 암시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광고에서는 일러스트를 보다 상세한 내용의 전달보다 오히려 제 3자의 주의를 사로잡아 시각유도를 하는데 사용되므로 시각전달의 보조적 수단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 즉 문안기사(文案記事) 이외의 부분에서 제3자의 시각을 문안으로 유도하여 내용의 이미지를 정확하게 전달하기만 하면 되는 수단으로서도 사용된다. 그러므로 개성적인 신선함은 물론, 전달되는 내용이나 기능들을 통해서 논리성에 있는 연구는 객관성에도 요구된다.
일러스트의 표현성은 범위가 매우 넓다. 큐비즈에서 전개한 새로운 시야(視野)의 표현, 추상(抽象)에 의한 기하추상도형(幾何抽象圖形), 다다이즘이나 초현실주의에 의한 자유로운 발상, 그리고 근대 예술운동에 나타낸 표현방식이나 기법, 현대의 예술에서 볼 수 없었던 특이한 기법과 마티에르 등에 그대로 일러스트(일러스트레이션)의 기법이 되었다. 또 최고의 사진기술과 재료의 종류에 따라, 사진은 그린 것보다 강한 박진감과 인상을 주므로 사진을 이용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 일러스트(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방식은 보통 구상적(具象的:사실적 그대로의 표현), 단화적(單化的:실체를 간단한 도형으로 단순화한 것), 추상적(抽象的:유기적 ·무기적인 추상도형의 표현), 만화적(희화적인 즐거움을 강조하는 표현), 패션(스타일화 ·모드화) 등의 표현들로 분류하고 있다. 여러 형식들의 표현을 명확하고 정확히 구분하기란 어려운 일이다.[6]
의미
일러스트레이션으(illustration)은 일루미네이션(illumination)이 그 원형으로 색슨어족의 limlimn(그림을 그리다)와 프랑스어의 luminer(빛나게 하다)와의 복합어이고 조명(illumination), 밝게 하다(to make light), 선명하다 분명하게 만든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보이지 않는 대상에서 빛으로 볼 수 없는 세계,즉 시각화하여 내용을 알리고 그 뜻을 명철하게 해명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의미는 인간에게 알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을 나타내고 궁극적인 목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역사
최초 역사
일러스트는 삽화로 표현되어 왔다. 최초의 삽화는 선사시대때의 동굴에서 찾을 수 있다. 인쇄술의 발달하기 전에 한국, 중국과 일본에서 8세기 이래로 활자를 나무판에 그려넣은 전통적인 방식에 손으로 삽화를 활용하였다.
15세기부터 18세기
15세기동안, 출판 삽화는 목판 인쇄로 발달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목판과 동판에칭법이 삽화 생산에 주요 공정법으로 쓰였다. 18세기 후반에는 좀 더 일러스트레이션의 출판이 가능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석판화(리토그래피)가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이 당시에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진 일러스트레이터 윌리엄 브레이크는 릴리프 에칭이라는 신기술로 그의 삽화들을 고안하여 표현하였다.
19세기 초기와 중기
이 시기의 손꼽히는 작가로는 존 리쉬, 찰스 디킨스, 조지크뤽샌크의 삽화인 해블롯 나이트 브로운과 프랑스의 오노레 도미에를 들수 있다. 이들은 풍자와 매거진으로부터 의뢰는 받았는데 이 양쪽 일 모두 사회적 계층가 형태에 관하여 특징을 가지고 요약해 그리는 캐릭터 드로잉을 요구받았다. 그리고 수준높은 코믹 일러스트는 20세기까지 연재하였다.
해블롯 나이트 브로운과 프랑스의 오노레 도미에 삽화 사진추가
점차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한 일러스트(일러스트레이션)의 캐리커처는 매우 정교하게 관찰받고 표현하는것으로 대중에게 많은 신뢰를 받기 시작하였다. 이 예술가들은 전통적인 회화기법을 공부하였으며, 일러스트레이터로서 최초의 명성을 받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펀치, 그와 비슷한 파리지엔 르 부르라는 잡지는 글의 내용들과 함께 좋은 삽화가 많은 판매 부수를 올린다는 사실을 알고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일러스트레이션의 황금기
미국의 '일러스트레이션 황금기'는 1880년대 후반에서 세계 1차대전 후반까지의 짧은 기간이다. (비록 '일러스트레이션 황금기'의 활동은 몇 년밖에 안되었지만 삽화가<일러스트레이터>들은 그 이후로도 몇십 년간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그 몇 십년 전 유럽에서는, 신문, 대형 마켓 매거진등과 삽화책이 공공 보시부분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구사하였다. 인쇄술이 발달함과 동시에 삽화가들은
자유롭고 다양한 색감과 새로운 표현 기법을 무한대로 실험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당시의 소수의 삽화가 그룹은 부자가 되고 명예를 얻었다. 이들은 미국 활금기의 꿈을 창조해 내기 시작했다.
19세기 초반부터 후반까지 유럽 다수의 삽화가(일러스트레이터)들은 무스타브 도레와 연결되었다. 그의 1860년대 런던의 빈곤에 대한 침울한 삽화(일러스트)는 예술의 사회논평에 아주 큰 영향을 준 예가 되었다. 에드몬드 듀랙, 어서 랙햄, 월터 크래인과 키 닐슨은
이 스타일을 새롭게, 네오 - 미디어빌리즘 사상을 전달하여 해석한 결과 신화적이고 동화적인 소재를 이끌어 냈다. 영국의 삽화가 비트릭스 포터의 정밀한 자연관찰의 동물세계를 그린 어린이 삽화와는 대조된다.
풍요로움과 조화의 일인 '일러스트레이션의 황금기' 일러스트레이터는 1890년대 목판화와 실루엣 에서 영향받은 블랙 앤 화이트 스타일의 오브리 비어슬리 작업과 대조되는데, 그는 아르누보와 레즈나비를 예견하였다. 이 시대의 미국 일러스트레이션은 브래디와인 밸리 전통과 하워드 패일과 N.C. 웨이스, 맥스필드 패리쉬, 프랭크 스크노버가 포함된 그의 제자들의 스타일에 고정되어 있었다.
라틴아메리카의 예술 운동은 산티아고 마르티네즈 델가도가 일이켰는데, 그는 시카고의 미대학생일 때인 1930년대에 에스콰이어 매거진 일 시작, 후에 콜롬비아 출신인 비다 매거진에 일을 시작, 후에 콜롬비아 출신의 비다 매거진 일을 하였고, 마르티네즈는 프랭크 로이드 라이크의 문하생으로 들어와 아르데코 스타일을 배웠다. 또한 영국 프리랜서 삽화거(일러스트레이터) 아서 래그의 표현주의적 작업과 1930년대 선전 예술의 영향력이 매우 커졌다. 그의 스타일은 모노톤의 선으로 정치 포스터에 블록 프린트 인쇄 기법을 사용하였으나 많은 작업이 사진화 되는 느낌이 되자 모든 작업을 펜과 잉크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일러스트레이션 예술
오늘날, 책, 잡지, 포스토등의 안에서 예술작품이 많이 노출되며 사용이 되면서 삽화(일러스트레이션)에 감탄하고 수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양한 박물관 전시, 잡지와 갤러리는 삽화가(일러스트레이터)는 종종 순수 회화 작가나 그래픽 디자이너에 비교되어 덜 중요하게 취급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컴퓨터 게임과 만화 시작의 증가가 되어 그 결과로 삽화(일러스트레이션)는 하나의 커다란 시장 과 두 개의 시장에서 예술 작품이 이익을 창출하고 인기를 얻을 수 있는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한국, 일본, 홍콩과 미국에서 그러하다.[7]
관련 프로그램
-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
- 클립 스튜디오(Clip Studio)
- 메디방 페인트 프로(Medibang Paint Pro)
- 사이툴(Paint Tool SAI)
- 오픈캔버스(Open Canvas)
- 코렐 페인터(Corel Painter)
- 크리타(Krita)
- 오토데스트 스케치북(Autodesk Sketchbook)
- 아트레이지(Artrage)
- 프레쉬 페인트(Fresh Paint) 등등
기본 요소
빛
눈을 위한 형성은 삽화를 뜻한다. 이에 따라 우리의 시각처럼을 구성하는 빛ㆍ색ㆍ형 세가지 요소는 삽화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물리적 성질상 단독이 아닌 대체로 형과 색이 결합하여 의식된다. 빛과 형과의 관계는 명암이라는 기법의 원리를 포함한다. 이것은 물체의 고유색이나 예리한 윤곽선보다도 빛과 어둠, 빛과 그림자가 물체의 형태에 미치는 세심한 변화에 따라 형체감과 깊이감 들을 나타내는 기법이다. 빛과 색들의 관계는 신적인 것의 물리화로서 또는 그것의 상징으로 여러 종교들에 의해 여겨졌다. 빛의 효과로 관심을 가지며, 현재 빛이 소멸되면 화면의 존재가 없어진다는 이론과 색체가 가진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학적 실험들도 이뤄나가고 있다.
색
여러 가지 색은 명도ㆍ채도ㆍ색상 3종류로 이루어 그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명도는 물체 표면의 밝기 즉, 물체의 색이나 빛의 색이 지니는 밝기의 정도(명암의 정도)를 뜻하며, 채도는 일정한 색조의 색에 있어 회색의 함유량에 따라 색의 선명도를 뜻하는데 회색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상태는 순색(純色)이라 한다. 색체가 일정한 감정내용과 상응하여 나타나는 제, 예로 빨강계통의 따뜻한 색은 감정효과 파랑계통의 찬색과는 달리한다. 파랑은 자극적인 허무ㆍ자극과 평정의 모순, 빨강은 진지함과 위엄ㆍ사랑, 노랑은 명랑ㆍ쾌활ㆍ유연 등으로 표현된다.
선
선은 삽화에 있어 형태를 이루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색과 분리되어 독립된 분야가 소묘처럼 가져진다. 선은 형의 윤곽색의 존재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면의 성격을 포함하고 방향을 지시하여 때때로 조금의 선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생각지 못하였던 변화를 가지게 하는 등 화면의 전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때가 많다.
형
형의 구성요소로는 점ㆍ선ㆍ면ㆍ입체가 있고, 일정한 사물의 형태에 관해서 윤곽(실루엣), 내부형(한 형의 내부에서 그 각 부분들 간의 한계), 구조형(형을 구성하는 사물의 물질적인 상태나 구조에 따라 보이는 것)이라는 세 가지 현상형태가 있다.
원근법
- 선원근법 : 3차원적 연장을 갖는 공간을 단순한 표현방식으로 평면 위에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의 대상으로 보다 멀리 있게 보이게 하기위해 다른 대상의 일부분을 가리는 표현방식이다. 대상은 우리의 눈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보이기 때문이다.
- 공기원근법 : 대기의 작용으로 대상이 멀어짐에 따라 윤곽이 불명료하게 흐릿하게 되고 따뜻한 색상이 푸른색에 가까워지며,명도가 낮아져 흐릿해지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원근감을 나타낸다.
- 색원근법 : 같은 평면 위의 색이라도 색에 따라 거리감과 공간표현에 이 말이 사용되는 표현방식이다. 예로 붉은색ㆍ노랑계통의 색은 가까워지는 전진적으로 표현이 되고, 청색계통은 멀어지는 후퇴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 역원근법 - 비잔틴이나 동양화의 회화 등에서 사용이된다. 평행선을 앞쪽을 향하게 하여 단축시켜준다. 소실점을 지편선상이 아니라 관찰자 본인에게 있는 것처럼 그리는 표현방식이다.
구성ㆍ구도
삽화는 현실의 공간과는 다른 공간을 일정한 범위 안에서 "구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삽화에 특히 가장 중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화면 구성인 '구도'라고 말할 수 있다. 구도란 여러 현상들을 화면 위에 배치, 원근법, 명암, 색감등을 고려하여 화면에 밀도나 긴장도가 높은 통일성을 부여하는 것이다.[8]
각주
참고자료
- 〈일러스트레이션〉, 《나무위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