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파시
텔레파시(Telepathy)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통해 인간의 생각을 직접 컴퓨터와 연결하여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마치 텔레파시처럼, 사용자가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하거나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아사달] 스마트 호스팅 |
개요
텔레파시는 뉴럴링크(Neuralink)가 개발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사람의 생각을 디지털 신호로 읽고, 컴퓨터 또는 다른 인간에게 전달하려는 기술이다. 텔레파시 개념은 뇌 속 신경 활동을 모니터링하여 인간의 생각을 직접 디지털 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뇌가 직접 장치를 제어하거나 다른 사람과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텔레파시는 기존에 공상과학의 영역에 머물렀던 개념으로, 뉴럴링크는 이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뇌-기계 연결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텔레파시 기술의 궁극적인 목표는 생각만으로 의사소통을 하거나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신체적 제한을 넘어선 자유로운 정보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발전
뉴럴링크는 2016년 일론 머스크에 의해 설립되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와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초창기에는 동물 실험을 통해 뇌 활동 데이터를 얻는 데 주력했으며, 이후 여러 가지 혁신적 프로토타입 장치를 개발했다. 2020년 뉴럴링크는 뇌에 삽입할 수 있는 작은 칩 형태의 기기인 링크를 발표했고, 이 장치는 수천 개의 신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었다. 현재 뉴럴링크는 이 기술을 전신마비 환자 등에게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1] 실제로 2024년 1월 전신마비 환자 놀런드 아르보(Noland Arbaugh)의 뇌에 칩을 이식하는 첫 번째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화제를 모았다.[2]
원리
뉴럴링크의 텔레파시 기술은 뇌의 뉴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해석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리에 기반한다. 뉴런은 신경 활동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이 신호는 신경망을 통해 전달된다. 뉴럴링크의 장치는 뇌에 매우 얇은 전극을 삽입하여 신경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해석할 수 있다.
일론 머스크는 뉴럴링크의 칩을 '텔레파시'라고 부르며, 생각만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 마치 초능력의 텔레파시와 같다고 설명한다. 이 기술은 동전 크기의 칩에 연결된 64개의 가느다란 전선으로 구성되며, 각 전선에는 1024개의 전극이 부착되어 있다. 칩은 전용 수술 로봇을 이용해 두개골에 구멍을 뚫고, 운동을 관장하는 대뇌피질 영역에 심어진다. 이 전극들은 뇌의 뉴런 신호를 포착하여 칩으로 전달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무선으로 외부 컴퓨터로 전송된다. 칩은 무선 충전 기능을 갖추고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이를 처리한다. 그러나 칩을 이식한 사람은 특수한 맞춤형 훈련을 통해 이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기술은 뇌와 기계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며, 향후 뇌-기계 인터페이스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3]
특징
- 고해상도 신경 인터페이스: 뉴럴링크는 고해상도 신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매우 작은 신경 신호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다. 이는 수천 개의 전극을 뇌에 삽입하는 초소형 전극 배열을 통해 이루어진다.
- 실시간 데이터 처리: 뇌 신호는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해석된다. 이를 위해 뉴럴링크는 초고속 데이터 처리 칩과 고속 무선 통신 기술을 결합해 정보가 지연 없이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 양방향 정보 전달: 뉴럴링크의 목표는 단방향적인 뇌 데이터 수집이 아니라, 양방향 정보 흐름이다. 사용자가 뇌의 신경 활동을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기기가 신경계를 자극해 사용자의 감각이나 의식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 뇌에 안전하게 적용 가능한 삽입 기기: 뉴럴링크의 신경 삽입 기술은 뇌 조직에 최소한의 손상을 입히면서 안정적으로 장치를 삽입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방식을 연구 중이다. 이를 위해 머리카락보다 얇은 전극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전극은 로봇이 정밀하게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응용 가능성
- 의료 분야: 신경학적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뇌-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증 마비 환자나 뇌 손상 환자들이 생각을 통해 의사소통하거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 스마트홈 및 사물 인터넷(IoT): 텔레파시 기술을 사용해 사용자가 생각만으로 집 안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명을 켜고 싶은 생각을 하면, 뇌 신호를 통해 스마트 조명이 켜질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 교육 및 학습 보조: 텔레파시를 통해 학습 도중 특정 정보를 뇌로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기억력 강화나 인지 학습을 도울 수 있다.
- 게임 및 가상현실(VR): 텔레파시 기술은 가상현실 게임에서 새로운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플레이어가 단순히 게임 속 상황을 상상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의도를 표출하는 것만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여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문제점
텔레파시 기술은 개인의 뇌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개인의 뇌 신호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정보 보안 문제와 프라이버시 보호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된다. 또한, 이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불평등, 즉 이러한 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계층과 그렇지 않은 계층 간의 격차도 논의되어야 한다. 뉴럴링크는 이러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 개발 초기 단계부터 윤리적 논의를 수반하고 있으며, 사회적 영향에 대한 고민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각주
- ↑ 고재원 기자, 〈'칩인류' 내 두뇌는 곧 컴퓨터...'텔레파시' 생각으로 조종한다〉, 《매일경제》, 2024-02-12
- ↑ 염현주 기자, 〈생각만으로 온라인 게임 즐긴다?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두 번째 BCI 칩 이식 성공〉, 《바이오타임스》, 2024-08-05
- ↑ 김효인 기자, 황규락 기자, 〈또 세상을 놀라게한 머스크, '텔레파시' 칩을 인간 뇌에 심었다〉, 《조선일보》, 2024-01-31
참고자료
- 김효인 기자, 황규락 기자, 〈또 세상을 놀라게한 머스크, '텔레파시' 칩을 인간 뇌에 심었다〉, 《조선일보》, 2024-01-31
- 고재원 기자, 〈'칩인류' 내 두뇌는 곧 컴퓨터...'텔레파시' 생각으로 조종한다〉, 《매일경제》, 2024-02-12
- 염현주 기자, 〈생각만으로 온라인 게임 즐긴다?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두 번째 BCI 칩 이식 성공〉, 《바이오타임스》, 2024-08-05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