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터 T1

부스터 T1(Booster T1)은 중국 로봇기업인 부스터로보틱스(BOOSTER ROBOTICS, 加速进化)가 선보인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키 1.1m, 무게 29kg의 2족 보행 휴머노이드 로봇 '부스터 T1'은 보행은 물론 축구, 푸쉬업, 한다리 스쿼트 등 고난이도 동작이 가능하다.
목차
[숨기기]개요[편집]
부스터 T1은 개발자와 연구원을 대상으로 개발한 다목적 오픈 소스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부스터 T1(Booster T1) 로봇은 2024년 18월 처음으로 공개됐다. 키 1.2m, 무게 약 30kg으로 23 자유도를 지원한다. 모든 방향으로 걸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일어설 수 있다. 2시간 연속 보행이 가능하며 4시간 동안 서 있을 수 있다. 공차기뿐 아니라 팔굽혀 펴기, 스쿼트 등 동작도 할 수 있다. 감지 및 위치 인식 기능이 뛰어나면서 충돌 방지 기능을 갖췄다. 200TOPS의 AI 연산 능력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 초거대 모델을 지원한다.
2023년에 설립된 부스터로보틱스는 이동성이 뛰어난 휴머노이드 로봇 본체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제어 개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의 청하오(程昊) CEO는 칭화대 출신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 및 개발 전문가다.
부스터 T1이 소속된 중국 칭화(清华)대 훠선(火神)팀은 '2025년 로보컵 독일 오픈' 대회 성인팀 경기에서 독일 스웨티(Sweaty)팀을 9:0으로 이겨 우승 트로피를 차지했다. 칭화대 훠선팀은 경기 초반에 강한 공격 의지를 보이면서 AI 의사결정 시스템과 결합된 유연한 포지셔닝 및 팀 선수간 협력에 힘입어 수 차례 스웨티팀의 골문을 위협했다. 결국 9:0 스코어로 승리를 거머쥐었다. 훠선팀의 로봇 선수들은 모두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회사인 부스터로보틱스(BOOSTER ROBOTICS, 加速进化)가 제작했다.
주요 특징[편집]
폼 팩터 & 메카니컬 디자인[편집]
- 키 / 무게: 약 127cm (사람으로 치면 초등학생 키 정도), 약 30kg
- 설계 의도: 이동성 + 안전성 확보.
- → 작고 가벼운 디자인 덕분에 실험 및 연구 환경에서 다루기 쉬움.
- 자유도(DoF): 전신 약 23 자유도
- 팔: 6 DoF (팔꿈치, 어깨, 손목 등)
- 다리: 6 DoF (고관절, 무릎, 발목)
- 허리 및 목: 회전 가능 (전체 바디 컨트롤)
- 특징적 설계 포인트
- → 로봇이 넘어져도 내구성 확보 + 자체 일어섬 기능 탑재
- → 인간형 동작 모사에 중점, 균형 제어 능력이 좋음
운동 제어 & 민첩성[편집]
- 고속 전신 동작
- 푸쉬업, 한발 스쿼트, 다이내믹한 스텝 동작 가능
- 넘어짐 복구: 1초 만에 일어서는 재기능력
- 정밀 제어
- 고토크 서보 모터 사용으로 세밀한 힘 제어
- 실시간 동적 균형 유지 (Dynamic balance control)
- 전방향 이동 및 빠른 자세 전환 지원
운동 성능이 상당히 뛰어나고, 아틀라스(Atlas) 스타일의 민첩한 동작을 목표로 하는 느낌. 이 로봇은 전방향 보행, 축구, 푸쉬업, 한 다리 스쿼트 등 다양한 고난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넘어지더라도 1초 만에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센서 & 인식 시스템[편집]
- 시각
- RGB 카메라 + 깊이 카메라 (Depth camera)
- Visual SLAM 가능 (장소맵핑 및 자율 주행)
- 청각
- 6 마이크 어레이 (소리 방향 및 명령 인식)
- 균형/동작
- IMU (관성 측정 장치)
- 엔코더 + 토크 센서 (관절 각도 및 힘 측정)
- 환경 인식
- 다양한 센서 융합으로 충돌 방지, 공간 내비게이션, 사람 인식 가능
시각 + 청각 + IMU + 포스센서 융합으로 사람과 환경을 복합적으로 인식. 심도 카메라, IMU(관성 측정 장치), 6개 마이크로폰 배열 등 다양한 센서를 내장하여 환경 인식과 인간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컴퓨팅 파워[편집]
- CPU: Intel i7 프로세서
- AI 프로세서: NVIDIA Jetson AGX Orin (200 TOPS 연산 성능)
- 용도
- 실시간 이미지/음성 처리
- 고속 AI 추론 (Object detection, Pose estimation, 음성 인식 등)
- 동작 계획 및 제어 알고리즘 실행
최신 모바일 AI 컴퓨팅 모듈을 사용하여 에지(edge) 디바이스에서 복잡한 계산을 자체 처리. Intel i7 프로세서와 NVIDIA AGX Orin 플랫폼을 탑재하여 200 TOPS의 AI 연산 능력을 제공하며, 이는 환경 인식, 의사 결정, 운동 제어 등 복잡한 작업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소프트웨어 & 개발 친화성[편집]
- ROS 2 기반 오픈 플랫폼
- ROS2 공식 지원으로 다양한 오픈소스 패키지 사용 가능
- 시뮬레이션: Gazebo, Isaac Sim 등 연동 지원
- API 개방: 모터 제어, 센서 데이터, 동작 시퀀스 등 접근 가능
- AI 모델 커스텀 업로드 가능
- Custom AI model deploy 기능 (Vision/Audio/NLP 등)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개방하여, 개발자들이 ROS2 생태계와 다양한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쉽게 이차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에너지 소비량[편집]
- 배터리 타입
- 배터리 종류: 리튬 이온 (Li-Ion) 배터리
- 고밀도 에너지 저장
- 빠른 충전 + 깊은 방전 내구성
- 모듈형 배터리팩 설계 가능성 (유지보수 / 교체 용이)
- 작동 시간
- 1회 충전 시 사용 시간: 약 2시간
- 정지/대기 상태: 상대적으로 저전력 소비
- 다이내믹 모션 (걷기, 넘어짐 복구 등): 피크 출력 소비
- 충전 시간: 약 1시간 (급속 충전 가능)
- 에너지 효율 관리:
- 동작 중 불필요한 전력 소모 억제
- 저부하 시 파워 세이브 모드 전환
전력 효율 면에서는 연구용 로봇 치고 준수한 편. 하지만 배터리 교환식 설계 또는 외부 전원 연결 기능이 있으면 장시간 운용하는 실외 테스트에서도 장점.
소프트웨어 스택[편집]
- 네트워크 구조
- 계층적 아키텍처
- 센서 레벨: 실시간 피드백 (IMU, 포지션 센서, 포스 센서 등)
- 제어 레벨: 로우레벨 모터 컨트롤 (CAN bus 기반)
- 상위 지능 레벨: AI 기반 의사결정, 플래닝, 네트워크 통신 (Ethernet, Wi-Fi)
- 통신 프로토콜
-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UDP / TCP 혼합 사용)
- ROS2 (Robot Operating System 2) 기반 통합 가능성
- 클라우드 연동 (Edge-AI + Cloud orchestration) 지원
- 다중 노드 분산 처리 (센서/액추에이터 → 중앙 처리기)
- 특징
- 네트워크 레이턴시가 짧고, 센서-행동 루프가 빠름.
- 로봇 간 협업이나 원격 조작도 설계적으로 대응 가능.
시뮬레이션-실물 동기화[편집]
- 디지털 트윈 연동
- 실제 Booster T1 의 물리적 상태와 가상 환경을 실시간으로 동기화
- 센서 데이터 및 로봇 상태를 시뮬레이터에 지속적으로 피드백
- Gazebo, NVIDIA Isaac Sim 등의 시뮬레이터 사용 가능성 높음
- 실시간 시뮬레이션
- 가상환경에서 운동학 / 동역학 시뮬레이션 후, 피지컬 로봇에 적용
- 행동 플래너 및 충돌 검출 알고리즘 테스트에 유리
- 데이터 동기화 방식
- 센서 및 상태 로그 → 클라우드 / 로컬 DB 기록
- 시뮬레이션 환경과 실로봇 간 상태 편차 최소화
- 'Replay & Predict' 기능: 실패 동작 복기 및 개선 학습
- 장점
- 시뮬레이터에서 실험한 결과를 바로 실물에 적용하거나, 반대로 실물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시뮬레이션으로 피드백하여 반복 최적화할 수 있음.
- 로봇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
상업화 및 성과[편집]
Booster T1은 2024년 10월 공식 출시 이후 3개월 만에 50대 이상의 출하량을 기록하며 전 세계 고객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또한, 2024년 세계 로봇 대회(World Robot Conference)에서 뛰어난 성능을 선보여 많은 주목을 받았다.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부스터로보틱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oosterobotics.com/
- 〈加速进化 T1〉, 《世界机器人博览会》
- 〈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부스터 로보틱스', 수 백억 규모 프리A 투자 받아〉, 《로봇신문》, 2024-09-12
- 〈中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부스터로보틱스', 프리 A 투자 유치〉, 《로봇신문》, 2024-05-13
- 机器人大讲堂, 〈创始人曾担任字节跳动高管?人形机器人研发商「加速进化」完成新一轮战略融资!〉, 《腾讯网》, 2024-05-13
- 유효정 기자, 〈中 로봇 축구팀, '2025년 로보컵 독일 오픈'서 독일 팀 제압〉, 《로봇신문》, 2025-03-20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