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개변수(媒介變數)는 어떠한 수식이나 시스템 또는 함수의 특정한 성질을 나타내는 변수를 말한다. 영어로 파라미터(parameter)라고 부른다. 함수의 수치를 정해진 변역에서 구하거나 시스템의 반응을 결정할 때는 독립변수는 변하지만, 매개변수는 일정하다. 다른 매개변수를 이용해 함수의 다른 수치를 다시 구하거나 시스템의 다른 반응을 볼 수도 있다.[1]
수학에서 매개변수[편집]
수학에서 매개변수(Parameter in Mathematics)는 함수나 방정식에서 특정 값을 결정하는 변수이다. 특히 매개변수 방정식(parametric equation)에서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원의 방정식을 매개변수 형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가 매개변수이다.
값을 변경하면 다양한
좌표가 결정된다.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편집]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Parameter in Programming)는 함수(메서드)나 프로시저에 전달되는 입력값이다. 파라미터(parameter)라고도 부른다.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는 함수가 호출될 때 외부에서 값을 전달하여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파이썬(Python)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에서
와
가 매개변수이다.
- python
- def add(x, y):
- return x + y
이때 매개변수는 함수가 더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공지능에서 매개변수[편집]
인공지능에서 매개변수(Parameter in Artificial Intelligence)는 모델이 학습하는 가중치(weight)나 편향(bias) 같은 값이다. 매개변수는 머신러닝 모델이 데이터를 학습할 때 조정되는 값들이며, 모델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신경망에서 다음과 같은 가중치와 편향이 매개변수이다.
여기서
가 학습되는 매개변수이다.
이처럼 수학, 프로그래밍, 인공지능에서 매개변수의 개념은 비슷하지만, 그 역할과 의미는 조금씩 다르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매개변수 문서는 수학에 관한 글로서 내용 추가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일반 : 자연, 시공간, 생물, 동물, 식물, 정치, 법률, 군사,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예술, 스포츠, 역사, 역사인물, 인간, 민족, 인체, 건강, 질병, 정신, 성격, 행동, 언어, 수학 □■⊕, 위키 도움말
|
|
수학
|
IMO • KMO • 공리 • 그래프이론 • 기하학 • 대수기하학 • 대수학 • 산수 • 산학 • 선형대수학 • 수식 • 수학 • 수학경시대회 • 수학자 • 양 • 위상수학 • 응용수학 • 이산수학 • 조합론 • 집합론 • 필즈상 • 해석학 • 도움말:수학
|
|
수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경(1016) • 공배수 • 공약수 • 구(1032) • 구골(10100) • 구골뱅 • 구골플렉스 • 구골플렉시안 • 그레이엄수(G64(4)) • 기수 • 로마숫자 • 만 • 무량대수(1068) • 무리수 • 무한대(∞) • 무한소 • 배수 • 백 • 벡터 • 복소수 • 부동소수점 • 분모 • 분수 • 분자 • 사원수 • 서수 • 소수 (decimal) • 소수 (prime number) • 소수점 • 수 • 숫자 • 스칼라 • 승수 • 실수 • 십진수 • 아라비아숫자 • 약수 • 양(1028) • 양수 • 억 • 원주율(π) • 유리수 • 음수 • 이진수 • 자(1024) • 자연로그의 밑(e) • 자연수 • 정수 • 조(1012) • 지수 • 천 • 합성수 • 해(1020) • 허수(i) • 황금비(φ)
|
|
계산
|
! • ↑ • cos • f(x) • lim • log • sin • tan • ∑ • ∫ • 가감승제 • 값 • 결합법칙 • 계산 • 곱 • 곱셈 • 곱하기 • 공식 • 교환법칙 • 구간 • 구구단 • 극한 • 근 • 근사값 • 나누기 • 나눗셈 • 나머지 • 난이도 • 내림 • 다항식 • 답 • 더하기 • 덧셈 • 도함수 • 독립변수 • 등식 • 라마누잔합 • 로그 • 루트(√) • 리만가설 • 매개변수 • 매개변수 (수학) • 몫 • 무한급수 • 미분 • 미적분 • 미지수 • 반올림 • 발산 • 방정식 • 백분율 • 변수 • 부등식 • 분배법칙 • 비례식 • 비율 • 빼기 • 뺄셈 • 사칙연산 • 산수 • 삼각함수 • 삼차방정식 • 상수 • 상용로그 • 셈 • 수렴 • 수식 • 수열 • 시그모이드 함수 • 식 • 약분 • 역수 • 역함수 • 역행렬 • 연산 • 오일러 공식 • 오일러 등식 • 올림 • 이차방정식 • 인수 (수학) • 인수분해 • 자연로그 • 적분 • 전개 • 정답 • 정리 • 정의역 • 제곱 • 제곱근 • 종속변수 • 증명 • 지수 • 차수 • 천분율 • 치역 • 퍼센트(%) • 풀이 • 피타고라스 정리 • 함수 • 합 • 항 • 항등식 • 해 • 행렬
|
|
도형
|
각도 • 각뿔 • 곡면 • 곡선 • 구 • 그래프 • 길이 • 내심 • 넓이 • 높이 • 다각형 • 다면체 • 도형 • 둔각 • 둘레 • 마름모 • 면 • 면적 • 무게중심 • 반경 • 반구 • 반원 • 반지름 • 방심 • 변 • 부피 • 빗변 • 사각뿔 • 사각형 • 사다리꼴 • 삼각뿔 • 삼각형 • 선 • 선분 • 수심 • 쌍곡선 • 예각 • 오각형 • 외심 • 원 • 원기둥(원통) • 원뿔 • 원환체(도넛모양) • 육각형 • 이등변삼각형 • 입체 • 점 • 점선 • 정사각형 • 정사면체 • 정삼각형 • 정오각형 • 정육각형 • 정육면체 • 정팔각형 • 정팔면체 • 좌표 • 좌표계 • 좌표축 • 좌표평면 • 중첩 • 지름 • 직각 • 직경 • 직사각형 • 직선 • 직육면체 • 차원 • 초입방체(하이퍼큐브) • 축 • 타원 • 테서랙트 • 텐서 • 팔각형 • 평면 • 평행사변형 • 포물선 • 호
|
|
집합
|
공집합(Ø) • 교집합(∩) • 무한집합 • 벤 다이어그램 • 부분집합(⊂) • 알레프수(ℵ) • 여집합 • 원소 • 유한집합 • 전체집합 • 집합 • 차집합 • 합집합(∪)
|
|
통계
|
경우의 수 • 기댓값 • 기하평균 • 모분산 • 모집단 • 모평균 • 분산 • 분포 • 사건 • 산술평균 • 산포도 • 상관관계 • 순열 • 신뢰구간 • 신뢰도 • 유의수준 • 전수조사 • 정규분포 • 조합 • 조화평균 • 중앙값 • 통계 • 통계학 • 편차 • 평균 • 표본 • 표본분산 • 표본조사 • 표본평균 • 표준편차(σ) • 최빈값 • 합계 • 확률 • 확률밀도함수 • 회귀분석
|
|
수학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 게오르크 칸토어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니콜로 폰타나(타르탈리아) • 다비트 힐베르트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 레온하르트 오일러 • 로널드 그레이엄 • 르네 데카르트 • 버트런드 러셀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베른하르트 리만 • 브룩 테일러 • 블레즈 파스칼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아르키메데스 • 아이작 뉴턴 • 알콰리즈미 • 앙리 푸앵카레 •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 • 요하네스 케플러 • 요한 베르누이 • 유클리드(에우클레이데스) • 유휘 • 이순지 • 이임학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 조지 불 • 존 내시 • 존 네이피어 • 존 월리스 • 존 폰 노이만 • 지롤라모 카르다노 • 최석정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토머스 베이즈 • 피에르 드 페르마 • 피타고라스 • 헤론 • 홍정하 • 히파르코스
|
|
기타
|
IMO • KMO • 국제수학연맹 • 세계수학자대회 • 올림피아드 • 필즈상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