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왕십리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왕십리역(Wangsimni Station, 往十里驛)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에 있는 경원선분당선철도역이자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환승역이다. 부역명은 성동구청역(Seongdong-gu Office Station, 城東區廳驛)이다.

서울 지하철 5호선 상에서 수도권 전철 5호선이, 경원선 상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ITX-청춘이 운행되고 분당선 상에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운행된다. 수인·분당선 전동차 대부분이 이 역에 시·종착하며 일부는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된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은 이 역부터 합정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이 역부터 청량리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5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중랑천 하저터널로 서울숲역과 연결된다.

개요[편집]

이 역은 본역명과는 다르게, 왕십리동이 아닌 행당동에 위치해 있다. 이 역에서 성동소방서 행당119 안전센터 방향에 왕십리동에 위치한다.

왕십리역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명으로, 2호선과 5호선의 역명 중인 성동구청은 병기역이다.

1911년 10월 경원선철도역으로 먼저 개업했고, 1978년 10월부터 경원선을 경유해 용산역광운대역 구간 다닌 용산~광운대 운행 계통이 운행됐다. 이후 1983년서울 지하철 2호선1995년 11월수도권 전철 5호선이 개통하면서 환승역이 됐으며, 2005년 10월 용산~광운대 운행 계통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분리됐다. 그리고 2012년은 분당선의 시·종착역이 됐다. 2012년 4월 10일부터 ITX-청춘 열차가 평일에 한해 정차했으나, 2014년 3월 5일 시간표 개정으로 모든 요일에 정차한다. 추후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완공되면 서울 졍전철 동북선의 시·종착역이 될 예정이다.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출구는 14개가 있다. 모든 승강장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다.

2호선 승강장[편집]

상왕십리
| |
한양대
외선 순환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을지로3가(신한카드)·시청·홍대입구·신도림 방면
내선 순환 성수(올리브영)·건대입구·잠실(송파구청)·삼성·강남(하루플란트치과)·교대(법원·검찰청) 방면

5호선 승강장[편집]

  • 일부 첫차와 막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행당
| |
마장
상행 수도권 전철 5호선 청구·광화문(세종문화회관)·충정로(경기대입구)·공덕·여의도(신한투자증권)·방화 방면
하행 군자(능동)·광나루(장신대)·천호(풍납토성)·강동(강동성심병원)·마천·하남검단산 방면

한국철도공사 승강장[편집]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승강장은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회기역, 오이도역과 비슷하게 양 노선이 각각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사용되므로 평면 환승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의·중앙선수인·분당선 간 환승 시 횡단해야 한다.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다. 이 역까지 운행한 수인분당선은 출발하자마자 지하로 진입하며, 청량리 방면으로 향한 수인·분당선 상행 전철은 경원선 선로와 수인·분당선 간의 연결선이 설치돼 이 역과 청량리역간의 선로는 연결돼 운행된다.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경의·중앙선)/(수인·분당선)
| 12 | | 34 |
응봉(경의·중앙선)↓ /서울숲(SM타운)(수인·분당선)↓
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회기·망우·구리(구리전통시장)·덕소·용문·지평 방면
ITX-청춘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평내호평·가평(자라섬·남이섬)·남춘천(강원대)·춘천(한림대) 방면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ITX-청춘 이촌(국립중앙박물관)·용산·서강대·백마·금촌·문산 방면
3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방면·당역종착
4 선릉(애큐온저축은행)·기흥·수원·인천 방면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왕십리역 문서는 GTX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