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텍스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하이퍼텍스트는 최근 주화이다. '하이퍼'는 '과도한'(과잉 행동)의 의학적 의미보다는 수학적 확장 및 일반성(하이퍼 스페이스, 하이퍼 큐브와 같은)에 사용된다. 크기에 대한 의미는 없다. 하이퍼텍스트는 500단어 정도만 포함할 수 있다. '하이퍼'는 크기가 아닌 구조를 나타낸다. | 하이퍼텍스트는 최근 주화이다. '하이퍼'는 '과도한'(과잉 행동)의 의학적 의미보다는 수학적 확장 및 일반성(하이퍼 스페이스, 하이퍼 큐브와 같은)에 사용된다. 크기에 대한 의미는 없다. 하이퍼텍스트는 500단어 정도만 포함할 수 있다. '하이퍼'는 크기가 아닌 구조를 나타낸다. | ||
− | 영어 접두사 "hyper-"는 그리스어 접두사 "ὑπερ-"에서 유래하며 "over"또는 "beyond"를 의미한다. 라인터에서 유래한 접두사 "super-"가 있는 공통 원점을 가지고 있다. | + | 하이퍼텍스트 용어는 'hyper(초월한)'와 'text(문서)'의 합성어로, 1960년대 미국 철학자 '테드 넬슨(Ted Nelson)이 구상한 용어이다. 영어 접두사 "hyper-"는 그리스어 접두사 "ὑπερ-"에서 유래하며 "over"또는 "beyond"를 의미한다. 라인터에서 유래한 접두사 "super-"가 있는 공통 원점을 가지고 있다. 테드 넬슨은 하시퍼텍스트를 현실화하기 위해 '재나두 프로젝트(Project Xanadu)'를 진행했다. 재나두 프로젝트란 세상의 모든 정보를 모아 서로 연계되고 이어지는 정보의 흐름을 만들자는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훗날 팀 버나스 리(Tim Beners-Lee)가 인터넷의 기반인 '월드 와으디 웹(WWW)'을 개발하는 데 큰 영향을 줬다.<ref name="하이퍼텍스트 기사">이상우 기자, 〈[http://it.donga.com/15495/ 문서를 뛰어 넘는 문서, 하이퍼텍스트]〉, 《아이티동아》, 2013-08-01</ref> |
− | + | ||
== 역사 == | == 역사 == | ||
* 1941년 : Jorge Luis Borges는 "포킹 패스의 정원(The Garden of Forking Paths)"출판, 이는 종종 하이퍼 텍스트 개념에 대한 영감으로 여겨진 짧은 이야기 | * 1941년 : Jorge Luis Borges는 "포킹 패스의 정원(The Garden of Forking Paths)"출판, 이는 종종 하이퍼 텍스트 개념에 대한 영감으로 여겨진 짧은 이야기 |
2019년 9월 30일 (월) 09:49 판
하이퍼텍스트(hypertext)란 일반 텍스트와 달리 문장이나 단어 등이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처럼 구성된 문서를 말한다. 1960년대 테오도르 넬슨(Theodore Nelson)이 만든 용어이다. 일반 텍스트 문서는 정보를 순차적으로 인식하도록 나열되어 있지만, 하이퍼텍스트 문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hyperlink)가 걸려 있다. 대표적인 하이퍼텍스트에는 HTML 문서가 있다.
개요
하이퍼텍스트는 컴퓨터 디스플레이나 독자가 즉시 액세스 할 수 있는 다른 텍스트에 대한 참조(하이퍼 링크)가 있는 기타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텍스트이다. 하이퍼텍스트 문서는 일반적으로 마우스 클릭, 키 누르기 세트 또는 화면 터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하이퍼 링크로 상호 연결된다. 텍스트 이외에도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는 때때로 하이퍼 링크가 통합된 표, 이미지 및 기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형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하이퍼텍스트는 최근 주화이다. '하이퍼'는 '과도한'(과잉 행동)의 의학적 의미보다는 수학적 확장 및 일반성(하이퍼 스페이스, 하이퍼 큐브와 같은)에 사용된다. 크기에 대한 의미는 없다. 하이퍼텍스트는 500단어 정도만 포함할 수 있다. '하이퍼'는 크기가 아닌 구조를 나타낸다.
하이퍼텍스트 용어는 'hyper(초월한)'와 'text(문서)'의 합성어로, 1960년대 미국 철학자 '테드 넬슨(Ted Nelson)이 구상한 용어이다. 영어 접두사 "hyper-"는 그리스어 접두사 "ὑπερ-"에서 유래하며 "over"또는 "beyond"를 의미한다. 라인터에서 유래한 접두사 "super-"가 있는 공통 원점을 가지고 있다. 테드 넬슨은 하시퍼텍스트를 현실화하기 위해 '재나두 프로젝트(Project Xanadu)'를 진행했다. 재나두 프로젝트란 세상의 모든 정보를 모아 서로 연계되고 이어지는 정보의 흐름을 만들자는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훗날 팀 버나스 리(Tim Beners-Lee)가 인터넷의 기반인 '월드 와으디 웹(WWW)'을 개발하는 데 큰 영향을 줬다.[1]
역사
- 1941년 : Jorge Luis Borges는 "포킹 패스의 정원(The Garden of Forking Paths)"출판, 이는 종종 하이퍼 텍스트 개념에 대한 영감으로 여겨진 짧은 이야기
- 1945년 :
- 1963년 : Ted Nelson은 링크로 된 콘텐츠를 작성하고 사용하기 위해 개발 한 모델의 일부로, '하이퍼 텍스트' 및 '하이퍼 미디어' 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
- 1967년 : Ted Nelson과 Andries van Dam은 브라운대학교(Brown University)에서 하이퍼 텍스트 편집 시스템을 개발했다.
형태
챗을 비롯한 기존 인쇄물의 경우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넘어가는 과정은 모두 선형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A에서 B로 건너가려면 A와 B 사이에 있는 모든 페이지들을 거치게 되어 있다. 물론 책갈피 등을 이용하면 한 번에 넘어갈 수도 있기는 하지만 종이라는 물리적 한계 덕에 한 포스트에서 다른 포스트로 순간이동되는 하이퍼텍스트와는 다르다.
하이퍼텍스트는 하이퍼링크를 통해 각 텍스트가 비선형적으로 연결된다.
같이 보기
- ↑ 이상우 기자, 〈문서를 뛰어 넘는 문서, 하이퍼텍스트〉, 《아이티동아》, 201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