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 숫자형)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문자형은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char 타입은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 char 타입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문자, ASCII코드, 특수문자(유니코드 포함)으로 3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한 문자로 표현하는 것이다. <ref name="냉유's Log"> 〈[https://keep-cool.tistory.com/12 문자형-char]〉, 《개인블로그》, 2017-11-18</ref> | 문자형은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char 타입은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 char 타입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문자, ASCII코드, 특수문자(유니코드 포함)으로 3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한 문자로 표현하는 것이다. <ref name="냉유's Log"> 〈[https://keep-cool.tistory.com/12 문자형-char]〉, 《개인블로그》, 2017-11-18</ref> | ||
+ | |||
+ | *'''종류''' | ||
+ | ① char : char은 java의 자료형 중에서 유일하게 unsigned인 값의 범위 중에서 음수가 없는 자료형이다. 유니코드를 도입하여 2byte의 범위로 이뤄져 있다. <ref name="블루네군 블로그"> 〈[http://www.bluene.net/blog/359 JAVA의 기본 자료형(1)]〉, 《개인블로그》, 2007-04-30 </ref> | ||
+ | :{|class=wikitable width:100%; margin:auto; style="background-color:rgba(255, 255, 128, .5);" | ||
+ | |+ < 문자형 > <ref name="언제나 휴일"></ref> ] |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예약어 |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메모리 크기 |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디폴트 값 |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표현 범위 | ||
+ | |- | ||
+ | |align=center|char | ||
+ | |align=center|2 byte | ||
+ | |align=center|'\0' | ||
+ | |align=center|0 ~ 65535 | ||
+ | |} | ||
*'''표현 방법''' | *'''표현 방법''' | ||
69번째 줄: | 84번째 줄: | ||
===== 2. 숫자형 ===== | ===== 2. 숫자형 ===== | ||
====== 1) 정수형 ====== | ====== 1) 정수형 ====== | ||
− | Java 언어에서는 정수를 표현하기 위해 byte, short, int, long을 제공한다. | + | *'''정의''' |
+ | Java 언어에서는 정수를 표현하기 위해 byte, short, int, long을 제공한다. <ref name="언제나 휴일"></ref> | ||
+ | *'''종류'''<ref name="블루네군 블로그"></ref> | ||
+ | ① byte : byte는 정수형 자료 중 가장 작은 범위의 수치를 저장하는 자료형이다. 주로 배열이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데 Java에서는 반드시 byte의 범위인 -128 ~ 127 사이의 수만 사용해야 한다. | ||
+ | ② short : short는 C언어와 같이 2byte 메모리 체계의 int 자료형과 호환성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자료형이다. 일반적으로는 사용될 수 있지만 정수형 자료형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자료형이다. | ||
+ | |||
+ | ③ int : int는 정수형 자료형 중에서 대표적인 자료형이다. 모든 언어에서 기본이 되는 자료형으로써, 모든 정수 수치의 기본 구조가 된다. 또한 정수 연산시에 발생하는 결과값은 모두 int형으로 출력된다. | ||
+ | |||
+ | ④ long : long은 int보다 큰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자료형이다. long을 초기화 할 경우에 현재 시스템에 int보다는 크다는 사실을 인식시키기 위해 소문자 'l'이나 대문자 'L'을 붙여야한다. | ||
+ | |||
+ | :{|class=wikitable width:100%; margin:auto; style="background-color:rgba(255, 255, 128, .5);" | ||
+ | |+ < 문자형 > <ref name="언제나 휴일"></ref> ] |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예약어 |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메모리 크기 |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디폴트 값 |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표현 범위 | ||
+ | |- | ||
+ | |align=center|byte | ||
+ | |align=center|1 byte | ||
+ | |align=center|0 | ||
+ | |align=center|-128 ~ 127 | ||
+ | |- | ||
+ | |align=center|short | ||
+ | |align=center|2 byte | ||
+ | |align=center|0 | ||
+ | |align=center|-32768 ~ 32767 | ||
+ | |- | ||
+ | |align=center|int | ||
+ | |align=center|4 byte | ||
+ | |align=center|0 | ||
+ | |align=center|-2의 31승 ~ 2의 31승 | ||
+ | |- | ||
+ | |align=center|long | ||
+ | |align=center|8 byte | ||
+ | |align=center|0 | ||
+ | |align=center|-2의 63승 ~ 2의 63승 | ||
+ | |} | ||
====== 2) 실수형 ====== | ====== 2) 실수형 ====== | ||
− | Java 언어에서는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 float, double을 제공한다. | + | Java 언어에서는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 float, double을 제공한다. <ref name="언제나 휴일"></ref> |
+ | *'''종류''' | ||
+ | ①② | ||
− | ===== 논리형 ===== | + | ===== 3. 논리형 ===== |
==== 참조 자료형(Reference DataType) ==== | ==== 참조 자료형(Reference DataType) ==== |
2020년 8월 7일 (금) 15:54 판
자료형(資料形)이란 데이터 타입(Data Type)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분류로써, 해당 자료형에 대한 가능한 값, 해당 자료형에서 수행을 마칠 수 있는 명령들, 데이터의 의미, 해당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1]
목차
개요
자료형에는 불린(Boolean), 정수(int), 문자(char), 문자열(String),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등이 있다. 자료형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 void를 사용한다.
특징
분류
![](/images/thumb/4/45/Java_%EC%9E%90%EB%A3%8C%ED%98%95_%EB%B6%84%EB%A5%98.png/700px-Java_%EC%9E%90%EB%A3%8C%ED%98%95_%EB%B6%84%EB%A5%98.png)
기본 자료형
기본 자료형(Primitive DataType)은 값을 가지고 있는 변수 즉, 선언된 변수에 실제 값이 저장된다. [2] [3] Java 언어에서 제공하는 기본 자료형에는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는 char, 표현 범위에 따라 정수를 표현하는 byte,short, int, long, 표현 범위와 오차 범위에 따라 실수를 표현하는 float, double을 제공한다. [4]
1. 문자형
- 정의
문자형은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char 타입은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 char 타입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문자, ASCII코드, 특수문자(유니코드 포함)으로 3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한 문자로 표현하는 것이다. [5]
- 종류
① char : char은 java의 자료형 중에서 유일하게 unsigned인 값의 범위 중에서 음수가 없는 자료형이다. 유니코드를 도입하여 2byte의 범위로 이뤄져 있다. [6]
< 문자형 > [4] ] 예약어 메모리 크기 디폴트 값 표현 범위 char 2 byte '\0' 0 ~ 65535
- 표현 방법
1) 한 문자로 표현 : 작은 따옴표 사이에 출력할 한 문자를 넣는다.
char x = 'x'; [ 출력값 ] >> x
2) ASCII코드로 표현 : ASCII코드에 해당하는 10진수 숫자로 표현한다.
System.out.println("\"Java\""); [ 출력값 ] >> "Java"
3) 특수문자로 표현 : 백슬러시(\) 다음에 특수 기호를 붙여서 표현한다.
char x = 65; [ 출력값 ] >> A
< 특수 문자 > [5] ] 특수문자 문자 표현법 tab \t backspace \b form feed \f new line \n carriage return \r 역슬래시(\) \\ 작은 따옴표(') \' 큰 따옴표(") \" 유니코드(16진수) \u유니코드
2. 숫자형
1) 정수형
- 정의
Java 언어에서는 정수를 표현하기 위해 byte, short, int, long을 제공한다. [4]
- 종류[6]
① byte : byte는 정수형 자료 중 가장 작은 범위의 수치를 저장하는 자료형이다. 주로 배열이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데 Java에서는 반드시 byte의 범위인 -128 ~ 127 사이의 수만 사용해야 한다.
② short : short는 C언어와 같이 2byte 메모리 체계의 int 자료형과 호환성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자료형이다. 일반적으로는 사용될 수 있지만 정수형 자료형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자료형이다.
③ int : int는 정수형 자료형 중에서 대표적인 자료형이다. 모든 언어에서 기본이 되는 자료형으로써, 모든 정수 수치의 기본 구조가 된다. 또한 정수 연산시에 발생하는 결과값은 모두 int형으로 출력된다.
④ long : long은 int보다 큰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자료형이다. long을 초기화 할 경우에 현재 시스템에 int보다는 크다는 사실을 인식시키기 위해 소문자 'l'이나 대문자 'L'을 붙여야한다.
< 문자형 > [4] ] 예약어 메모리 크기 디폴트 값 표현 범위 byte 1 byte 0 -128 ~ 127 short 2 byte 0 -32768 ~ 32767 int 4 byte 0 -2의 31승 ~ 2의 31승 long 8 byte 0 -2의 63승 ~ 2의 63승
2) 실수형
Java 언어에서는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 float, double을 제공한다. [4]
- 종류
①②
3. 논리형
참조 자료형(Reference DataType)
클래스
인터페이스
배열
활용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