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AlphaGo)는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 회사가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의 바둑 프로그램이다.
개요
2014년 영국의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가 설립한 스타트업 기업이었던 딥마인드가 구글에 인수되면서 본격적인 알파고 개발에 착수했다. 알파고(AlphaGo)라는 이름은 구글의 지주회사 이름인 알파벳(Alphabet)에 사용되었고, 그리스 문자의 첫 번째 글자로 최고를 의미하는 알파(α)라는 말에 바둑의 일본어 발음인 고(碁, ご)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인 'Go'를 합친 말이다.
알파고는 단일 컴퓨터로 구동되는 단일 버전(single version)과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분산 버전(distributed version)의 두 가지가 있다. 단일 버전의 알파고는 48개의 CPU와 4~8개의 GPU로 구동된다. 단일 버전이 알파고는 '크레이지 스톤'과 '젠'을 포함한 다른 바둑 프로그램과 500번의 대국에서 1패만 기록하였다. 분산 버전은 1,202~1,920개의 CPU와 176~280개의 GPU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수의 CPU와 GPU에서 비동기 모드와 분산 모드로 테스트되었고, 한 수당 생각할 시간은 2초씩 배정되었다.
종류
알파고 리
구글은 대한민국의 바둑 프로 기사 이세돌 9단과 대국을 성사시켜, 2016년 3월 9일부터 15일까지 서울의 포시즌스호텔에서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Google Deepmind Challenge match)를 개최하였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결, 문화와 과학의 대결 등으로 수많은 화제 불러일으키며 역사적인 세기의 대결로 주목받은 첫 대국은 한국어와 영어로 공식 해설이 제공되어 유튜브(YouTube) 생중계를 통해 전 세계 8천 만명 이상이 시청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방송공사(KBS2)에서 생중계되었다. 이 게임에서 알파고는 세계 최정상의 프로 바둑 기사인 한국의 이세돌 9단과 겨루어 4:1로 승리했다. 이세돌 9단에게 승리한 이 버전을 알파고 리(AlphaGo Lee)라고 부른다. 알파고 리는 정책망을 통해 최적의 수를 찾고, 가치망을 통해 승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바둑을 두었다. 한국기원은 알파고가 정상의 프로기사 실력인 입신(入神)의 경지에 올랐다고 인정하여 프로 명예 단증(9단)을 수여하였다.
알파고 마스터
이후 알파고 리의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하여 더 우수한 성능의 알파고 마스터(AlphaGo Master)를 만들었다. 2017년 5월 바둑 세계 랭킹 1위의 프로 기사인 커제(柯洁) 9단과 3번기 공개 대국에서 알파고 마스터가 승리하였다. 또한 중국 대표 5인과의 단체전에서도 모두 승리하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임을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중국기원도 알파고에게 프로기사 9단 칭호를 부여했다.
알파고 제로
2017년 10월 일체의 사전 학습이나 인간이 둔 기보를 참조하지 않고 제로 상태에서 인공지능 스스로 자체 강화학습을 통해 바둑을 공부한 알파고 제로(AlphaGo Zero)가 나왔다. 알파고 제로는 알파고 리와 대결에서 100:0으로 승리했고, 알파고 마스터와 대결하여 89:11로 승리했다.
기보
알파고 대 이세돌 제2국
- 2016년 3월 10일의 2국 - 알파고(흑) 대 이세돌(백), 흑 불계승
알파고 대 이세돌 제4국
- 2016년 3월 13일의 4국 - 알파고(흑) 대 이세돌(백), 백 불계승. (78수 승착)
|
100수~180수 (177 자리에 , 178 자리에 )
|
전망
구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하사비스 최고경영자(CEO)는 알파고 제로를 끝으로 더 이상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하지만 그는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로 계속 연구하겠다고 밝히면서, 앞으로 인공지능은 인류가 새로운 지시 영역을 개척하고 진리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돕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이 보기
이 문서는 로고가 필요합니다.
|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알파고 문서는 인공지능 기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인공지능 : 인공지능 서비스, 인공지능 기술 □■⊕, 인공지능 로봇, 인공지능 기업, 인공지능 인물
|
|
인공지능 기술
|
AI 워싱 • 랭체인 • 로봇공학 • 로봇기술 • 인지과학 • 자동추론 • 자연어 처리 • 지능 • 지식표현 • 컴퓨터 비전 • 킬 스위치 • 튜링 테스트 • 프롬프트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
문자인식과 음성인식
|
ICR • OCR • OMR • URL • 감정 • 글자 • 단어 • 답변 • 대화 • 동영상 • 디자인 • 맥락 • 문단 • 문서 • 문자 • 문자인식 • 문자채팅 • 문장 • 발음 • 번역 • 분류 • 상담 • 소스코드 • 스토리 • 얼굴 • 얼굴인식 • 음성 • 음성채팅 • 음성인식(STT) • 음성합성(TTS) • 의미 • 이미지 • 인공어 • 인공지능 음성 • 자막 • 자연어 • 질문 • 채팅 • 출처 • 코드 • 코딩 • 텍스트 • 통번역 • 통역 • 파일 • 폴더 • 화상채팅 • 화자인식
|
|
인공지능 데이터
|
노드 • 데이터라벨러 • 데이터라벨링 • 데이터셋 • 돌마 • 레이블 • 벡터 • 벡터DB • 벡터공간 • 스칼라 • 시뮬레이션 • 엣지 • 임베딩 • 청크(Chunk) • 크라우드워커 • 토큰 • 토큰화
|
|
인공지능 학습
|
ADP • CoLLM • DALL-E • DDPG • DQN • LAM • LMM • SARSA • sLLM • SLM • 강화학습 • 거대언어모델(LLM) • 결정이론적 메타추론 • 계통적 강화학습 • 과적합 • 기억 • 단기기억 • 동적 계획법 • 딥러닝 • 딥큐러닝 • 머신러닝(기계학습) • 메타추론 • 모델 기반 강화학습 • 모델 프리 강화학습 • 미세조정(파인튜닝) • 반영식 아키텍처 • 비지도학습 • 사전학습 • 수시 알고리즘 • 어니 • 에이전트 • 인공지능 학습 • 자기지도학습 • 장기기억 • 전이학습 • 준지도학습 • 지도학습 • 추론 • 학습 • 훈련
|
|
인공지능 알고리즘
|
AGI • ANI • ASI • FFN • MHSA • RAG • ReLU 함수 • Seq2Seq • XAI • Word2Vec • 가중치 • 경사하강법 • 관계형 네트워크(RN) • 기울기 소실 • 뉴런 • 다층퍼셉트론 • 단층퍼셉트론 • 데이터마이닝 • 디코더 • 로지스틱 함수 • 리키 ReLU 함수 • 매개변수 • 미시 함수 • 방사신경망 • 볼츠만 머신 • 분산 샌드박스 • 비선형 함수 • 생성대립신경망(GAN) • 생성형 AI • 선형 함수 • 소프트맥스 함수 • 손실함수 • 수퍼얼라인먼트 • 순전파 • 순환신경망(RNN) • 스위시 함수 • 시그모이드 함수 • 신경망 • 신경망 구조 • 심층신경망(DNN) • 심층신뢰신경망(DBN) • 양방향 비고정값 암호 체계(TSID) • 어탠션 • 에이전트체인(CoA) • 역전파 • 역치 • 온도 • 원핫 • 은닉층 • 인공신경망(ANN) • 인공지능(AI) • 인코더 • 입력층 • 잔차신경망(레즈넷) • 제한 볼츠만 머신(RBM) • 전방전달신경망(FFNN) • 정렬위장 • 주의 메커니즘 • 초매개변수(하이퍼 파라미터) • 출력층 • 코헨 자기조직 신경망 • 탄젠트 함수 • 텍스트마이닝 • 트랜스포머 • 파이 • 퍼셉트론 •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tanh) • 학습률 • 합성곱 신경망(CNN) • 확률분포 • 확률적 경사하강법 • 활성화 함수
|
|
계산복잡도
|
NP • NP-완전 • 계산복잡도 • 공간복잡도 • 시간복잡도 • 여 NP • 여 NP-완전
|
|
인공지능 프로그램
|
BCI • GPT • 딥블루 • 딥페이크 • 멀티모달 AI • 모달 • 모달리티 • 모달창 • 어니 • 알파고 • 알파고제로 • 알파폴드 • 왓슨 • 카페 • 컨트롤넷 • 텐서플로 • 텔레파시 • 토치 • 파이토치 • 한돌
|
|
인공지능 장비
|
GPU • 그래픽카드 • 레니게이드 • 반도체 • 엔비디아 • 엔비디아 A100 • 엔비디아 H100 • 엔비디아 H200 • 집적회로(칩)
|
|
인공지능 특징
|
결정이론 • 계산상의 합리성 • 논리학 • 논리주의자 • 분산성 • 불확실성 • 삼단논법 • 선호도 • 예측곤란성 • 완벽한 합리성 • 유계 합리성 • 이유 불충분의 원리 • 자율성 • 최대기대효용 • 할루시네이션 • 효용이론
|
|
인공지능 법적 지위
|
권리주체성 • 소버린 AI • 전자대리인 • 전자적 인간 • 책임법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