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수묵화

위키원
haszxc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7월 30일 (금) 16:16 판 (새 문서: '''수묵화'''(水墨畫)는 채색을 가하지 않고 먹의 농담을 이용하여 그린 그림이다. ==개요== 수묵화는 동아시아의 그림 그리기 기법으로, 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묵화(水墨畫)는 채색을 가하지 않고 먹의 농담을 이용하여 그린 그림이다.

개요

수묵화는 동아시아의 그림 그리기 기법으로, 채색을 쓰지 않고, 수묵으로 짙고 옅은 효과를 내어 그린 그림이다. 먹그림이라고도 하고 간단히 묵화(墨畫)라고도 한다. 서예와 같이 검은 빛깔의 물감만을 이용하며 다양한 농도로 나타낼 수 있다. 수묵화는 동양화가 서양화와 다른 점을 단적으로 표현하는 개념이다. 즉 동양의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에서는 일찍부터 서양에서 색으로 간주하지 않는 흑과 백을 오색(五色)에 포함시켜 인식했던 점이 수묵화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수묵화는 대상을 먹의 녹담에 의해 엷게 또는 진하게 그리거나, 먹물의 번짐 등을 이용하여 표현하는데, 부드럽고 유연한 붓의 움직임이 특징이다.[1]

역사

한국에서는 주로 남종문인화의 수용과정을 통해 수묵화가 발달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의 수묵화는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어 체계적인 파악이 불가능하며, 고려시대에 이르러 실용적 기능을 지닌 작품들뿐만 아니라 여기와 감상대상이 되는 작품 등이 다수 제작되었다. 전문으로 그림의 일을 관장하던 도화원에서 뿐만 아니라 많은 왕공사대부(王公士大夫)들이 여기로 묵매(墨梅)·묵죽(墨竹)·묵란(墨蘭) 등을 그렸다. 그리하여 당시 수묵 위주의 문인화로 이름을 남긴 사람은 화원화가보다도 그 수가 많아 이령(李寧)과 그의 스승 이준이(李俊異), 《해동기로도(海東耆老圖)》로 유명한 이전(李佺)과 그의 아버지 이존부(李存夫), 물고기 그림에 능했던 정득공(鄭得恭), 매화를 잘 그린 정지상(鄭知常)과 차원부(車原), 묵죽을 잘 그린 정서(鄭敍)· 이인로(李仁老)·이암(李) 등이 있다. 초기에는 다양한 중국 화풍들이 전래되었는데 곽희파 화풍(郭熙派畵風), 마하파 화풍(馬夏派畵風), 명(明)나라의 원체화풍(院體畵風) 및 절파화풍(浙派畵風) 등이 고루 선보이다가 한국적 화풍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그 후 중기 이래 성하였던 절파화풍이 쇠퇴하고 남종화에 기반을 둔 문인화가 본격적으로 유행하면서 중국의 산세와 이상미(理想美) 위주가 아닌 한국에 실재하는 산천(山川)을 한국적 화풍으로 그려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가 대두하여, 서정적이면서 소박한 정감의 수묵화가 풍미하였고, 인물화분야에서도 풍속화가 많이 나타나 한국 화풍을 형성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수묵화가라고는 하기 어려울지 모르나 인물·산수·동물 및 대나무·매화· 포도 등의 그림에 고루 뛰어났던 당대의 화가는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와 김두량(金斗樑) 등이다.[2]

특징

수묵화의 특징은 선의 강약 선의 강약에 의해 작가의 감정, 개성, 화면의 생동감까지도 표현할수 있다. 그리고 여백의 미가 잘 표현되어있다는 점이다. 여백은 미완성의 덜 그려진 공간이 아니라, 자유로운 해방감과 여유 있는 멋을 상징한다. 그리고 먹색의 농담이다. 먹색의 진하기에 따라 삼묵법(농묵, 중묵, 담묵)으로 나뉘며 부드러운 화면을 표현한다. 정적 · 정신적 표현 화면의 기품과 운치를 존중하고 정신 세계의 표현을 소중하게 다룬다. 평면적· 상징적 표현 물체 자체의 양감, 질감 등에 치우치지 않고 명암을 거의 그리지 않으며, 물체가 지닌 존재에 주의 하여 그린다.[2]

기법

수묵화의 기법은 크게 발묵·파묵·농묵·담묵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발묵기법은 주로 종이 위에 먹이 번져 퍼지는 효과를 얻는 방법으로 농묵이 담묵이나 물기를 따라 삼투압현상을 일으켜 번져가는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다. 파묵기법은 담묵으로 윤곽이나 용적 밑을 일차적으로 칠하고 그 뒤에 차차 농묵으로 덮어 습하듯이 하며 왕왕 초묵으로 그 윤곽선을 깨뜨리거나 한계를 분명히 하는 기법이다. 농묵기법은 먹을 진하게 갈아서 그리는 기법이며 담묵기법은 보다 흐리고 습하게 운필하는 기법으로서 물기와 먹이 번져 어울리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법이다. 이 외에 먹을 농담으로 순차적으로 쌓아 가듯이 그리는 적묵법 등도 있다.[2]

표현 기법

  • 몰골법
물체의 윤곽을 그리지 않고 붓에 먹을 찍어 한붓에 그리는 방법이다.
  • 구륵법
선으로 물체의 윤곽선을 그려서 표현하는 것으로, 윤곽선만으로 그리거나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에 채색하는 방법 이다.
  • 백묘법
채색을 쓰지 않고 선만으로 그리는 것으로 선의 굵기도 거의 일정하게 그린다.
  • 갈필법
붓에 물기를 적게 하여 거친 터치로 그린다.
  • 퇴묵법
붓의 맨 끝에 남은 먹색을 이용한는 기법이다.
  • 선염법
담묵의 화면에 농묵으로 칠하여 희미한 효과를 내는 화법이다. 선염법은 흐릿한 정경의 표현에 좋다.[2]



각주

  1. 수묵화(水墨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2.0 2.1 2.2 2.3 소전, 〈수묵화란...〉, 《네이버블로그》2011-05-03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수묵화 문서는 디자인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