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못 (도구)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nail, 釘)은 과 같은 단단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뾰족한 막대로 나무와 같은 것 여러 개를 서로 고정시키는 데에 쓴다. 못은 망치, 압축 공기 등으로 박는다.[1]

개요[편집]

못은 평소에는 잘 모르고 살지만 우리 주변의 아주 많은 것에 박혀 있는, 인간 문명을 지탱하는 물건 중 하나이며 망치의 평생 친구이다. 일반적인 못은 철과 같은 단단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뾰족한 막대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뒤쪽에는 평평한 머리가 있다. 대부분 금속으로 만들어지나 경우에 따라 나무, 대나무로 만든 것도 볼 수 있다. 현재 잘 찾아볼 수 있는 못은 그 형상 때문에 둥근못이라고 따로 부를 때도 있었는데, 그 이유는 과거 대장간 시대에 만들어진 못들은 망치로 두들겨 만드느라 각이 져 있기 때문이었다. 이외로 과거엔 비싼 물건들중 하나였는데 당시의 못은 대장장이가 수십번은 주의 깊게 뜸질하고 단조작업을 거쳐야 했기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그래서 목재로 집을 만들거나 가구를 만 들 때는 최대한 못을 사용하지 않거나 남은 나무조각들을 마치 못처럼 쓰는 사례들도 있었다.[2]

못의 잘 알려진 용도는 나무 등의 여러 물체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망치, 압축 공기, 네일건 등으로 박는다. 강철로 만들어져 콘크리트에 때려 박을 수 있는 콘크리트 못도 있으며, 또한 나사산을 내고 머리에 드라이버가 들어갈 자리를 내어 아주 강력한 접합에 사용하는 나사못도 존재한다. 사실 일반 가정에서는 못 크기는 대충 맞는거 아무거나 쓰지만, 못도 KS로 규격화되어 있어서 정확한 못의 크기가 필요한 이들에겐 이 규격표를 보고 못을 사다가 쓴다. 목공예를 하다 보면 못질을 해야 할 때가 생기는데 그때마다 어떤 못이 적합한지 알지 못해 곤란한 적이 있었을 것이다. 못질을 잘못하면 나무가 쪼개지거나 완성품의 퀄리티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못은 못의 머리(nail head), 몸통(nail shank) 그리고 끝(nail point) 부분의 처리에 따라 구분되며 그 사용법과 용도가 각기 다르다

대표적인 못 종류와 용도[편집]

못 종류.jpg
  • 둥근못(유니크롬) : 목재에 적합하다.
  • 둥근못(스테인리스) : 알루미늄 새시, 알루미늄 판, 기와 장착, 건널판 고정에 적합하다.
  • 스크류 못 : 방화벽, 담, 보드 바탕 천장, 베니어판 등의 장착에 적합하다.
  • 콘크리트 못 : 콘크리트, 블록, 경량형 강, 티크재 등에 대한 파이프, 철판, 전기 기구, 새시 등의 장착에 적합하다.

유형에 따른 분류[편집]

  • 벌크 못 : 망치로 타정하는 형태의 못을 의미한다.
  • 연결 못 : 총으로 타정하는 형태의 못을 의미한다.

원재료에 따른 분류[편집]

  • 스텐 못 : 녹이 슬지 않고 쉽게 깨지지 않는 스텐을 이용해서 만든 못.
  • 연강 못 : 탄소 함유량 0.25% 이하의 연강 철선을 이용해서 만든 못.
  • 경강 못 : 탄소 함유량 0.25% 이상의 경강 철선을 이용해서 만든 못.
  • 합금 못 : 둘 이상의 금속이나 비금속을 녹여 합친 금속을 이용해 만든 못.

머리형태에 따른 분류[편집]

못 머리 형태에 따른 분류.jpg
  • 일반 : 플랫, D헤드, 옵셋 등 일반적인 형태의 머리를 가진 못.
  • 듀플렉스 : 못의 분리가 편리하도록 머리를 두 개 형성한 못.
  • 캡 : 용도에 맞춰 머리 부분에 추가적인 캡을 장착한 못.

몸체 형태에 따른 분류[편집]

  • 스무스, 민자못(Smooth Shank) : 몸체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형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박히는 힘이 가장 높아 일상에서 많이 쓰인다.
  • 나선골(Screw Shank) : 나선형 꽈배기 골이 있는 형태. 연한 목재에 못을 박거나 수분 함량이 높은 목재에 못질할 때 유용하다.
  • 링(Ring Shank) : 링 타입의 골이 있는 형태. 단단한 목재에서 못의 버팀력을 높일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 바브드(Barbed Shank) : 표면에 일정한 흠집을 형성한 형태이다.

못의 끝(Nail Point) 형태에 따른 분류[편집]

못의 끝 형태에 따른 분류.jpg
  • 다이아몬드 포인트(Diamond Point, DP) : 일반적 용도에 적합한 모양으로, 가장 쉽게 못질을 할 수 있다. 연한 목재를 사용할 때 바람직하다.
  • 블런트 다이아몬드 포인트(Blunt Diamond Point, BDP) : 끝이 4면으로 뭉뚝해서 못이 박힐 때 최소의 저항을 받는 형태. 단단한 나무에 사용하면 나무가 갈라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 블런트 치즐 포인트(Blunt Chisel Point, BCP) : 끝부분이 끌모양으로 생겨 못을 박을 때 목재가 갈라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주로 못이 들어갈 때 드릴 역할을 해주는 꽈배기 못에 이 포인트가 많이 적용된다.
  • 포인틀러스 포인트(Pointless Point, PL) : 못의 끝부분이 뚝 잘려있는 형태로, 못의 원형 몸통과 같은 모양으로 남아있어 박을 때 가장 큰 힘이 필요하다. 단단한 나무나 언 나무에 못을 박을 때 목재의 갈라짐이 거의 없다.

많이 사용되는 못의 종류와 특징[편집]

많이 사용되는 못의 종류.jpg
  • 보통못 : 박히는 힘이 좋아 일상에서 가장 많이 쓰는 못이다. 머리가 원형의 넓은 형태이며 견고하기 때문에 목공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용융도금을 하여 녹을 최대로 방지하는 처리가 되어 있어 목재 작업을 할 때 유용하다.
  • 나사못 : 끝부분이 나사로 되어 있어 망치질을 하면 회전한다. 못이 박힌 부분에 균열을 줄여주고 잘 뽑히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 마감못 : 머리와 자루 부분이 비슷해 망치질을 했을 때 쉽게 숨길 수 있다. 흔적이 거의 남지 않아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하다.
  • 석공못 : 경화 강철로 이뤄져 부서지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석조에 망치질할 수 있다. 표면에 2~4개의 세로 골이 있는 형태이다.
  • 납작못 : 넓은 머리를 가진 작은 못이다. 카펫, 직물 등 얇은 물체를 부착할 때 주로 사용한다.
  • 무두못 : 못의 머리는 있으나 아주 작아 머리 부분이 목재 속으로 파묻히게 만들어졌다. 무두못의 표면은 약간 둥근 형태이며 못을 박은 후 뾰족한 징을 사용해 한 번 더 머리를 내리쳐 목재 속에 깊게 박을 수 있도록 작은 흠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이딩을 고정하거나 실내 계단 설치용으로 많이 사용된다.[3][4]

못의 사용 방법[편집]

  • 엇결: 못이 나무의 섬유에 대해 직각이다. 못의 길이는 상판 두께의 2.5배 정도 필요하다.
  • 곧은결: 못이 나무의 섬유에 대해 평행이다. 못의 길이는 상판 두께의 3.5배 정도 필요하다.
  • 못을 다 쳤으면 펀치 등으로 못의 머리를 매립한다.[5]

못을 빼려면[편집]

일반적으로 못 빼는 도구는 배척이다. 지레의 원리로 못을 뺀다. 쇠지렛대는 배척의 외국판이다. 한 끝이 날 모양인 것이 많다. 망치의 한 종류인 장도리로도 뽑을 수 있다. 장도리는 못을 뽑을 때는 자루 뒤에 있는 노루발을 이용하거나 망치 추 가운데에 못뽑이가 달린 경우도 있다.

역사[편집]

두 조각의 목재나 물건에 걸쳐 박아서 붙이거나 벽 같은 데 박아서 다른 물건을 거는 데 쓴다. 못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기록이 없어 확인하기 어렵다. 단 고고학적인 발굴에 따라 청동기시대나 철기시대에 이미 못이 사용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옛 무덤의 발굴조사보고서에 의하면, 경상남도 창원시 동면 다호리고분 제1호분, 기원전 1세기 후반 원삼국 초기(초기철기시대)의 토광묘(土壙墓) 목관 밑에서 나무칼 손잡이에 박혀 있는 청동 장식못(길이 7∼8mm)이 엑스선촬영으로 확인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무령왕릉에서 관못(棺釘)이 발굴되었는데 못머리 형태에 따라 화형(花形), 원형, 방형(8cm 정도)의 세 가지 종류의 못이 나왔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예덕리 신덕고분(526년)에서 원두정(圓頭釘), 방두정(方頭釘), 편원두정(偏圓頭釘)의 관못이 무려 150여 점이나 출토된 바 있다. 또, 고구려 고분으로 추정되는 평안남도 대동군 화성리 쌍곽분의 동곽에서 관못이 34개 가량이 발견되었으며, 길이는 10∼12cm 정도이다. 못머리는 반원형으로 곱게 만든 것과 납작한 것의 두 종류로 길이는 2cm 정도이다. 서곽에서는 관못이 14개 가량 발견되었으며, 못머리는 동곽의 것과 같이 반원형의 것과 납작하게 막 때려 만든 것의 두 종류가 있으며 크기도 대략 같다. 못은 쓰임에 따라 생김새나 크기가 각각 다르며 장식적인 효과를 내는 경우도 있다. 재료에 따라 쇠못(鐵釘), 대못(竹釘), 나무못(木釘)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못은 쇠로 만들어진 둥근못인데 , 구리, 등 재료로 제작하며 그 종류와 용도는 모양에 따라 다양하지만, 제정기(製釘機)로 대량 생산해 내는 쇠못이 가장 많다. 우리의 전통적인 못, 이른바 재래식못(在來釘)은 대장간에서 대장장이가 쇠를 불리어 두들겨 만들며, 형태가 각이져서 각못(角釘)으로 이름한다.[6]

기타 의미[편집]

  • 물 : 넓고 깊게 팬 땅에 늘 물이 괸 곳. 늪보다 작다. 구분하기 위해 연못이라 부르기도 한다.
  • 굳은 살 : 주로 손바닥, 발바닥에 압력이 가해지며 피부가 변형되어 생기는 굳은 살. 주로 물체와 접촉하여 생긴다. 변지(腁胝), 변지종이라고도 한다.[7]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 《위키백과》
  2. 못(도구)〉, 《나무위키》
  3. 못에 대해서〉, 《청강메이커스랩》
  4. 이혜원, 〈(이럴 땐 이런 공구)못 종류 6가지만 알면 인테리어 걱정 끝〉, 《산업정보포털 i-DB》, 2016-12-28
  5. 못의 종류와 용도〉, MISUMI
  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못 (도구) 문서는 제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