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양모직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양모직물
양모직물

양모직물양모사(羊毛絲)로 제직된 직물을 말한다.

상세[편집]

목양은 인류의 혈거(穴居)시대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스페인에서는 2,000년 전부터 목양이 성하여 메리노(Merino)양모를 생산했다.

18세기 후반 산업혁명 이후 양모공업이 발전하기 시작했고, 영국의 워스티드(Worsted)에서 모사 제조가 시작되어 이를 소모사(Wool)라 이름 붙였으며, 현재 대부분의 양모는 케라틴(Keratin)이라는 단백질이 그 주성분으로, 양모 케라틴에 존재하는 아미노산들이 서로 조염결합을 해서 가교결합을 형성하며, 이 가교결합이 양모 섬유의 탄성의 원인이 된다. 양모섬유는 표피 또는 외피(Cuticle), 피질부(Cortex), 모수(Medulla)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표피는 생선비늘의 배열같이 겹겹이 포개져 있는 비늘모양의 스케일(Scale)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양모를 서로 얽히게 하여서 방적하기 쉽게 만드는 요소임과 동시에 펠트화하기 쉬운 원인이 되기도 한다.

피질부는 양모섬유 중량의 약 90% 정도를 차지하는 주체가 되는 부분으로서, 방추형의 가느다란 피질부 세포(Cortial Cell)의 결합으로 되어 있으며, 오르도코텍스(Ortho·cortex)와 파라코텍스(Para·cortex)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성분의 흡수율의 차이로 양모섬유는 자연적으로 3차원적인 권축(뒤틀리며 굴곡되는)이 생긴다. 모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세포의 연결로써 섬유의 중앙에 위치하며 속이 빈 부분으로 존재한다.

양모섬유의 독특한 물결모양의 권축을 크림프라고 하는데 이는 방적성과 보온성 이외에도 펠트성, 탄력성, 벌키성 등 양모섬유 장점의 근원이 된다.

양모제품은 뛰어난 보온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높은 흡습성은 온도의 갑작스런 변화에도 피부에 이것이 전달되지 않게 막아 주며, 크림프가 많은 공기를 함유할 수 있어서 열전도를 차단하여 보온효과를 높인다.

양모섬유는 보통상태에서 흡습량은 12∼16%이나, 상대습도가 100%일 때는 건조중량 대비 30% 이상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흡습한 수분은 섬유 자체에 견고하게 보유되므로 습냉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

모섬유는 1.2∼1.7g/d 정도의 약한 섬유이지만 마찰에 대한 항성이 크고 탄성이 좋기 때문에 상당히 내구적이다. 양모는 가열, 압박, 충격 기타 기계적 작용을 받으면 섬유는 서로 얽혀 밀도가 커지면서 치밀한 조직을 만들어 축융성을 갖는다.

양모는 햇빛에 대하여 다른 천연섬유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나 자외선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인편조직과 시스틴(cystin)결합이 파괴되어 강도가 감소한다.

양모섬유는 130℃로 가열하면 섬유는 분해하기 시작하며 140∼150℃에 이르면 유황을 함유하는 악취를 발생시키며 300℃에서는 탄화한다. 불꽃을 대면 머리카락 타는 냄새와 형상을 나타낸다. 양모섬유를 수분의 존재하에서 100℃ 내외로 가열하면 현저하게 가소성을 발휘하여 유연해져서 임의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천연적인 크림프의 수를 인공적으로 증가시키고 영구적으로 고정시켜 양모섬유의 벌키성(부피가 늘어나는 특성)을 더욱 증진시키는 것을 슈퍼크림프가공 혹은 벌키가공이라 한다. 이 가공은 보다 싼 양모를 의류용으로 개발할 수 있고 보온성을 증가시키며 내펠트성, 내필링성, 방적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산화법이나 수지법 등을 사용하여 방축가공을 실시하여 양모의 단점인 줄어드는 특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양모섬유에 금속이온 등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방염가공을 실시하기도 하고,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대전방지가공 등을 실시한다.

모사의 방적방식은 비교적 긴 양모를 원료로 하여 방적하는 소모방적 방식과 짧은 양모를 원료로 하는 방모방적 방식이 대표적이다. 모직물에는 크게 소모사를 사용하여 만든 소모직물, 방모사를 사용한 방모직물, 그리고 전통적인 분류방법에 따르지 않는 다양한 기타 모직물이 있다.

양모직물의 용도[편집]

양모의 약 80 % 가 스웨터, 모자 및 코트와 같은 의복에 들어가므로 20 %는 놀랍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사용된다.

많은 양모의 사용은 매우 오래되었지만 사람들은 이 다목적 섬유를 위한 새로운 응용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사람들은 장식 및 기능적 목적으로 수천 년 동안 양모를 사용해 왔다. 이 섬유는 내구성, 유연성 및 내수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다양한 등급의 양모는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부드러운 섬유에서부터 스터프 및 단열과 같은 작업에 더 적합한 더 거친 섬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양모의 다양한 사용은 모든 작은 낭비를 보장한다.

의류 생산에 사용되는 양모는 직조, 편직, 편물, 펠트 및 다른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스웨터, 모자, 바지, 코트스카프와 같은 의류 용 직물로 사용되는 것 외에도 양모는 자수 및 기타 스레드 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다. 양모 직물은 담요, 커튼 및 실내 장식품에도 사용할 수 있다.

양모는 사람이 착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안장 패드, 담요 및 말과 낙타와 같은 일 하는 동물을 위한 기타 장비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말 담요 및 이와 유사한 액세서리를 양모로 만들어 서늘한 환경에서 추가적인 따뜻함과 단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가구용 스테핑은 양모로 만들 수 있으며 재활용 양모를 사용하여 단열재와 방음재를 만들 수 있다. 울의 다락방은 방음 분야에 이상적이다. 양모는 또한 카펫과 카펫 패딩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울 카펫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오래 지속되는 색상이며 울 카펫 패딩은 카펫에 단열재와 높이를 추가한다.

양모의 다른 용도로는 플로팅 우드 플로어와 같은 다른 유형의 바닥재 용 라이닝 패드가 있다. 양모 직물을 만든 다음 직물을 압축하고 함께 잡아당겨서 처리하는 펠트 양모는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양모 펠트의 사용에는 신발, 모자 및 방수 외피가 포함된다. 또한 피아노에서 해머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해 피아노에서 널리 사용되어 피아노를 하프시코드와 차별화하는 독특한 사운드를 만든다.

식탁보가 미끄러 할 수 있도록 펠트 된 양모 다른 용도 견인을 만드는 펠트 테이블 다리, 책장, 그렇지 않으면 나무 바닥을 도려내 수 있는 다른 가구, 테이블 보에 대한 패딩을 포함한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양모직물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