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병(PET Bottle)은 합성수지의 일종인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 병을 말한다. 페트병이라는 이 표현은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만 통용되는 한국어식 영어 또는 일본어식 영어이다. 페트병을 구성하는 소재인 PET는 영어권에서는 보통 피트 또는 피이티라고 읽는다.
페트병은 생수 등의 음료수를 마시고 덤으로 얻을 수 있다.
오렌지 주스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하는 과정이 있는 경우는 변형을 막기 위해 사전에 열처리를 하지만 탄산음료나 생수 같이 고온으로 가열할 일이 없는 경우는 열처리가 되어있지 않다고 한다. 열처리하지 않는 페트병에 55도 이상의 뜨거운 물을 부으면 하얗게 변하거나(백화현상) 찌그러지는 변형이 온다.
페트병과 관련하여 비스페놀 A, 프탈레이트 등 환경호르몬 용출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며, 페트병 생수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애초에 이들 물질이 원료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도 한다. 오랫동안 물을 담아두거나 높은 온도를 유지하거나 햇빛에 노출될 경우 포름알데히드, 안티모니 등이 극소량 발생하지만 안전한 수준이다.
막대한 양이 생산되는 일회용품이다보니 재활용할 방법이 많이 발명되고 있다. 깔대기, 화분, 보관함 등등.. 심지어 개발도상국에서는 500ml 페트병을 납작하게 한 다음 끈을 달아 신발로 사용하기도 한다.
네팔이나 아프리카에서는 하두 많이 버려서 페트병 가지고 오지 말라는 반발까지 있다. 버리는 상당수가 외국인 관광객이다.
페트병 바닥은 평평한 것과 요철의 두 종류가 있다. 요철이 있는 것은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는 탄산음료용으로 쓰인다. 과거에는 바닥을 반구(半球, semi-sphere)형으로 만들어 압력을 분산하는 대신 똑바로 세우기 위해 원통형의 바닥을 덧붙였으나, 재질이 달라서 재활용에 어려움이 생겨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바뀌었다. 즉, 요철을 주어 압력을 버티는 한편(골판지 내부나 슬레이트 지붕이 물결 모양인 것과 같은 원리) 똑바로 세울 수 있게 한 것이다.
제조과정[편집]
쌀알만 한 크기의 페트 칩(chip)을 녹여 투명한 시험관 모양의 프리폼(preform)을 만든다. 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병입구를 열처리한 후, 약 100℃로 미리 가열한 병 모양의 금형 속에 프리폼을 넣고 공기를 불어넣으면 페트병이 완성된다.
문제점[편집]
플라스틱 병 중의 하나인 페트병이 화재에 취약하다는 근거가 있으나, 화재의 주범이 되는 주요 원료인 볼록 렌즈가 주된 이유일 수 있어, 볼록 렌즈가 들어 있는 페트병은 나무, 종이 등 타기 쉬운 재질과 함께 둘 경우 화재 사고의 주된 이유일 수도 있다.
고래를 살해하는 주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에는 온통 사람들이 버린 페트병 천지인데 이걸 고래가 먹이인 줄 알고 먹게 되고 그러면 고래의 뱃속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남게 되는데 이게 점점 누적되면 고래는 뱃속에 먹이가 들어갈 공간이 없어져서 굶어죽어 버린다.
재활용[편집]
- 페트병은 세척 및 분쇄하여 섬유와 시트 등 다양한 품목으로 재활용이 된다. 특히 무색투명하며 이물질이 적게 함유될수록 고품질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무색 폐페트병은 재생섬유를 활용한 의류 원료로 이용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재생섬유의 원료가 되는 고품질 폐페트병 2만2000톤(연간)을 일본, 대만 등에서 수입해왔다.
- 나이키나 아디다스 같은 주요 의류 업체들이 이러한 재생원료 사용을 늘리고 있으며, 전 세계 재생섬유 시장이 확대되고 있어 무색 폐페트병의 분리배출이 중요해졌다. 우리가 무색 폐페트병을 잘 분리배출한다면 국내에서 배출되는 양으로도 충분히 대체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 버려지는 페트병으로 화장품, 합성섬유를 만든다. 국내 연구진이 버려지는 페트병으로 화장품, 손소독제, 합성섬유 원료물질로 바꾸는데 성공했다. 플라스틱을 다시 플라스틱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물질로 활용할 수 있게됐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2]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페트병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산업 : 산업,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건설,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 원소,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토지
|
|
소재
|
감광재 • 경화제 • 그래핀볼 • 그리스 • 금박 • 금속 • 금속재료 • 기름 • 나노소재 • 나프타 • 내화재 • 단열재 • 단일소재 • 도금 • 도전재 • 도체 • 동박 • 마감재 • 마찰재 • 막 • 매질 • 메타물질 • 무기재료 • 바닥재 • 박막 • 반도체 • 방부제 • 방음재 • 방진재 • 방청제 • 벽지 • 보강재 • 보온재 • 복합동박 • 복합소재 • 부도체 • 부산물 • 부식 • 부자재 • 불순물 • 살균제 • 소재 • 쇠붙이 • 수용액 • 시료 • 신소재 • 실리카젤(실리카겔) • 알루미늄 호일 • 에어로젤 • 엑소일렉트로겐 • 연마재 • 외장재 • 용매 • 용액 • 용융염 • 용질 • 원료 • 원소재 • 원자재 • 원재료 • 유기재료 • 유체 • 윤활유(윤활제) • 융해 • 은박 • 은박지 • 잉곳 • 자성체 • 자원 • 자재 • 재료 • 재질 • 전고체 • 전구체 • 절연체 • 접착제 • 접합재 • 접합제 • 제진재 • 주괴 • 중간재 • 증기 • 증착 • 차음재 • 천연소재 • 천연자원 • 천장재 • 철스크랩 • 첨가제 • 첨단소재 • 초전도체 • 촉매 • 컴파운드 • 코르크 • 코팅 • 쿠킹호일 • 탄소소재 • 탄소 에어로젤 • 페인트 • 포장재 • 폭발물 • 피복 • 피복재 • 호일(포일) • 흡음재
|
|
암석
|
각섬암(곱돌) • 간석기(마제석기) • 감람석 • 곡옥 • 골재 • 광물 • 광석 • 구리(동) • 규산염 • 규암(차돌) • 금 • 녹색편암 • 다이아몬드 • 대리석(대리암) • 돌 • 돌멩이 • 뗀석기(타제석기) • 루비 • 마그마 • 머드 • 모래 • 무쇠(주철) • 무연탄 • 바위 • 반려암 • 방해석 • 백금 • 백운암 • 벽돌 • 변성암 • 보석 • 비취 • 사암 • 사장석 • 사파이어 • 석고 • 석기 • 석영(수정, 쿼츠) • 석재 • 석탄 • 석회 • 석회암(석회석) • 섬록암 • 세라믹 • 셰일(혈암) • 쇠 • 수성암 • 스테인리스강 • 스피넬(첨정석) • 슬래그 • 시멘트 • 심성암 • 아메트린 • 아스콘 • 암석 • 암편 • 에메랄드 • 역암 • 역청탄 • 오석 • 오일셰일(함유셰일, 유혈암) • 오팔 • 옥 • 용암 • 운모 • 운석 • 원료탄 • 원석 • 유리 • 은 • 응회암 • 이암 • 이판암 • 인공 다이아몬드 • 인광석 • 자갈 • 자수정 • 잔석기 • 장석 • 점토(찰흙) • 점판암 • 정장석 • 조암광물 • 조흔색 • 종유석 • 준광물 • 지르콘 • 지하자원 • 진흙 • 천연암석 • 철광석 • 철기 • 철재 • 청금석 • 청동기 • 콘크리트 • 큐빅 • 토사 • 토파즈 • 퇴적암 • 편마암 • 편암 • 현무암 • 혼펠스 • 화강암 • 화산암 • 화성암 • 황철석 • 휘석 • 흑요석 • 흙 • 희토류
|
|
섬유
|
가죽 • 거위털(구스다운) • 거즈 • 고급가죽 • 고무줄 • 광목 • 광물섬유 • 광섬유 • 극세사 • 금속섬유 • 기모 • 깃털 • 끈 • 나노셀룰로스 • 나일론 • 나파가죽 • 낙타털 • 네오프렌 • 노르디코 • 누비 • 능직 • 다기능성 탄소나노튜브 섬유 • 다운 • 대마 • 데님 • 동물섬유 • 돼지가죽 • 라이오셀(리오셀) • 레이온(인견) • 리넨(린넨) • 마 • 마닐라삼 • 마닐라지 • 마분지 • 말가죽 • 메쉬 • 면 • 면직물 • 면화 • 명주 • 모 • 모다크릴 섬유 • 모달 • 모시 • 모직물 • 모피 • 목재 • 목화 • 무기섬유 • 무명 • 밍크털 • 반합성섬유 • 밧줄 • 방모 • 방모사 • 방모직물 • 방적 • 방직 • 방직섬유 • 뱀가죽 • 벨로아 • 벨벳 • 벨보아 • 보풀 • 부직포 • 붕소섬유 • 비건가죽 • 비단(실크) • 비스코스 • 삼베 • 새끼줄 • 석고보드 • 석면 • 석영섬유 • 섬유 • 세라믹섬유 • 셀룰로스 • 소가죽 • 소모 • 소모사 • 소모직물 • 솜 • 솜털 • 수자직(주자직) • 순모 • 슈퍼섬유 • 스웨이드(세무) • 스판덱스 • 시어서커 • 식물섬유 • 실 • 실리카섬유 • 아라미드 • 아세테이트 섬유 • 아크릴 섬유 • 악어가죽 • 알칸타라 • 암면 • 양가죽 • 양모 • 양모사 • 양모직물 • 오리털(덕다운) • 옷감 • 우레탄 • 울 • 원단 • 원모 • 원목 • 원사 • 유기섬유 • 유리섬유 • 인조가죽 • 잔털 • 재생섬유 • 종이 • 직물 • 짚 • 천 • 천연가죽 • 천연섬유 • 천연펄프 • 캐시미어 • 코듀로이(골덴) • 타조가죽 • 탄소섬유 • 탄화규소섬유 • 털 • 털실 • 텐셀 • 토끼털 • 패브리칸 • 펄프 • 평직 • 프로믹스 • 플라텍스 • 플란넬 • 플리스(폴라폴리스) • 피혁 • 합성섬유 • 합판 • 혼방 • 화학섬유(인조섬유)
|
|
수지 (플라스틱)
|
ABS • EVA • PVC • 고무 • 공중합체 • 라텍스 • 레진 • 모노머 • 목타르 • 바이오플라스틱 • 본드 • 부틸 • 부틸고무 • 부틸테이프 • 비닐 • 비닐기 • 비닐론(비날론) • 생고무 • 생분해성 플라스틱 • 송진 • 수액 • 수지 • 스티로폼 • 스펀지 • 시트 몰딩 컴파운드(SMC) • 실리콘 • 아스팔트 • 아크릴 • 에폭시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염화비닐 • 천연고무 • 천연수지 • 콜타르 • 타르 • 페놀수지 •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페트병 • 포지드 카본 • 폴리머(중합체) • 폴리비닐알코올 • 폴리실리콘 • 폴리아미드 필름 • 폴리아크릴 •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 폴리에스테르(폴리에스터) • 폴리에틸렌 • 폴리염화비닐 • 폴리염화비닐라이덴 • 폴리올레핀 • 폴리우레탄 •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프로필렌 • 플라스틱 • 필름 • 합성고무 • 합성수지 • 호박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
[접기]산업 : 산업,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 건설,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원소,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토지
|
|
바이오
|
BT • 그린바이오 • 레드바이오 • 바이오 • 바이오기업 • 바이오닉스 • 화이트바이오
|
|
바이오기술
|
DNA • RNA • 감염 • 감염병 • 게놈 • 균 • 기초의학 • 노화 • 노화시계 • 단백질 • 단일세포 • 돌연변이 • 동물세포공학 • 마이크로바이옴 • 면역 • 면역세포 • 모낭줄기세포 • 미생물 • 미세플라스틱 • 바이러스 • 바이오촉매 • 배아 • 배아줄기세포 • 비타민 • 생명 • 생명공학 • 생명공학기술 • 생명과학 • 생명체 • 생물 • 생물체 • 생물학 • 생체 • 생화학 • 성분 • 성장인자 • 성체 • 성체줄기세포 • 세균 • 세포 • 세포공학 • 세포배양 • 세포분열 • 세포융합 • 신경 • 신경세포 • 신약개발 • 암세포 • 약학 • 역노화 • 염색체 • 영양 • 예방접종 • 오가노이드 • 유기체 • 유도만능줄기세포 • 유전 • 유전공학 • 유전자 • 유전자가위 • 유전자편집 • 유전형질 • 의학 • 인공단백질 • 인공심장 • 인공장기 • 임상 • 임상시험 • 임상의학 • 장기 • 장기기증 • 장기배양 • 장기이식 • 제약 • 조직공학 • 줄기세포 • 지방 • 탄수화물 • 텔로미어 • 펩티드 • 합성생물학 • 항체 • 핵산 • 형질 • 환경호르몬 • 효모 • 효소
|
|
바이오산업
|
바이오경제 • 바이오공정 • 바이오기기 • 바이오 나노로봇 • 바이오농업 • 바이오 빅데이터 • 바이오산업 • 바이오서비스 • 바이오 서비스산업 • 바이오센서 • 바이오식품 • 바이오 식품산업 •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 에너지산업 • 바이오 의료기기 • 바이오 의료기기산업 • 바이오의약 • 바이오 의약산업 • 바이오자원 • 바이오 자원산업 • 바이오장비 • 바이오전자 • 바이오제품 • 바이오컴퓨터 • 바이오 헬스케어 • 바이오화학 • 바이오 화학산업 • 바이오환경 • 바이오 환경산업 • 보건의료산업 • 순환경제 • 플랫폼 바이오
|
|
바이오 자원과 제품
|
DNA칩 • EGF(상피세포 성장인자) • 거미줄 • 건강기능식품 • 내복약 • 농약 • 대체육 • 디지털 치료제 • 로션 • 린스(컨디셔너) • 립스틱 • 매니큐어 • 물파스 • 미백크림 • 바디로션 • 바디워시(샤워젤, 바디클렌저) • 바이오농약 • 바이오디젤 • 바이오매스 • 바이오메탄올 • 바이오부탄올 • 바이오비료 • 바이오소재 • 바이오에탄올 • 바이오연료 • 바이오오일 • 바이오칩 • 바이오콜라겐 • 바이오폴리머 • 바이오플라스틱 • 바이오항생제 • 바이오화장품 • 방검복 • 방탄복 • 배양 • 배양세포 • 배양액 • 배양육 • 백신 • 비누 • 사포닌 • 샴푸 • 세안제 • 스킨 • 신약 • 썬크림 • 아이크림 • 알약 • 암백신 • 약 • 약물 • 약제 • 약품 • 에센스 • 연고 • 영양제 • 외용약 • 유기산 • 의약품 • 인공거미줄 • 인공눈물 • 인슐린 • 정제 • 좌약 • 주사 • 주사기 • 주사약 • 주사제 • 줄기세포 배양액 • 천연추출물 • 추출물 • 치약 • 캡슐 • 콜라겐 • 크림 • 클렌징폼 • 탈모치료제 • 파우더 • 패치(파스) • 페트병 • 한약 • 항생제 • 핸드크림 • 향수 • 호르몬 • 호르몬제 • 화장품 • 히알루론산
|
|
한국 바이오 회사
|
GC녹십자 • HK이노엔 • JW중외제약 • SK바이오사이언스 • SK바이오팜 • 광동제약 • 대웅제약 • 대원제약 • 동국제약 • 동아쏘시오그룹 • 동아에스티 • 동아제약 • 동화약품 • 바이오스펙트럼㈜ • 보령 •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진제약 • 셀트리온 • 셀트리온제약 • 에스티팜 • 유한양행 • 일동제약 • 일양약품 • 제뉴원사이언스 • 제일약품 • 종근당 • 파마리서치 • 한국바이오협회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 한국휴텍스제약 • 한독 • 한미약품 • 휴온스
|
|
세계 바이오 회사
|
BMS • GSK • MSD • 노바티스 • 로슈 • 사노피 • 아스트라제네카 • 애브비 • 일루미나 •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티브 메디슨 • 화이자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