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호르몬(hormone)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내분비기관에서 생성되는 화학물질들을 통틀어 일컫는다. 신경전달물질과 본질적으로는 다르지 않지만 중추신경계를 주요이동경로로 하는 신경전달물질에 비해서 보다 광범위한 내분비기관에서 분비되어 혈액을 통해 넓은 범위에 비교적 오랜시간동안 작용하는 물질을 일컬어 호르몬이라 지칭한다. 이동시간에서도 차이가 있다. 여러 내분비기관에서 만들어진 호르몬은 혈관을 거쳐 신체의 여러 기관으로 운반되어 그곳에서 각각의 호르몬이 지닌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특히 물질대사와 생식, 그리고 세포의 증식에 호르몬이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에 다른 개체에 대하여 작용하는 페로몬의 개념도 호르몬에 포함되었다. 이외에도 식물호르몬, 화학적으로 합성된 호르몬도 총칭한다. 이론상으로 볼 때 모든 생물은 생식과 성장을 위한 호르몬을 필요로 하며 또한 이를 생산한다. 그러나 척추동물에게 특유한 호르몬으로는 갑상선 그리고 성호르몬(sex hormone)을 손꼽을 수 있다.
목차
개요[편집]
호르몬은 생체의 각종 샘(gland)에서 분비되어 순환계를 통해 이동되어 표적 장기로 수송되어 각종 생리현상과 행동까지도 조절할 수 있는 일련의 신호전달 분자를 말한다. 특히 신체의 생리적 기능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내분비샘에서 분비되어 표적장기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호르몬이라 하며 내분비계(endocrine system)의 중심적 요소가 된다. 호르몬이라는 용어는 동일 세포 신호전달(autocrine 혹은 intracrine signalling)에 영향을 미치거나 주변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paracrine signalling) 화합물 등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
호르몬의 역사[편집]
음식을 섭취하면 위에서 위산이 분비되어 음식과 섞이게 되고 이 상태로 소장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이자액이 분비되어 음식의 산성도를 낮춰 준다. 1900년대 초 생리학자 윌리엄 베일리스(William Bayliss, 1860-1924)와 어네스트 스탈링(Ernest Starling, 1866-1927)은 개를 이용하여 음식을 섭취했을 때 이자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물질이 무엇인지에 관해 연구했다. 이들은 선상세포(glandular cell)에서 만들어진 세크레틴(secretin)이라는 물질이 췌장에서 이자액을 분비하도록 신호를 보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스탈링은 이 선상분비물(glandular secretion)을 '호르몬'이라 명명하였고 이후 여러 연구자들이 수많은 호르몬과 이것들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여러 내분비기관들을 밝혀냈다.
구조와 종류[편집]
호르몬의 화학적 구조는 다양하나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s), 스테로이드(steroids), 아미노산/단백질 유래 호르몬(아민, 펩티드, 단백질) 등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아미노산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유래 호르몬(옥시토신, 글루카곤 등),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가 벤젠고리로 바뀐 아민계 호르몬(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등), 그리고 스테로이드계 호르몬(프로제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등) 은 서로 구조가 차이가 있다. 또한, 물에 잘 녹는 성질에 따라 수용성 호르몬과 지용성 호르몬(예: 스테로이드계 호르몬 등)으로 나뉘기도 한다. 이들 지용성 호르몬은 표적 장기로 이동시 지방과 단백질이 결합된 구조로서 운반된다.
분류[편집]
성분중심 분류[편집]
분비기관중심 분류[편집]
- 뇌하수체 호르몬: 샘자극호르몬(갑상선자극호르몬(TSH),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여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생장호르몬, 프로락틴, 엔돌핀, 엔케팔린
- 송과선 호르몬: 멜라토닌
- 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3,5,3'-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 부갑상선 호르몬: 파라토르몬
- 흉선 호르몬
- 부신 호르몬: 스테로이드 호르몬(코르티솔, 알도스테론, 안드로겐), 키테골아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 방절 호르몬
- 이자 호르몬: 랑게르한스섬호르몬(글루카곤, 인슐린, 소마토스타틴)
- 난소 호르몬: 에스트로겐
- 태반 호르몬: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 난포 호르몬
대상중심 분류[편집]
- 호르몬: 신체 내부를 대상
- 페로몬: 같은 종의 다른 개체를 대상
사용하는 생물계를 중심으로 분류[편집]
자연발생, 인공발생 중심 분류[편집]
- 호르몬
- 환경호르몬
작동원리[편집]
대부분의 호르몬은 세포 내 또는 막 단백질에 위치한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 반응을 유도한다. 한 세포가 같은 호르몬에 대한 여러 종류의 수용체를 가져 각각의 수용체마다 다른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다른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한 세포에서 다른 여러 종류의 호르몬들이 같은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시켜 같은 세포 반응을 유도하기도 한다.
단백질계 호르몬의 수용체는 세포 표면의 세포막에 위치해 있다. 호르몬과 수용체가 결합하면, 세포질 내에서 인산화반응, 또는 인산기의 분해가 일어나 고리모양 AMP와 같은 2차 신호 전달 물질들을 형성한다. 2차 신호 전달 물질은 이온 통로의 투과성을 변화시키거나 세포내 분자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세포 반응을 유도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나 갑상선 호르몬의 수용체는 표적 세포내의 세포질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호르몬들이 수용체와 결합하려면 반드시 세포막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 호르몬들은 지용성이기 때문에 인지질로 구성된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호르몬이 수용체와 결합하여 만든 호르몬-수용체 복합체는 핵막을 통과하여 세포핵속으로 들어가 특정 염기서열에 부착, 유전자를 발현시켜 원하는 단백질이 생체 내에서 합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어떤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수용체는 세포질이 아닌 세포막에 위치하기도 한다.
기능[편집]
호르몬은 기관과 조직 간 정보교환을 담당하며 다양한 생리적 현상과 행동을 조절한다. 신체는 스트레스나 수면 욕구 그리고 슬픔이나 기쁨 등의 감정을 조절할 때 호르몬 분비를 필요로 한다. 호르몬의 분비는 몸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르몬이 영향을 미치는 현상은 거의 모든 생명현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화, 대사, 호흡, 조직 기능, 감각 인지, 수면, 배설, 수유, 스트레스, 성장과 발달, 운동, 생식, 그리고 감정 등에도 모두 관여한다. 호르몬은 표적세포의 특이적 수용체에 결합하여 기능하기 때문에 세포 기능의 변화를 유발한다. 호르몬이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그리고 이러한 호르몬 반응은 세포 특이적 반응의 특성을 보이는 데, 빠른 비유전체성 효과(non-genomic effects)를 유발할 수도 있고 또 때로는 좀더 느린 유전체성 반응(genomic responses)을 나타낼 수 있다. 유전체성 반응은 호르몬에 의해 세포내 유전자 발현의 증가가 유도되어 결국 표적단백질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다. 아미노산-기반 호르몬(아민계와 펩티드 혹은 단백질 호르몬)들은 수용성 호르몬으로 표적세포의 표면에 위치한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 작용하여 세포내에서 이차 전령자를 포함한 신호전달과정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반면 스테로이드계 호르몬은 지용성으로 표적세포의 원형질막을 통과하여 세포질이나 핵내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한 후, 핵 내까지 도달함으로써 전사조절 등 각종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 상세
프로락틴, 성장 호르몬, 갑상샘 자극 호르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난포 자극 호르몬, 황체 자극 호르몬, 항이뇨 호르몬, 옥시토신이 뇌하수체에서 분비된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호르몬들은 다른 내분비계 기관들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호르몬 분비를 자극한다. 프로락틴은 여성에서 임신을 했을 때 유방에서 젖을 만들도록 도와주고 성적 욕구를 감소시킨다.
성장 호르몬은 몸의 성장을 촉진한다. 갑상샘 자극 호르몬은 갑상샘에서 갑상샘 호르몬을 만들도록 자극한다.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은 콩팥위샘(부신)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만들도록 자극한다. 난포 자극 호르몬과 황체 자극 호르몬은 남성에서는 정자의 형성을 자극하고 남성 호르몬을 만드는 데 관여한다. 여성의 경우에는 난자의 형성을 자극하고 여성 호르몬을 만드는 데 관여하며 정상적으로 생리를 하도록 한다. 항이뇨 호르몬은 몸 안에 수분이 부족할 때 신장에 작용하여 소변을 농축시키고 소변의 양을 감소시킨다. 옥시토신은 여성에서 자궁의 수축을 자극한다.
갑상샘 호르몬과 칼시토닌은 갑상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갑상샘 호르몬은 체온 유지와 신체 대사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칼시토닌은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낮추어주는 역할을 한다.
부갑상샘 호르몬은 부갑상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부갑상샘 호르몬은 뼈에 작용하여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고, 신장에 작용하여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하며 비타민 D의 합성을 도와준다. 결과적으로 부갑상샘 호르몬은 혈중 칼슘 농도를 증가시킨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당질코르티코이드), 남성 호르몬은 부신 겉질에서 분비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스트레스나 자극에 대한 우리 몸의 대사와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염류코르티코이드는 알도스테론이라고도 하며 혈압, 혈액량, 전해질 조절에 관여한다. 남성 호르몬은 이차 성징의 발현에 영향을 준다.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부신수질에서 분비된다. 이는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루카곤과 인슐린은 이자에서 분비된다. 이 두 호르몬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데, 글루카곤은 혈당의 높이고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남성 호르몬은 고환에서 분비되고 여성 호르몬은 난소에서 분비된다. 남성 호르몬은 남성 생식기의 발달과 이차성징의 발현에 관여한다. 여성 호르몬은 여성 생식기의 발달과 유방 발달과 같은 이차성징의 발현에 관여한다.
이처럼 호르몬은 신체의 성장과 발달, 대사 및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분비[편집]
호르몬은 내분비샘에서 분비되어 표적장기로 이동하여 해당 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 호르몬의 농도는 혈액 중에 일정한 양으로 조절되는데 이는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내분비샘은 몸의 여러 부위에 존재하는 데, 뇌 속에 있는 작은 기관인 뇌하수체, 목 부위의 갑상샘과 부갑상샘, 신장 위쪽에 위치하는 부신, 그리고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췌장과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을 분비하는 난소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을 분비하는 정소 등이 있다.
뇌의 일부인 뇌하수체는 몸 전체의 호르몬 분비를 총괄하는 기관이라 할 수 있다. 뇌하수체부터 분비되는 호르몬은 부신이나 갑상샘과 같이 다른 내분비샘의 세포를 활성화 할 수 있고(부신피질 자극호르몬, 갑상샘 자극 호르몬등), 체온과 생체 리듬, 배고픔, 수면 등 신체의 생리작용에 크게 기여한다(성장호르몬, 프로락틴, 항이뇨 호르몬, 옥시토신 등). 갑상샘 호르몬은 체온조절과 에너지대사에 관여하고 부갑상샘은 칼슘농도를 조절한다. 부신은 스트레스에 대응하거나 면역반응을 조절하며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조절하는 에피네프린 등을 분비한다. 췌장에서는 혈당을 낮추어주는 인슐린과 혈당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글루카곤을 분비한다. 그리고 여성의 난소에서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분비하고 남성의 정소에서는 남성호른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한다.
호르몬 분비는 많은 조직에서 일어나며 분비 세포는 주로 내분비샘 내에 존재하는 특정 세포인 경우가 많다. 또한 내분비샘 외에도 다양한 세포들에서 호르몬이 분비될 수 있다. 호르몬 분비는 또한 다양한 조절 자극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예를 들면 혈청의 칼슘 농도는 부갑상샘 호르몬 합성에 영향을 주며, 혈청 포도당 농도는 인슐린 합성에 영향을 준다. 소장은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위와 췌장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성 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 갑상샘 호르몬들은 종종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생식샘/갑상샘(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gonadal (HPG), -thyroid (HPT)) 축으로 이어지는 양성되먹임 장치에 의해 그 합성이 영향을 받는다.
신호전달[편집]
호르몬 신호전달은 다음의 경로로 일어난다.
- 특정 장기에서 특정 호르몬의 생합성
- 호르몬의 저장과 분비
- 호르몬의 표적 세포로의 이동
- 표적세포의 세포막 혹은 세포내 수용체 단백질의 인지
- 호르몬 신호의 전달을 통한 세포 반응의 유발. 표적세포의 반응은 다시 호르몬-생성 세포에 인지될 수 있는 연결고리가 있어서 종종 항상성 유지를 위한 음성되먹임 경로(negative feedback loop)로 이용된다.
- 호르몬의 파괴
- 세포막 수용체 결합에 의한 신호전달
수용성 호르몬은 세포내로 들어가지 못하지만, 세포막의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세포 안쪽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간세포에서 에피네프린의 작용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에피네프린이 베타-아드레날린(β-adrenergic) 수용체에 결합하면 GDP에 결합된 비활성상태의 단백질이 GTP 결합된 활성 단백질로 변형되고, 이는 이웃한 아데닐산고리화효소(adr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켜, ATP로부터 세포내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대표적 2차 전령자인 cyclic AMP (cAMP)의 합성을 촉진한다. 신호전달 매개자 cAMP는 여러 단백질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단백질 인산화효소 A (PKA)를 활성화시킨다 (오른쪽 그림).
- 세포질내 존재하는 수용체 결합에 의한 신호전달
스테로이드 혹은 갑상샘 호르몬과같은 지용성 호르몬의 경우 표적세포의 세포질 내에 호르몬 수용체가 있다. 이들 수용체는 리간드-활성 전사인자로도 알려진 핵수용체 가족군(nuclear receptor family)에 속한다. 세포질내 수용체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호르몬이 반드시 먼저 세포막을 관통하여 세포질로 들어가야 하므로 이들 호르몬은 지용성인 특성을 가진다. 호르몬과 수용체 복합체가 형성되면 핵막을 통과하여 유전자 프로모터 부위의 특정 DNA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특정 유전자군의 전사와 단백질 발현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스테로이드 수용체가 세포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세포막에도 존재한다.
호르몬 불균형[편집]
폭식이나 심한 다이어트, 무리한 운동은 우리 몸의 호르몬 불균형 상태를 초래할 수 있는데, 호르몬은 너무 많이 분비되거나 너무 적게 분비되는 경우, 그리고 호르몬 수용체 자체의 기능 손상등에 의해서 몸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대두된 것으로, 생활편이를 사용하는 음식을 담는 플라스틱 용기나 비닐 제품의 성분 중에는 호르몬과 구조가 유사한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섭취하는 경우 정상 호르몬의 작용을 교란하여 건강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중요한 인간호르몬[편집]
다음은 방출 호르몬을 그 주축으로 하는 주요 인간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들의 목록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종류 | 호르몬의 명칭 | 약자 | 분비되는 조직 | 분비되는 세포 | 기능 방법 | 기능 |
단백질 | 멜라토닌 | 송과선 | 송과체세포 | 산화방지, 졸리게 만듦 | ||
단백질 | 세로토닌 | 5-HT | 중추신경계통, 소화계통 | 장크롬친화세포 | 감정, 식욕, 잠 조절 | |
단백질 | 티록신 (갑상선 호르몬) | T4 | 갑상선 | 갑상선 상피 세포 | 직접 | 기초대사율 증진, 카테콜아민에 대한 민감성 증가, 단백질 합성에 영향 |
단백질 | 트리요오드티로닌 (갑상선호르몬) | T3 | 갑상선 | 갑상선 상피 세포 | 직접 | 기초대사율 증진, 카테콜아민에 대한 민감성 증가, 단백질 합성에 영향. 티록신보다 강력한 효과. |
단백질 |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 EPI | 부신 수질 | 크롬친화세포 | 싸움 혹은 도망 상황(Fight-or-flight response):
뇌와 근육에 산소 및 글루코오스 공급 촉진 (심장 박동수와 심박출량 증가, 혈관확장, 간에서 글리코겐 효소 분비 촉진, 지방 세포에서 지질 분해) 동공 확대 소화작용과 같이 비교적 급하지 않은 신체 반응을 억제 면역계 억제 | |
단백질 |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 | NRE | 부신 수질 | 크롬친화세포 | 싸움 혹은 도망 상황(Fight-or-flight response):
뇌와 근육에 산소 및 글루코오스 공급 촉진 (심장 박동수와 심박출량 증가, 혈관확장, 간에서 글리코겐 효소 분비 촉진, 지방 세포에서 지질 분해) 골격근 준비성 증가. | |
단백질 | 도파민 (프로락틴 억제 호르몬) | DPM, PIH, DA | 신장, 시상하부 | 신장의 크롬친화세포 | 심장 박동수 및 혈압 증가 뇌하수체전엽호르몬 중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과 프로락틴 분비 억제 | |
단백질 | 항뮐러리안호르몬 (뮐러리안 억제 호르몬) | AMH | 정소 | 세르톨리 세포 | 뇌하수체전엽호르몬 중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과 프로락틴 분비 억제 | |
단백질 | 아디포넥틴 | Acrp30 | 지방조직 | |||
단백질 | 부신피질자극호르몬 | ACTH | 뇌하수체 전엽 | 코르티코트로프성세포 | cAMP | 부신피질에서 코르티코이드(당질코르티코이드, 안드로겐) 합성 촉진 |
단백질 | 항이뇨호르몬 (바소프레신) | ADH | 뇌하수체 후엽 | 다양함 |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 촉진 혈관수축 뇌하수체 전엽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분비 촉진 | |
단백질 | 칼시토닌 | CT | 갑상선 | parafollicular cell | cAMP | 혈중 Ca2+농도 감소, 뼈에 칼슘 저장 |
단백질 | 콜레시스토키닌 | CCK | 십이지장 | 이자의 소화효소 방출 촉진 | ||
단백질 |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 CRH | 시상하부 | cAMP | 뇌하수체 전엽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분비 촉진 | |
단백질 | 여포자극호르몬 | FSH | 뇌하수체 전엽 | cAMP | 여성: 난소에서 그라프 여포가 성숙되도록 함. | |
단백질 | 가스트린 | GRP | 위, 십이지장 | G 세포 | 위벽세포에서 위산 분비 촉진 | |
단백질 | 그렐린 | 위 | P/D1 세포 | 식욕 촉진, | ||
단백질 | 글루카곤 | GCG | 이자 | 알파 세포 | cAMP | 간에서 글리코겐분해 및 포도당 신생합성을 해서 혈당을 높인다 |
단백질 |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 | GHRH | 시상하부 | IP3 | 뇌하수체 전엽에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 |
단백질 |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 hCG | 태반 | 합포체영양세포 | cAMP | 임신 초기 황체 유지 |
단백질 | 성장 호르몬 | GH, hGH | 뇌하수체 전엽 | 성장자극세포 | 성장 및 세포분열 촉진
간에서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 1) 분비 촉진 | |
단백질 | 인슐린 | INS | 이자 | 베타 세포 | 티로신 인산화효소 | 포도당 흡수, 글리코겐 합성, 간과 근육의 해당작용 촉진, 결과적으로 혈당량 감소 |
단백질 | 황체형성호르몬 | LH | 뇌하수체 전엽 | cAMP | 여성: 배란
남성: 라히디히 세포의 정자 세포 생산 촉진 | |
단백질 | 파라토르몬 | PTH | 부갑상선 | cAMP | 혈중 Ca2+농도 증가:
혈중 인농도 (다소) 감소: | |
단백질 | 프로락틴 | PRL | 뇌하수체 전엽, 자궁 | 젖샘의 모유생산 촉진 | ||
단백질 | 세크레틴 | SCT | 십이지장 | S 세포 | 간의 중탄산염 분비 촉진, 이자와 십이지장의 브루너 샘 콜레시스토키닌의 기능 강화 | |
단백질 | 갑상선자극호르몬 | TSH | 뇌하수체 전엽 | 갑상선 자극 세포 | cAMP | 티록신(T4)과 트리요오드티로닌(T3) 분비 촉진 |
단백질 | 갑상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 TRH | 시상하부 | IP3 |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주된 기능) 프로락틴 분비 촉진 | |
스테로이드 | 코티솔 | 부신 피질 | 직접 | 글루코오스 합성 촉진 근육과 지방 조직에서 포도당 흡수 유발 | ||
스테로이드 | 알도스테론 | 부신 피질 | 직접 | 신장에서 나트륨 재흡수 촉진 | ||
에이코사노이드 | 프로스타글란딘 | PG | 정낭 | |||
에이코사노이드 | 류코트린 | LT | 백혈구 | |||
단백질 | 프로락틴 방출 호르몬 | PRH | 시상하부 | 뇌하수체 전엽의 프로락틴 분비 촉진 | ||
단백질 | 리포트로핀 | PRH | 뇌하수체 전엽 | 부신피질자극세포 | 지방분해와 스테로이드 합성, 멜라닌 세포가 멜라닌을 생산하도록 자극 | |
단백질 | 히스타민 | 위 | ECL 세포 | 위산 분비 촉진 | ||
엔도텔린 | 위 | X 세포 | 위의 평활근 수축 |
관련 질병[편집]
- 뇌하수체 호르몬 : 고프로락틴혈증, 말단비대증, 중추성 갑상샘항진증, 쿠싱병, 중추성 요붕증, 뇌하수체기능저하증
- 갑상샘 호르몬 : 갑상샘기능항진증, 갑상샘기능저하증
- 부갑상샘 호르몬 :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 부신 호르몬 : 쿠싱병,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선천성 부신 증식증, 크롬친화세포종, 부신기능저하증
- 인슐린(이자(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 당뇨
- 생식샘(성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 성선기능저하증, 무월경, 불임
관련 검사[편집]
- 호르몬 검사 : 프로락틴, 성장 호르몬,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1), 갑상샘 자극 호르몬, 갑상샘 호르몬, 칼시토닌, 부갑상샘 호르몬, 부신겉질자극호르몬, 코티솔, 레닌, 알도스테론, 난포 자극 호르몬, 황체 자극 호르몬, 여성 호르몬, 남성 호르몬
- 24시간 소변 검사
- 인슐린에 의한 저혈당 유발 검사
- 수분제한검사
- 신속 부신겉질 호르몬 자극검사
- 경구당부하검사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