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푸(shampoo)는 머리를 감는 데 쓰이는 세제를 말한다.
샴푸는 두피나 모발에 거품을 내어 쌓인 먼지나 피지 등을 깨끗하게 씻어내는 역할을 하는 세정제이다. 누르다(press), 혹은 안마치료를 하다(massage)는 의미를 가진 힌두어에서 유래되었다. 초기의 샴푸(shampoo)는 비누와 시트러스(citrus) 추출물이었다. 드라이 샴푸(dry shampoo)란 기름기를 제거해 주는 가루를 말한다. 잘 헹궈내지 않으면 탈모나 비듬이 생길 수 있으므로 여러 번 헹궈내는 것이 좋다.[1] 샴푸는 두피나 모발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두피·모발에 생길 수 있는 병의 감염을 예방하며 모발에 윤기를 주는 동시에 두피의 혈행(血行)을 도와서 생리기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샴푸에는 물을 이용하는 웨트 샴푸(wet shampoo)와 물을 쓰지 않는 드라이 샴푸(dry shampoo)가 있다. 웨트 샴푸는 평상시 하는 방법으로, 비누나 샴푸제(劑)를 사용하여 물로 감는 일인데, 물의 온도는 38℃ 전후가 좋다. 두피나 모발이 건성이거나 상했을 때는 따뜻하게 데운 헤어 오일을 미리 두피에 문질러 바른 다음 샴푸를 한다. 이것을 오일 샴푸라고 한다. 샴푸제는 세정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나, 세정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머리카락의 기름기를 너무 빼앗아 좋지 않으므로 보통 조절제를 따로 첨가한다. 샴푸제로는 석유·세틸알코올을 원료로 한 중성세제와, 건조하거나 영양부족인 머리카락에 맞도록 라놀린 또는 난황의 성분 레시틴을 첨가한 세제, 식물유를 첨가한 세제, 살균작용이 있는 세제, 비듬제거용 세제, 유아용 세제 등이 있다.[2]
샴푸를 처음으로 만든 것은 이집트인들이었다. 그들은 시트러스 즙과 약간의 비누를 혼합한 것으로 머리를 감았다. 시트러스 즙의 주요 성분인 구연산은 피지를 분해하는 효과가 있어 머리카락과 두피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중세에는 비누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소다(sodium carbonate)나 산화칼륨(potassium carbonate)을 비누와 혼합, 정제하여 만든 헤어 제품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생성된 혼합물은 현대의 샴푸가 그렇듯이 상당한 양의 음이온 수산기를 가지고 있었다. 18세기 후반 영국의 살롱에서는 손님들을 위해 머리를 감겨주면서 마사지도 함께 해 주었다. 사람들은 이 서비스를 샴푸라고 불렀다. 샴푸라는 말은 마사지를 뜻하는 힌두어인데, 그 유래는 벵골인 사업가가 운영했던 브라이튼(Brighton)의 무함마드의 인도 증기탕(Mahomed’s Indian Vapour Baths)에서 손님들에게 서비스로 제공했던 치료효과가 있는 마사지, 즉 챰피(champi)이다. 19세기 후반에는 이렇게 마사지를 서비스 해 주는 살롱을 어디에서나 찾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자 미용사들은 자신만의 특별한 비법들을 개발했다. 주로 쟈스민과 백단향 나무 같이 향기가 있는 약용 식물을 대패질하듯이 얇게 깎은 다음, 비누를 넣어서 함께 끓인 물을 샴푸에 사용한 것이다. 19세기 말엽에는 독일의 화학자들이 비누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만든, 비누 찌꺼기를 남기지 않고 씻어내는 합성 계면 활성제, 즉 합성세제를 내놓았다. 제조사들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서야 부드럽고, 쉽게 닳지 않으면서, 동시에 상업적 효과를 극대화시킨 병에 포장된 머리카락 전용 세제를 내놓았다. 미국에서는 매사추세츠의 기업가 존 브렉(John Breck)이 대머리 치료에 관한 연구를 하다가 실패한 후, 1930년에 샴푸 사업을 시작했는데 이것이 최초였다. 그의 사업체는 한동안 미국 최고의 샴푸 제조사였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샴푸에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향이 목적이나 용도에 맞춰서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많은 회사들이 극단적인 곱슬머리용 오일처럼 다양한 특징을 가진 머리카락에 맞춘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샴푸의 주재료는 천연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3]
드라이샴푸[편집]
드라이샴푸는 물로 머리를 감지 않고도 간단히 샴푸를 할 수 있는 스프레이 제형의 샴푸이다. 드라이샴푸에 든 전분 가루가 머리카락의 유분을 흡착해 샴푸 효과를 내는데, 원래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우주선 탑승 등 특수한 상황에서 머리를 감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드라이샴푸를 잘못 사용하면 두피에 염증이나 탈모가 생길 수 있다. 드라이샴푸의 전분 가루가 모낭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모낭이 막히면 모낭 속에 생성된 피지가 나오지 못하고 안에 쌓여서 염증이 생긴다. 이로 인해 모발이 제대로 못 자라면 일시적으로 탈모가 올 수 있다. 드라이샴푸가 모낭을 막는 것을 방지하려면 두피에 가깝게 분사하지 말고 모발에서 15~30㎝ 간격을 두고 분사해야 한다. 분사 후에는 빗질로 전분가루를 잘 털어내야 잔여물이 두피에 남는 걸 막을 수 있다. 하지만 드라이샴푸를 두피에 닿지 않게 분사하는 것은 어렵다. 급할 때 보조적으로만 사용하고, 평소에는 물 샴푸를 쓰는 것이 좋다.[4]
카삼푸[편집]
카샴푸는 차량을 세차할 때 쓰는 자동차 전용 샴푸이다. 일반세제와 다른 점은 차량 도장면 보호 기능이 있다는 점이다. 물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기본 카샴푸, 뿌려서 바로 사용하는 카샴푸, 물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카샴푸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희석 방식의 카샴푸는 가장 기본적인 카샴푸이다. 주로 버킷에 물을 담고 카샴푸를 소량 희석하여 사용한다. 스프레이형 카샴푸는 거품 분사로 편리하고 빠르게 사용이 가능한 카샴푸이다. 버킷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여 간단한 셀프세차를 할 수 있다. 물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카샴푸는 세차장에 가지 않고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부분적으로 더러워졌을 때 셀프세차하기 편리하다.[5]
- 이동 ↑ 〈샴푸〉, 《네이버 지식백과》
- 이동 ↑ 〈샴푸〉, 《네이버 지식백과》
- 이동 ↑ 〈샴푸〉, 《네이버 지식백과》
- 이동 ↑ 김수진 기자, 〈물 없이 쓰는 드라이 샴푸… 두피에 닿으면 탈모 유발〉, 《헬스조선》, 2014-11-12
- 이동 ↑ 불스원, 〈카샴푸, 알고 쓰자! 카샴푸의 종류와 사용법〉, 《티스토리》, 2020-10-06
참고자료[편집]
- 〈샴푸〉, 《네이버 지식백과》
- 〈샴푸〉, 《네이버 지식백과》
- 〈샴푸〉, 《네이버 지식백과》
- 김수진 기자, 〈물 없이 쓰는 드라이 샴푸… 두피에 닿으면 탈모 유발〉, 《헬스조선》, 2014-11-12
- 불스원, 〈카샴푸, 알고 쓰자! 카샴푸의 종류와 사용법〉, 《티스토리》, 2020-10-06
같이 보기[편집]
 이 샴푸 문서는 바이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산업 : 산업,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 건설,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원소,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토지
|
|
바이오
|
BT • 그린바이오 • 레드바이오 • 바이오 • 바이오기업 • 바이오닉스 • 화이트바이오
|
|
바이오기술
|
DNA • RNA • 감염 • 감염병 • 게놈 • 균 • 기초의학 • 노화 • 노화시계 • 단백질 • 단일세포 • 돌연변이 • 동물세포공학 • 마이크로바이옴 • 면역 • 면역세포 • 모낭줄기세포 • 미생물 • 미세플라스틱 • 바이러스 • 바이오촉매 • 배아 • 배아줄기세포 • 비타민 • 생명 • 생명공학 • 생명공학기술 • 생명과학 • 생명체 • 생물 • 생물체 • 생물학 • 생체 • 생화학 • 성분 • 성장인자 • 성체 • 성체줄기세포 • 세균 • 세포 • 세포공학 • 세포배양 • 세포분열 • 세포융합 • 신경 • 신경세포 • 신약개발 • 암세포 • 약학 • 역노화 • 염색체 • 영양 • 예방접종 • 오가노이드 • 유기체 • 유도만능줄기세포 • 유전 • 유전공학 • 유전자 • 유전자가위 • 유전자편집 • 유전형질 • 의학 • 인공단백질 • 인공심장 • 인공장기 • 임상 • 임상시험 • 임상의학 • 장기 • 장기기증 • 장기배양 • 장기이식 • 제약 • 조직공학 • 줄기세포 • 지방 • 탄수화물 • 텔로미어 • 펩티드 • 합성생물학 • 항체 • 핵산 • 형질 • 환경호르몬 • 효모 • 효소
|
|
바이오산업
|
바이오경제 • 바이오공정 • 바이오기기 • 바이오 나노로봇 • 바이오농업 • 바이오 빅데이터 • 바이오산업 • 바이오서비스 • 바이오 서비스산업 • 바이오센서 • 바이오식품 • 바이오 식품산업 •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 에너지산업 • 바이오 의료기기 • 바이오 의료기기산업 • 바이오의약 • 바이오 의약산업 • 바이오자원 • 바이오 자원산업 • 바이오장비 • 바이오전자 • 바이오제품 • 바이오컴퓨터 • 바이오 헬스케어 • 바이오화학 • 바이오 화학산업 • 바이오환경 • 바이오 환경산업 • 보건의료산업 • 순환경제 • 플랫폼 바이오
|
|
바이오 자원과 제품
|
DNA칩 • EGF(상피세포 성장인자) • 거미줄 • 건강기능식품 • 내복약 • 농약 • 대체육 • 디지털 치료제 • 로션 • 린스(컨디셔너) • 립스틱 • 매니큐어 • 물파스 • 미백크림 • 바디로션 • 바디워시(샤워젤, 바디클렌저) • 바이오농약 • 바이오디젤 • 바이오매스 • 바이오메탄올 • 바이오부탄올 • 바이오비료 • 바이오소재 • 바이오에탄올 • 바이오연료 • 바이오오일 • 바이오칩 • 바이오콜라겐 • 바이오폴리머 • 바이오플라스틱 • 바이오항생제 • 바이오화장품 • 방검복 • 방탄복 • 배양 • 배양세포 • 배양액 • 배양육 • 백신 • 비누 • 사포닌 • 샴푸 • 세안제 • 스킨 • 신약 • 썬크림 • 아이크림 • 알약 • 암백신 • 약 • 약물 • 약제 • 약품 • 에센스 • 연고 • 영양제 • 외용약 • 유기산 • 의약품 • 인공거미줄 • 인공눈물 • 인슐린 • 정제 • 좌약 • 주사 • 주사기 • 주사약 • 주사제 • 줄기세포 배양액 • 천연추출물 • 추출물 • 치약 • 캡슐 • 콜라겐 • 크림 • 클렌징폼 • 탈모치료제 • 파우더 • 패치(파스) • 페트병 • 한약 • 항생제 • 핸드크림 • 향수 • 호르몬 • 호르몬제 • 화장품 • 히알루론산
|
|
한국 바이오 회사
|
GC녹십자 • HK이노엔 • JW중외제약 • SK바이오사이언스 • SK바이오팜 • 광동제약 • 대웅제약 • 대원제약 • 동국제약 • 동아쏘시오그룹 • 동아에스티 • 동아제약 • 동화약품 • 바이오스펙트럼㈜ • 보령 •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진제약 • 셀트리온 • 셀트리온제약 • 에스티팜 • 유한양행 • 일동제약 • 일양약품 • 제뉴원사이언스 • 제일약품 • 종근당 • 파마리서치 • 한국바이오협회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 한국휴텍스제약 • 한독 • 한미약품 • 휴온스
|
|
세계 바이오 회사
|
BMS • GSK • MSD • 노바티스 • 로슈 • 사노피 • 아스트라제네카 • 애브비 • 일루미나 •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티브 메디슨 • 화이자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
[접기]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세차
|
LSP • 걸레 • 고압수 • 고압호스 • 광택작업 • 광택제 • 그라임 • 그릿가드 • 글레이즈 • 기름때 • 꽃가루 • 낙진 • 녹 • 더트 • 드라이 • 드라잉 타월 • 디테일링 • 때 • 린스 • 막타월 • 먼지 • 묵은때 • 물기 • 물때 • 반자동세차 • 반자동세차장 • 발수 • 발수코팅 • 방수 • 배설물 • 버핑 • 버핑타월 • 보호막 • 본세차 • 분진 • 비누 • 비산먼지 • 샴푸 • 석회질 • 세정 • 세정력 • 세정액 • 세정제 • 세제 • 세차 • 세차기 • 세차장 • 세차타월 • 세척 • 세척액 • 셀프세차 • 셀프세차장 • 손세차 • 수건(타월) • 스노우폼 세차 • 스크래치(흡집, 기스) • 스팀세차 • 스프레이 • 실내 세정제 • 실내세차 • 실외세차 • 약제 • 양동이 • 얼룩 • 엔진룸 클리닝 • 엔진 세정제 • 연마기 • 연마재 • 오염물 • 왁스 • 왁스코팅 • 워시미트 • 워시패드 • 워터리스세차 • 워터스팟 • 유리세정 • 유리세정제 • 유막 • 유막제거 • 이물질 • 자국 • 자동세차(기계식 세차) • 자동세차장 • 잔기스 • 제거 • 진공청소기 • 찌든때 • 출장세차 • 카샴푸 • 코인세차장 • 코팅 • 코팅제 • 퀵디테일러 • 클레이바 • 클레잉 • 클리너 • 타이어 드레싱 • 타이어 세정제 • 투버킷 세차 • 트래픽필름 • 프리워시 • 합성세제 • 호스 • 휠클리너 • 흔적 • 흙먼지
|
|
자동차 수리
|
1급 공업사 • 2급 공업사 • 3급 공업사 • A/S • 감가 • 견적 • 견적서 • 결함 • 경미손상 • 고장 • 고품 • 공업사 • 공임 • 공장 • 교체 • 교환 • 교환수리 • 구조변경 • 긁힘 • 꺾임 • 냉각수 • 누유 • 누출 • 도색 • 도장 • 땜질 • 리스토어 • 리콜 • 멀티미터 • 무상수리 • 문콕 • 미션오일 • 보증수리 • 복구 • 복원 • 복원수리 • 부동액 • 부품교체 • 불량품 • 붓펜 • 브레이크오일 • 브레이크패드 • 블루핸즈 • 비순정부품 • 사고차 • 색상손상 • 서비스센터 • 소모품 • 손질 • 수리 • 수리비 • 수리점 • 수리차 • 수선 • 수선비 • 순정부품 • 스월마크 • 스토퍼 • 스톤칩(돌빵) • 실런트 • 에어컨필터 • 엔진수리 • 엔진오일 • 엔진작업 • 용품 • 워셔액 • 유상수리 • 인플레이터 • 자동차 붓펜 • 자동차 수리 • 자동차 수리점 • 자동차 점검 • 자동차 정비 • 자동차 정비사 • 자동차 정비소 • 적정량 • 점검 • 점검비 • 정기점검 • 정비 • 정비료 • 정비소 • 정품 • 종합정비 • 중고 • 중고품 • 짝퉁 • 찍힘 • 침수 • 침수차 • 카센터 • 컴파운드(흠집제거제) • 케미컬(화학제품) • 코팅손상 • 타이어 • 타이어 교체 • 타이어 펑크 • 튜닝 • 틈새 • 파워스티어링오일 • 판금 • 패임 • 페인트 클렌저 • 폐타이어 • 품질인증부품
|
|
자동차 관리
|
아이오닉 디 유니크 프로그램 • 자동차 관련 서비스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