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급 공업사
3급 공업사 또는 3급 정비소는 옛 3급 자동차 정비소를 말한다. 현재 자동차전문정비업으로 불린다.
개요[편집]
3급 공업사는 옛 3급 자동차 정비소로 카센터, 부분 정비소, 경정비 업소라 하면 대부분 이쪽을 뜻한다. 법적 요구 면적은 해당 지역 인구가 50만 이상이면 70㎡, 그 외엔 100㎡ 이상. 승용차, 소형 이하 승합차, 화물차 등의 정비, 부품 교체, 점검, 수리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엔진 정비, ABS, 판금 등의 굵직굵직한 정비는 불가능하다. 사장(또는 기능공)의 내공에 따라 정비 범위와 수준 차이가 아주 크다. 엔진 오일이나 기본적인 소모품 교환 정도의 정비 업무만 가능한 업소가 있는 반면, 3급 정비소가 할 수 있는 정비를 모두 제대로 해내는 곳도 있다. 자동차 관련 유명 유튜버인 이승현씨, 카앤맨의 정비소도 3급 공업사(3급 정비소)이다. 3급 공업사에서 수리가 불가한 경우 2급 공업사, 2급 공업사에서 수리가 불가한 경우 1급 공업사로 옮겨져 수리가 진행된다.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분들 종종 운행하다 보면 점검을 받아야 할 때나 사고나 약간의 기스 등 수리가 필요할 때 카센터나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를 방문한다. 특히 오랫동안 운전을 해왔다고 하더라도 1급이나 2급 3급의 등급에 대해서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 등급이 나누어지는지 모르시는 사람들이 많다. 과거에는 1급 공업사, 2급 공업사 3급 공업사로 나누어 사용하던 명칭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자동차관리법시행규칙 제12조에 따라 개정되어 명칭이 자동차 종합정비업, 소형 자동차 종합정비업, 자동차 전문정비업, 원동기 전문정비업으로 변경되어 구분한다. 이로 인해 자동차 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자동차 정비업의 작업 범위에 따라 작업 범위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수리할 수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2급 공업사는(소형자동차정비업) 법적 요구 면적은 400㎡ 이상으로 승용차, 소형 이하 승합차, 화물차 등의 정비, 부품 교체, 점검, 수리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2급은 버스와 대형 화물차를 다루지 못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1급 공업사와 작업 영역에서 차이가 없다. 즉, 2급 공업사(소형 자동차 정비소)는 승용차, 소형 이하의 승합차 및 화물차에 대하여 차량 정비나, 부품 교체, 점검, 수리, 엔진·미션 수리, 판금, 도색이 가능하다. 작업장 면적이 121평(400㎡) 이상의 규모에 맞는 시설과 장비가 갖추어진 곳으로 자동차 정비 산업기사 자격증을 보유한 1명 이상의 책임자와 자동차 정비 기능사 3명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1급 공업사(자동차 종합 정비소)로 알려진 곳은 대부분 프랜차이즈 정비소들로 지나가며 한 번씩 들어봤을 법한 메이저 자동차 종합 정비소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급 공업사는 현재 법적 요구 면적은 1000㎡ 이상으로 건설기계를 제외한 모든 차량의 정비, 부품 교체, 점검, 수리가 가능하다. 자동차 공업사의 등급 차이는 쉽게 규모에 따라 다르다고 볼 수 있다. 3등급은 부분 정비, 2등급은 소형정비, 1등급은 종합정비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장비나 시설의 규모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명 카센터라고 불리는 칭호를 사용하며 운영하시는 분들은 모든 자동차의 소모품이나 교환, 부분 정비만 가능한 3급 공업사 또는 자동차 전문 정비소(3급 자동차 공업사)이다. 규모가 크지 않다면 판금이나 도색 작업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3급 공업사(자동차 전문 정비소)는 승용차, 소형 이하의 승합차 및 화물차에 대하여 정비, 부품 교체, 점검, 수리만 가능하다. 하지만, 판금, 도색, 전조등교환, 엔진 볼링, 자동차 장치 교환 작업 제외한다. 3급 공업사작업장 면적이 15평(50㎡) 이상의 규모에 맞는 시설과 장비가 갖추어진 곳으로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을 갖춘 정비 책임자 1명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원동기전문정비업(원동기 전문 정비소)는 모든 종류의 자동차 엔진에 대한 재생 정비 및 튜닝이 가능한 곳이다. 작업장 면적이 90.75평(300㎡) 이상의 규모에 맞는 시설과 장비가 갖추어진 곳으로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을 갖춘 정비 책임자 1명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건설기계정비업(건설기계 정비소)는 일반 정비업과 달리 건설기계(크레인 등)를 전문적으로 수리하는 곳이다. 종합, 부분, 전문으로 구분되며 규모에 따라서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또는 건설기계정비 기능사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공통분모가 일정부분 있기에 위의 정비업자가 이걸로 전직하는 경우도 있다. 즉, 자동차종합정비업과 건설기계종합정비업은 두 분야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면 겸업도 가능하다. 규모에 따라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나 건설기계정비기능사를 일정 인원 이상 고용하여야 한다. 찌그러지고 뭉개진 자동차의 원상 복원이 필요하다면 1급 혹은 2급 자동차 정비소에 방문하시는 것이며 엔진 오일 및 자동차 소모품 교체 및 보충이 필요하다면 가까운 카센터를 포함하여 정비소에 방문하셔도 무방하다. 범퍼와 후드 파손, 판금/도색이 필요할 경우 일반 승용차의 엔진/미션 수리, 판금, 도색이 가능한 2급 공업사(소형자동차정비업)를 찾아야 한다. 물론 1급 공업사를 가도 해결이 가능하지만, 직영 사업소를 갈 정도의 큰 사고가 아니고 시간과 비용을 고려한다면, 주변의 믿을만한 2급 공업사를 찾아야 한다.
자동차 공업사(자동차 정비소)를 방문하여 사용되는 간단한 용어는 다음과 같다.
- 판금 : 외장의 찌그러짐 혹은 파손 등을 취급하는 분야이다. 구겨진 금속을 피는 작업, 파손 부위를 갈아낸 후 용접으로 이어 붙이는 작업이다.
- 도색 : 벗겨진 부분 및 판금 처리가 끝나고 외적으로 페인트를 칠하는 도색 작업이다.
- 정비 : 각종 오일류, 필터, 배터리류 등의 소모품을 교체하는 작업이다.
- 검사 : 검사 장비를 이용해 제동력, 속도계, 전조등검사, 매연 수치 확인 등을 진행하는 작업이다.[1][2][3][4]
3급 공업사의 특징[편집]
현행 자동차관리법 시행령에서 정의하는 자동차 정비소는 총 4개 등급으로 나뉜다. 과거에 1급, 2급, 3급으로 분류되었다가 명칭이 아래와 같이 바뀌었지만, 바뀐 명칭이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현업 종사자들도 여전히 그냥 1급, 2급, 카센터 이렇게 부른다. 각 정비소마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증(또는 자동차정비기능사+3년 이상 경력)을 가진 이가 1명 이상 있어야 하며 규모가 작을수록 대개 이들이 사장을 겸한다. 정비소의 분류는 주로 규모에 따른 것이므로 꼭 실력과 정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규모가 큰 1급 공업사라 해도 숙련된 정비사가 아닌 신참이 작업을 맡게 될 수도 있고 3급 카센터라 해도 정비 쪽에서는 최고로 쳐주는 차량기술사가 직접 운영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자동차전문정비업소는 흔히 말하는 '카센터'로 소형자동차에 해당하는 차량을 정비하되, 엔진오일 등 간단한 소모품 교체와 같은 기본 정비만 할 수 있다. 따라서 판금, 도색, 전조등 교환, 엔진보링 작업을 위해서는 소형자동차정비업소 이상의 정비소를 방문해야만 한다. 또한 법적 조건도 면적 100㎡이상(해당 지역 인구가 50만 명 이상이면 70㎡ 이상)으로 가장 규모가 작다.[4][5]
공업사, 카센터와 자동차 서비스 센터의 차이[편집]
카센터는 3급 공업사로 경정비업소이다. 경정비라 하면, 엔진오일교환, 타이어 교환, 브레이크 패드 교환 등의 소모품 교체가 주업이며, 하체 전기 새시 엔진 등의 정비는 하지 못한다. 공업사는 예전에는 2급과 1급으로 나뉜다. 2급은 판금 도색 검사 등을 제외하고 다하는 약간의 소규모 업체이다. 1급은 모든 정비 가능하며 현재는, 자동차 종합 정비업, 소형자동차 정비업, 자동차부분정비업, 원동기 전문정비업으로 구분된다.
- 자동차종합정비업
- 소형자동차정비업(판금/도색은 주로 소형차 위주)
- 자동차전문정비업(3급 공업사 = 카센터, 경정비소)
분류명 기준 정비 차량 정비 내용 자동차종합정비업 편의상 1급 공업사 303평 이상 건설기계 제외한 모든 차량 정비, 부품교체, 점검, 수리, 판금, 도색, 엔진&미션 수리 소형자동차정비업 편의상 2급 공업사 121평 이상 승용차, 소형 이하 승합차, 화물차 정비, 부품교체, 점검, 수리, 판금, 도색, 엔진&미션 수리 자동차전문정비업 편의상 3급 공업사 15평 이상 승용차, 소형 이하 승합차, 화물차 정비, 부품교체, 점검, 수리 원동기전문정비업 90평 이상 엔진의 재생정비 및 구조 변경, 보링업체
- 자동차서비스 센터
- 완성차 브랜드들이 직접 운영하는 자동차 정비소.
- 주로 예약제로 운영.
- 자동차 구매후 일정기간 무상수리보증기간이 있기에 그 기간에 많이 이용.
- 장점
- 제조사가 직접 또는 대리 형태로 운영하다보니, 공업사나 카센터(경정비센터)보다 문제를 처리하는 프로세스가 상당히 체계적
- 정기적으로 무상점검 서비스 받을 수 있음.
- 수리 받았는데, 문제 생겼다. -> AS도 가능.
- 단점
- 오래 기다려야함.
- 금액이 조금 비쌈.[6]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모터맨, 〈자동차 공업사, 1급? 2급? 3급? 정비소에는 등급이 있다〉, 《네이버 블로그》, 2018-09-24
- ↑ 〈1급 공업사란?〉, 《공장장닷컴》
- ↑ 카롱이, 〈카센터, 어디로 가야할까? 상황에 맞는 정비소 찾는법〉, 《티스토리》, 2019-08-16
- ↑ 4.0 4.1 〈자동차 정비소〉, 《나무위키》
- ↑ 〈정비소에도 급이 있다? 다양한 자동차 정비소 종류〉, 《불스원》, 2021-03-05
- ↑ 핍립의 만물가게, 〈공업사와 카센터, 그리고 자동차 서비스 센터의 차이〉, 《티스토리》, 2020-01-14
참고자료[편집]
- 〈자동차 정비소〉, 《나무위키》
- 〈1급 공업사란?〉, 《공장장닷컴》
- 〈정비/수리 절차〉, 《공장장닷컴》
- 〈정비소에도 급이 있다? 다양한 자동차 정비소 종류〉, 《불스원》, 2021-03-05
- 모터맨, 〈자동차 공업사, 1급? 2급? 3급? 정비소에는 등급이 있다〉, 《네이버 블로그》, 2018-09-24
- 카롱이, 〈카센터, 어디로 가야할까? 상황에 맞는 정비소 찾는법〉, 《티스토리》, 2019-08-16
- 핍립의 만물가게, 〈공업사와 카센터, 그리고 자동차 서비스 센터의 차이〉, 《티스토리》, 2020-01-14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