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점
수리점(修理店) 또는 수리소(修理所)는 건물이나 물건 따위의 고장나거나 허름한 데를 손보아 고치는 가게를 말한다.
개요[편집]
수리점은 수리소와 같은 의미로 헐거나 고장 난 물건을 고쳐 주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곳을 말한다. 전자제품의 경우 과거에는 개인이 운영하는 사설 수리점도 많았으나, 점차 기계가 복잡해지면서 요즘은 해당 기계를 만든 회사에서 운영하는 곳이 많다. 현재는 AS 센터, 서비스 센터 식으로 부르기도 한다.[1]
수리[편집]
수리(修理)는 고장 나거나 허름한 데를 손보아 고침을 의미한다. 수리는 고장 나거나 허름한 곳을 고치는 행위를 가리킨다. 즉, 고장 나거나 허름한 데를 손보아 고친다는 뜻이다. 어느 정도 개조가 가해지는 것은 개수(改修)라고 한다. 수리의 가장 기본은 파손된 부품을 버리고 새 걸로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에서 강화라고 부품을 갈아 끼우는 건 수리의 일종이다. 신품 100%의 성능으로 돌아가기 위해선 이 방법이 유일하며 나머지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때문에 수리부품을 죄다 긁어모아 조립하면 무기가 나온다고 하기도 하며 반대로 멀쩡하거나 고장난 무기를 분해하여 다른 무기에 수리용으로 쓰는 일도 흔하다. 흔히 수리라고 하면 떠오르는 용접으로 무언가를 고치는 장면은 장갑판이나 부품을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땜빵에 불과하며 덕트 테이프질과 다를게 없다.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자기기(스마트폰 등)는 법적으로 제조사에서 일정 기간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정해져 있으며, 부품 보유의 의무 또한 주어진다.[2][3]
수리는 고장난 장치 등을 수리하는 것을 의미로 작동 중인 컴퓨터 시스템에는 어떤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어떤 결함을 본래의 요건에는 만족하지 못하지만, 기능상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상태까지 복구시키는 작업이다. 이는 결함 또는 고장이 발생한 장비나 수리 부속품을 검사, 교환, 조정, 용접 및 판금, 기타 필요한 작업을 통하여 사용 가능 상태로 복귀시키는 행위이다. 일반적으로 고장난 장치나 회로는 즉시 수리, 교환하여 고장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회복(recovery)을 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처리를 계속할 수 없다. 보통 이 고장은 진단 프로그램 등에 의해 먼저 검지되어 고장 장소가 명확하게 된다. 그 상태에 따라서 취해야 하는 적절한 수단이 준비되어 있다.[4][5]
자가 수리[편집]
고장난 제품을 제조사 공인 A/S센터에 가져가지 않고 스스로 고치는 것을 자가 수리라고 하며, iFixit이라는 유명한 커뮤니티도 존재한다. 해당 커뮤니티에는 여러 전자기기의 수리 가이드가 올라와 있으니 자가 수리를 도전하는 사람이라면 참고하는 것이 좋다. 전자기기는 정밀화, 경량화 등의 이유로 고치기 어렵게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폰의 경우 방수기능이 탑재되며 나사 대신 엄청난 양의 접착제가 사용되기 시작하여 분해가 힘들어졌고, 에어팟을 비롯한 무선 이어폰의 경우 배터리와 같은 소모품의 교체조차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장을 일으키면 제품 전체를 교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새로 사는 것이 고치는 것보다 싸게 먹히는 경우가 많아지며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하지만 자가 수리를 막으려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애플은 iPhone 6에서 홈 버튼이 바뀌면 Touch ID가 작동하지 않도록 조치한 바 있으며, 2018년엔 iMac에 사설 부품을 장착할 경우 동작을 막는 'T2 칩'을 탑재하며 또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iPhone XS, iPhone XR은 다른 배터리로 바꾸면 동작은 되지만 배터리 상태가 제대로 표기되지 않는데, 배터리 문제가 아니라 단순히 애플이 막아놓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미국에서는 전자제품을 고칠 권리(Electronics right to repair)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논란이 심해진 탓인지 애플은 사설 수리업체에도 정품 부품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리 교육을 실시하겠다는 기존과는 정반대의 정책을 발표해 사람들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사설 수리업체가 정품 수리를 하기 위한 굉장히 절차가 복잡한데 미리 물량을 보관해둘 수도 없어서 고객이 수리를 요청할 때마다 일일이 부품을 오더해야 하기 때문에 1~2주씩 기다려야 하는 건 기본, 수리도 충전 이슈나 오디오, 맥북 등의 수리는 불가능한데다 오로지 아이폰 스크린이나 배터리 수리 정도만 가능하고 여전히 비싼 가격까지 사실상 애플이 Right to Repair 운동을 방해하기 위한 사설 수리업체와 협력하기도 했다는 변명할 구실 거리를 만들기 위한 보여주기식 프로그램일 뿐이다.[3]
자동차 수리점[편집]
3급 공업사 또는 3급 정비소인 옛 3급 자동차 정비소를 말한다. 현재 자동차전문정비업으로 불린다. 3급 공업사는 자동차 수리점(수리소)이자 옛 3급 자동차 정비소로 카센터, 부분 정비소, 경정비 업소라 하면 대부분 이쪽을 뜻한다. 법적 요구 면적은 해당 지역 인구가 50만 이상이면 70㎡, 그 외엔 100㎡ 이상. 승용차, 소형 이하 승합차, 화물차 등의 정비, 부품 교체, 점검, 수리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엔진 정비, ABS, 판금 등의 굵직굵직한 정비는 불가능하다. 사장(또는 기능공)의 내공에 따라 정비 범위와 수준 차이가 아주 크다. 엔진 오일이나 기본적인 소모품 교환 정도의 정비 업무만 가능한 업소가 있는 반면, 3급 정비소가 할 수 있는 정비를 모두 제대로 해내는 곳도 있다. 자동차 관련 유명 유튜버인 이승현씨, 카앤맨의 정비소도 3급 공업사(3급 정비소)이다. 3급 공업사에서 수리가 불가한 경우 2급 공업사, 2급 공업사에서 수리가 불가한 경우 1급 공업사로 옮겨져 수리가 진행된다.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분들 종종 운행하다 보면 점검을 받아야 할 때나 사고나 약간의 기스 등 수리가 필요할 때 카센터나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를 방문한다. 특히 오랫동안 운전을 해왔다고 하더라도 1급이나 2급 3급의 등급에 대해서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 등급이 나누어지는지 모르시는 사람들이 많다. 과거에는 1급 공업사, 2급 공업사 3급 공업사로 나누어 사용하던 명칭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자동차관리법시행규칙 제12조에 따라 개정되어 명칭이 자동차 종합정비업, 소형 자동차 종합정비업, 자동차 전문정비업, 원동기 전문정비업으로 변경되어 구분한다. 이로 인해 자동차 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자동차 정비업의 작업 범위에 따라 작업 범위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수리할 수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3급 공업사의 특징[편집]
현행 자동차관리법 시행령에서 정의하는 자동차 정비소는 총 4개 등급으로 나뉜다. 과거에 1급, 2급, 3급으로 분류되었다가 명칭이 아래와 같이 바뀌었지만, 바뀐 명칭이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현업 종사자들도 여전히 그냥 1급, 2급, 카센터 이렇게 부른다. 각 정비소마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증(또는 자동차정비기능사+3년 이상 경력)을 가진 이가 1명 이상 있어야 하며 규모가 작을수록 대개 이들이 사장을 겸한다. 정비소의 분류는 주로 규모에 따른 것이므로 꼭 실력과 정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규모가 큰 1급 공업사라 해도 숙련된 정비사가 아닌 신참이 작업을 맡게 될 수도 있고 3급 카센터라 해도 정비 쪽에서는 최고로 쳐주는 차량기술사가 직접 운영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자동차전문정비업소는 흔히 말하는 '카센터'로 소형자동차에 해당하는 차량을 정비하되, 엔진오일 등 간단한 소모품 교체와 같은 기본 정비만 할 수 있다. 따라서 판금, 도색, 전조등 교환, 엔진보링 작업을 위해서는 소형자동차정비업소 이상의 정비소를 방문해야만 한다. 또한 법적 조건도 면적 100㎡이상(해당 지역 인구가 50만 명 이상이면 70㎡ 이상)으로 가장 규모가 작다.[6][7][8]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수리소〉, 《나무위키》
- 〈수리점〉, 《네이버 국어사전》
- 〈수리소〉, 《네이버 국어사전》
- 〈수리〉, 《나무위키》
- 〈자동차 정비소〉, 《나무위키》
- 〈수리〉, 《위키백과》
- 〈수리〉, 《용어해설》
- 〈수리〉, 《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
- 〈정비소에도 급이 있다? 다양한 자동차 정비소 종류〉, 《불스원》, 2021-03-05
- 모터맨, 〈자동차 공업사, 1급? 2급? 3급? 정비소에는 등급이 있다〉, 《네이버 블로그》, 2018-09-24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