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MSD는 1981년에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제약회사이다. 정식명칭은 Merck Sharp & Dohme Corp. 이름이 국가별로 달라서 조금 복잡하다.
미국 및 캐나다 내에서는 머크 앤드 컴퍼니(Merck & Co., Inc., NYSE: MRK)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과거 모 회사인 독일 머크는 메르크 가문이 13대째 소유하고 있다. 머크사 지분의 70%는 메르크 가문이 소유한 E. 머크사(E. Merck)가 가지고 있다. 나머지 30%는 개인 투자자와 보험사나 투자회사 같은 기관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다.
역사[편집]
1668년 독일 담스타트에서 프리드리히 야콥 메르크가 약국을 설립했다. 그 후 메르크의 후손들은 담스타트에서 대대로 약국을 했으며, 1827년 집안 사람 중 하나인 하인리히 엠마누엘 메르크가 약국을 키워 대규모 생산설비를 갖춘 제약·화학 회사로 발전시켜 오늘날까지 독일에 기반을 둔 머크 그룹으로 이어지고 있다. 19세기 후반 미국에 자회사를 세웠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으로 독일계 회사인 미국의 자회사는 재산을 미국 정부에 몰수당했다. 1917년, 미국 국적의 메르크 가문 사람인 조지 W. 머크가 몰수당했던 재산을 환수받아 독일의 머크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여 현재에 이른다.
대한민국에는 1982년에 중외제약(현 JW중외제약) 등과 기술제휴를 맺다가 1994년 현지법인 한국MSD를 설립하여 진출하였다.
한편 머크는 2009년 3월, 쉐링푸라우를 411억 달러(약 53조원)에 인수, 몸집을 불렸다.
명칭[편집]
독일의 머크도 계속 존속하고 있기 때문에 독일 머크와 미국 머크는 협약을 통해 양사의 이름을 미국·캐나다와 그 외의 국가들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했다. 미국 머크는 미국과 캐나다 이외의 지역에서는 머크 샤프 앤드 돔(Merck Sharp & Dohme) 또는 MSD라는 명칭을 쓰고 있으며, 독일 머크는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EMD 케미컬스(EMD Chemicals)라는 이름을 쓴다.
제품[편집]
- 로타텍(Rotateq)
유아가 쉽게 감염을 일으키는 로타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백신이다.
- 키트루다(Keytruda)
3세대 면역항암제로 암세포가 인체의 면역세포의 공격을 회피하는 단백질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진다. 최초의 면역관문 억제제는 아니지만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매출과 적응증을 가지고 있다. 비소세포페암 등 일부 암종에서는 1차 치료제로 사용시 기존 전이성 암에서는 꿈도 꾸지 못할 20%에 육박하는 상대생존율을 대규모 임상을 통해 입증하기도 했다. 그러나 꿈의 항암제라는 일반 대중의 인식과 달리 대부분의 암종에서는 단독으로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며, MSD 역시 이 사실을 잘 알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1,000건이 넘는 병용임상을 진행 중이다.[1] 한국에서도 일부 제약사가 MSD의 스폰으로 키트루다 약물을 후원받아 병용임상을 시행하기도 한다. 2019년 매출 110억 달러. 몇 년 안에 전세계 최고 매출을 올리는 약물의 자리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 자누비아/자누메트(Janubia/Janumet)
세계 최초의 DPP-4 억제제 계열의 당뇨 치료제이다. 2019년 기준 55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 가다실(Gardasil)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백신이다. 19년 기준 매출 37억 달러.
- 프로쿼드(ProQuad)/M-M-R II/바리박스(Varivax)
각각 MMRV(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수두),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그리고 수두를 예방하는 소아백신이다. 19년 기준 매출 22억 달러.
- 브리디온(Bridion)
전신마취를 할 때 쓰이는 근이완제를 풀어주는 길항제이다.참고 19년 매출 11억 달러.
- 이센트레스(Isentress)
에이즈 치료제, 항바이러스제이다. 19년 매출 9억 7천만 달러.
- 프로디악스 23(Prodiax 23)
폐렴구균 백신이다. 출시 전 뉴모백스 23(Pneumovax 23)는, 19년 매출 9억 2천만 달러.
- 누바링(Nuvaring)
피임기구. 질내고리 문서 참고. 19년 매출 8억 7천만 달러.
- 제티아/바이토린(Zetia/Vytorin)
고지혈증 치료제. 19년 매출 8억 7천만 달러.
- 심포니(Simponi)
TNF-알파 억제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적응증을 가지고 있다. 다만 원개발사는 존슨앤존슨의 제약 사업부 얀센이고 MSD는 특정 지역의 판권을 소유한 것으로 보인다. 19년 매출 8억 3천만 달러.
-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2021년 10월 1일자로 임상시험 3상까지 사실상 성공하여 승인 직전인 최초의 경구용 코로나 19 치료제. 투여효과는 코로나 19로 인한 입원 및 사망 확률이 절반으로 줄었다. 경미한 코로나19 감염증상 단계에서 복용한 환자의 입원 및 사망 확률이 7.3%(385명 중 28명)로, 복용하지 않은 환자의 입원 및 사망 확률 14.1%(377명 중 53명) 보다 약 50% 감소했다. 특히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집단에서는 사망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반면 몰누피라비르 대신 위약을 복용한 집단에서는 사망자가 8명 나왔다. 머크사는 이번의 3상 임상 중간 결과를 기반으로 당초 11월 마무리하려던 임상시험을 조기 종료하고 FDA에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하는 중이다. 미국 정부의 구매계약은 개발단계에서 체결된 상태이고 결과 자체도 상당히 좋아서 더 이상 시간을 끌며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
학술 자료[편집]
MSD 사에서는 의학 지식 웹사이트인 MSD 매뉴얼을 운영한다. 전문가용과 일반인용, 수의사용 세 가지 버전이 있는데, 개 중 일반인용은 한국어판으로도 제공이 된다.
화학물질 백과인 Merck Index는 독일이 아니라 여기서 발행하다가 왕립화학회로 라이센스를 넘겼다.
기타[편집]
1971년에 유한양행의 쎄레스톤지 크림 일부 판권을 가지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일부 판권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의 세계 판권,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3종의 미국 및 세계 판권이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19년 기준 삼성제 바이오시밀러의 매출은 2억 5천만 달러. 그런데 MSD가 밝힌 분사계획에 바이오시밀러 사업도 포함됐다.
회충약 등을 만들던 일본의 반유제약을 인수하기도 했다.
머크의 현황[편집]
2020년 1월, 머크는 ARQ 531이라는 구강용 브루톤 타이로신 키나제(BTK) 억제제를 개발한 ArQule를 27억 달러에 인수하였다.
2020년 3월, 머크는 뉴저지 비즈니스 잡지와 뉴저지 비즈니스 및 산업 협회가 주최한 첫 번째 제조업 어워드에서 10개 기업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2020년 6월, 머크는 감염병과 암을 포함한 질병에 대한 백신 및 면역 조절 치료에 중점을 둔 Themis Bioscience를 인수하였다.
2020년 6월, 머크 동물 건강 부문은 가축의 체온과 움직임을 모니터링하여 질병을 조기에 감지하는 데이터 분석 회사인 Quantified Ag를 인수하였다.
2020년 8월, 머크 동물 건강 부문은 DNA 기반 동물 추적 기술을 담당하는 IdentiGEN을 인수하였다.
2020년 9월, 머크는 시애틀 제네틱스의 보통주 10억 달러 어치를 인수하고, 라디라투주맙 베도틴(ladiratuzumab vedotin)의 공동 개발에 합의하였다.
2020년 11월, 머크는 VelosBio를 27억 5천만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였으며, VelosBio는 혈액 및 고형 종양에서 티로신 키나제 유사 오르판 수용체 1(ROR1)을 목표로 하는 항체-약물 결합체 VLS-101을 개발 중인 회사이다. VLS-101은 현재 1상 및 2상 임상 시험 중에 있다. 또한, 머크는 OncoImmune을 4억 2천5백만 달러에 인수하고, 심각한 COVID-19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3상 후보 물질 CD24Fc도 함께 인수한다고 발표하였다.
2021년 2월, 머크 동물 건강 부문은 PrognostiX Poultry를 인수하였다.
2021년 3월, 머크의 기업 업무 담당자인 Petra Wicklandt는 뮌헨 안보 회의에서 회사 대표로 참석하여, 무기화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방출에 대한 공공 건강 대응을 시뮬레이션하는 테이블탑 연습에 참여하였다.
2021년 4월, 머크는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확장하기 위해 Pandion Therapeutics를 18억 5천만 달러에 인수하였다.
2021년 6월, 미국 정부는 머크의 COVID-19 치료제인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를 승인하면 1억 2천만 달러를 지불하고 170만 회분을 구입한다고 발표하였다.[134] 2021년 10월, 머크는 이 약물이 COVID-19의 경증 또는 중등도 환자에서 입원 또는 사망 위험을 약 50% 줄인다고 밝혔으며, 긴급 사용 승인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1년 7월, 로버트 M. 데이비스가 CEO로 취임하였으며, Kenneth Frazier는 실행 의장직에 올랐다.
2021년 7월, 머크는 Organon & Co.의 기업 분사를 완료하였다.
2021년 9월, 머크는 Acceleron Pharma를 115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이로써 폐동맥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Sotatercept와 luspatercept-aamt의 통제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2022년 9월, 머크는 Vence라는 가축 관리 회사를 인수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이 회사는 머크 동물 건강 부문에 통합될 예정이었다.
2022년 12월, 머크는 중국의 Kelun-Biotech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고, 항체-약물 결합체 세트를 통해 초기 암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약은 두 회사 간에 이러한 약물을 공동 개발하는 이전 계약을 따르는 것이다.
2023년 4월, 머크는 Prometheus Biosciences Inc.를 108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였다.
2023년 12월, 머크는 Owkin과 협력하여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병리 진단 개발을 발표하였다. 이 기술은 면역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목표는 자궁내막암, 위암, 소장암 및 담관암의 4가지 종양 유형에 대해 MSI-H 생물지표를 선별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2024년 1월, 머크는 Harpoon Therapeutics를 6억 8천만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였다. 이 인수로 머크는 암 치료제를 위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주요 후보 물질인 HPN328은 DLL3 발현과 관련된 고급 암 환자를 치료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Harpoon Tri-specific 설계를 이용한 T세포 활성화 기술을 활용한 T세포 유도제를 연구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환자의 면역 세포가 종양 세포를 파괴하도록 유도한다.
2024년 4월, 머크는 Abceutics를 2억 8천만 달러에 인수했다고 발표하였다.
2024년 7월, 머크는 EyeBio를 30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발표하였다.
2024년 10월, 머크는 Modifi Biosciences를 13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발표하였다.
참고자료[편집]
- MSD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sd.com/
- 머크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erck.com/
- 〈MSD (기업)〉, 《위키백과》
- 〈MSD〉, 《나무위키》
- "Merck & Co.", Wikipedia
같이 보기[편집]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