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금정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정역(Geumjeong station, 衿井驛)은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산본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전철역이며 환승역이다. 이 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최초 개통 당시엔 영업하지 않았으나, 안산선 개통과 동시에 영업을 개시했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은 이 역부터 오이도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평면 4선의 승강장과 2개의 통과선(경부1선)이 있는 지상역이다. 4개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코레일이 운행한 경부선, 2개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운행하는 진접선 및 과천선 및 안산선 역사와 승강장, 또는 승강장 사이는 육교로 이동하도록 돼 있다.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다. 출구는 8개다.

승강장1호선 일반열차가 사용한 경부2선안산선에만 설치되어 있는 고상홈이기 때문에 1호선4호선통근형 전동차만 정차할 수 있도록 돼 있으며, 경부1선(안쪽 선로)을 이용하는 일반 여객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경부선 급행(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우 기존은 금정역을 무정차 통과했으나, 2019년 12월 30일수도권 전철 1호선 개편으로 인해 경부선 급행열차를 완행열차하고 같이 가장자리 선로로 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어서 금정역에도 경부선 급행열차(청량리 ~ 천안, 신창 급행)가 정차할 수 있게 됐다.

하행(군포/산본 방면) 열차, 상행(명학/범계 방면) 열차는 각각 같은 승강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그러나 서로 엇갈리는 방면(군포 방면과 범계 방면, 산본 방면과 명학 방면)으로 환승하려고 할 때엔 반드시 역사 육교를 거쳐야 한다.

기존은 승강장 남단의 선상역사로 하나의 역무실과 5개 육교형 출입구만 가진 역이었으나, 이용수요에 비해 서울특별시 면허 시내버스 등이 많이 정차한 교차로 부근과 출입구 간의 환승거리가 다소 떨어져 대로횡단보도를 이용해야 한 등으로 역 이용에 불편이 있다. 이에 금정역삼거리 육교에 연결된 북부역사를 착공했고 2006년 5월 육교로 직통하는 출입구가 개통했다. 추후 5,6번 승강장은 GTX-C 승강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승강장[편집]

명학역(1호선)/↑범계역(4호선)
| | | | | | | |
군포역(1호선)↓/산본역(4호선)↓
1 수도권 전철 4호선 범계역·과천·대공원(서울랜드)·이촌(국립중앙박물관)·명동(우리금융타운)·창동·진접(경복대) 방면
2 수도권 전철 1호선 안양역·금천구청·구로·의정부 방면 (일반, 급행)
경부선 통과선
3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왕(한국교통대학교)·성균관대·수원·서동탄·신창(순천향대) 방면 (일반, 급행)
4 수도권 전철 4호선 산본(원광대산본병원)·상록수(안산대학교)·안산·오이도 방면

역 주변[편집]

승차량 변동[편집]

1호선(경부선)과 4호선(과천선, 안산선)의 역사와 개찰구가 구분되지 않고 사용되므로, 모든 승차량은 1호선의 승차량으로 간주한다.

인접한 역[편집]

경부선
P150 명학역
의정부역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완행
P152 군포역
서동탄역·신창역 방면
P149 안양역
청량리역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급행
P154 의왕역
신창역 방면
과천선·안산선
443 범계역
진접역 방면
수도권 전철 4호선
445 산본역
오이도역 방면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금정역 문서는 수도권 지하철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