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접속통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18번째 줄: 18번째 줄:
 
* '''방문 깊이'''(Visit Depth) 및 '''방문당 페이지뷰'''(Page Views per Visit)
 
* '''방문 깊이'''(Visit Depth) 및 '''방문당 페이지뷰'''(Page Views per Visit)
 
: 리포트 명칭에서는 방문자가 얼마나 세부적인 콘텐츠까지 접근하였는지를 의미하지만, 사실상 효과적인 측정과 분석이 어려운 까닭에 방문당 평균 페이지뷰와 같은 의미를 갖는 리포트로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방문 깊이별 분포 분석을 통해 방문자의 충성도 및 참여도에 따라 방문의 구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평균 방문 깊이 값을 통해 웹사이트 전반적인 콘텐츠의 성능을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방문 깊이는 사이트의 내비게이션 구조, 콘텐츠 종류,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뉍사이트 간 비교가 어려운 측정값이며, 절대적인 기준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종 마케팅 활동, 웹사이트의 변화에 따른 기존 측정값과의 비교를 통한 분석이 적합하다. 해당 웹사이트를 웹브라우저의 시작페이지로 지정한 경우에는 반송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방문당 페이지뷰가 감소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와 같은 왜곡의 요소를 배제하려면 순방문자당 페이지뷰 또는 유효방문자당 페이지뷰를 이용하는 방법이 좋다.  
 
: 리포트 명칭에서는 방문자가 얼마나 세부적인 콘텐츠까지 접근하였는지를 의미하지만, 사실상 효과적인 측정과 분석이 어려운 까닭에 방문당 평균 페이지뷰와 같은 의미를 갖는 리포트로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방문 깊이별 분포 분석을 통해 방문자의 충성도 및 참여도에 따라 방문의 구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평균 방문 깊이 값을 통해 웹사이트 전반적인 콘텐츠의 성능을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방문 깊이는 사이트의 내비게이션 구조, 콘텐츠 종류,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뉍사이트 간 비교가 어려운 측정값이며, 절대적인 기준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종 마케팅 활동, 웹사이트의 변화에 따른 기존 측정값과의 비교를 통한 분석이 적합하다. 해당 웹사이트를 웹브라우저의 시작페이지로 지정한 경우에는 반송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방문당 페이지뷰가 감소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와 같은 왜곡의 요소를 배제하려면 순방문자당 페이지뷰 또는 유효방문자당 페이지뷰를 이용하는 방법이 좋다.  
 +
* '''순방문자당 페이지뷰'''(Page Views per Visitor)
 +
: 방문 깊이 또는 방문당 페이지뷰와 같은 분석목적을 갖지만, 방문이 아닌 순방문자를 기준으로 한다. 순방문자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웹브라우저의 시작페이지 설정에 따른 방문당 페이지뷰 왜곡요소를 조금이나마 상쇄할 수 있다. 회원 방문자당 페이지뷰의 경우에는 회원을 기준으로 콘텐츠에 대한 참여정도를 파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 '''방문 체류시간'''(Visit Duration)
 +
페이지뷰 및 방문 깊이와 같은 측정지표는 사이트의 특성 및 페이지의 구성방법에 따라 변화의 편차가 크므로 웹 2.0에서 강조되고 있는 참여와 공유를 표방한 관점에서는 적절한 측정지표의 이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호되기 시작한 측정지표는 사이트의 이용시간이며, 각 방문 체류시간을 구간별로 나눈 분포에 대한 분석과, 평균 방문당 체류시간에 대한 분석을 이용하게 된다. 체류시간 분석을 통해 방문자가 어느 정도 웹사이트에서 참여를 하고 시간을 소비하였는지 분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참여도와 충성도를 분석한다. 다만, 웹사이트의 로딩이 느리거나, 내비게이션의 구조가 불합리하여 많은 페이지의 이동과 불필요한 체류시간을 늘리게 되어 측정값이 증가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방문당 체류시간이 아닌 순방문자당 평균 체류시간, 고객(회원)당 평균 체류시간 등의 접근도 가능하며, 평균체류시간은 인덱스로의 활용도 유용하다.
 +
 
== 예시 ==
 
== 예시 ==
 
{{각주}}
 
{{각주}}

2020년 9월 15일 (화) 11:09 판

접속통계(access statistics)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모든 방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위젯이다.

개요

접속통계는 사용자가 접속한 현황에 대한 통계자료를 서비스, 주로 개인별에 따라 기간별(연도별, 월별, 일별)로 그래프 형태 방식으로 제공한다.

기능

접속통계 위젯은 주로 방문자, 일자별, 월별 몇 명이 방문했는지 확인이 가능한 기능과, 총 방문자 수와 몇 페이지를 확인했는지 페이지뷰 확인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유입사이트 분석을 지원하며 일자별, 월별 유입되어 온 사이트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그에 포스팅하면서 링크 주소를 걸어놨고, 고객이 그 링크를 클릭해서 사이트를 접속하면 그 블로그 포스팅 주소를 확인할 수 있어서 어떤 마케팅이 효과가 큰지에 대한 마케팅의 고민을 도와준다. 그리고 유입검색어 분석을 지원해 준다. 일자별, 월별 유입되는 최초 검색어를 분석한다. 검색엔진+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다. 고객들은 어떤 검색어로 많이 검색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블로그 포스팅이나 홍보를 할 때 도움되는 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어서 마케팅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페이지 뷰(Page View) : 열람한 페이지 개수의 합을 의미한다. 전체 페이지 뷰는 웹사이트에 방문한 방문자가 열어본 페이지 수의 합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한 명이 방문객이 웹사이트에 들어와 '메인 페이지 > FAQ 페이지 > 회사 소개 페이지'를 보았다면 전체 페이지 뷰는 3이 된다.
  • 전체 방문자 수 : 전체 방문자 수는 재방문을 포함해 방문한 방문자의 총 수를 말한다. 재방문은 같은 날 브라우저 창을 닫는 것을 기준으로 여러 번 방문한 것을 말한다. 평균값은 원하는 기간(전날, 일주일 1개월 등)을 선택해 해당 기간에 포함되는 전체 방문자 수의 평균을 계산한다.
  • 순 방문자 수 : 전체 방문자 수 중 방문자의 IP를 분석해 순 방문자를 분석한다. 즉 IP가 중복되지 않도록 재방문자를 제외한 방문자 수를 말한다.
  • 시간별 접속 분포 : 기간 동안의 매 시간마다 접속한 방문자의 수를 확인하여 어느 시간대에 방문자의 수가 많은지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는 방문자 수를 기준으로 그려지며, 기간 동안의 통계를 볼 수 있다. 가장 많은 사람이 방문한 시간은 특정 색깔로 표현되기도 한다.
  • 성별/연령별 분포 : 성별 통계와 연령별 통계는 로그인한 회원만을 대상으로 집계된다. 연령별 통계는 만 나이가 아닌 한국 나이로 집계되며(예를 들어 20대, 30대, 40대, 50대 등),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나이는 통계에서 제외된다. 그리고 방문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극소수의 방문자일 경우는 표시되지 않는다.
  •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별 통계 : 운영체제별/브라우저별 TOP을 확인할 수 있으며, 모든 방문자를 대상으로 집계된다. 운영체제와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에서 보내지는 정보에 의해서 집게된다. 따라서, 같은 운영체제 또는 브라우저라 할지라도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 일별/주별/월별 접속 통계 : 일별 통계는 하룻동안의 방문자 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래프는 전체 방문자 수 기준이다. 두 달 전의 통계까지 확인할 수 있고, 두 달 중 방문자 수가 가장 많은 날은 특정 색깔로 표시된다. 일별 접속 추이는 하룻동안 방문한 방문자를 기준으로 집계되기 때문에 시간별 접속 추이의 합계와는 수치가 다를 수 있다. 주별 접속 통계는 일주일 간의 일별 통계의 합으로 집계되며, 해당 주의 일별 통계의 합계는 주별 통계의 수치와 같다. 주별 통계 역시 전체 방문자 수를 기준으로 그래프가 그려지며, 최근 기간 동안만 저장된다. 월별 접속 통계는 한 달 동안의 일별 통계의 합으로 집계되며, 해당 월의 일별 통계의 합계는 월별 통계의 수치와 같다. 월별 통계는 이전 자료가 삭제되지 않고, 집계 시작일부터의 통계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고려사항

  • 홈페이지 통과율 또는 내부콘텐츠 이용률
웹사이트의 인덱스페이지(홈페이지)에 유입된 방문자가 사이트 내부로 진입한 후 어느 정도의 페이지뷰를 발생시켰는지를 통해 사이트 내부에 대한 참여 정도를 분석한다. 즉, 홈페이지의 페이지뷰와 내부 페이지의 페이지뷰의 비율을 통해 방문자의 참여 정도를 분석하는 리포트이다. 반송율은 첫 접속페이지에서 유입 또는 반송되는 비율을 통해 첫 페이지의 효과를 분석하였다면, 홈페이지 통과율은 내부 콘텐츠의 매력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내부 콘텐츠에 대한 이용률이 떨어졌다면, 콘텐츠의 구성 및 타겟고객에 대한 접근이 올바른지 우선 검토해야 한다.
  • 반송율(Bounced Rate) 또는 사이트 진입 거부율(Entrance Bounced Rate)
첫 접속페이지를 중심으로 방문자가 반송되었는지를 직접적으로 분석하는 리포트이다. 전체 웹사이트의 반송율을 통해 웹사이트에 대한 방문자 획득 후 실제 유입정도를 파악하고, 첫 접속 페이지의 최적화 작업에 이용한다. 마케팅 캠페인별 페이지별 반송율 분석을 통해 웹사이트 방문자를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최적의 접근방법을 발굴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반송율을 낮추기 위한 세부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송 및 사이트 진입거부는 마케팅 캠페인에 의해 힘들게 얻은 방문을 웹사이트의 입구에서부터 유실하는 경우로서, 빠른 개선과 최적화가 요구되는 관리항목들이다. 대부분의 웹사이트 최적화는 본 항목을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 적은 노력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이다.
  • 방문 깊이(Visit Depth) 및 방문당 페이지뷰(Page Views per Visit)
리포트 명칭에서는 방문자가 얼마나 세부적인 콘텐츠까지 접근하였는지를 의미하지만, 사실상 효과적인 측정과 분석이 어려운 까닭에 방문당 평균 페이지뷰와 같은 의미를 갖는 리포트로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방문 깊이별 분포 분석을 통해 방문자의 충성도 및 참여도에 따라 방문의 구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평균 방문 깊이 값을 통해 웹사이트 전반적인 콘텐츠의 성능을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방문 깊이는 사이트의 내비게이션 구조, 콘텐츠 종류,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뉍사이트 간 비교가 어려운 측정값이며, 절대적인 기준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종 마케팅 활동, 웹사이트의 변화에 따른 기존 측정값과의 비교를 통한 분석이 적합하다. 해당 웹사이트를 웹브라우저의 시작페이지로 지정한 경우에는 반송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방문당 페이지뷰가 감소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와 같은 왜곡의 요소를 배제하려면 순방문자당 페이지뷰 또는 유효방문자당 페이지뷰를 이용하는 방법이 좋다.
  • 순방문자당 페이지뷰(Page Views per Visitor)
방문 깊이 또는 방문당 페이지뷰와 같은 분석목적을 갖지만, 방문이 아닌 순방문자를 기준으로 한다. 순방문자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웹브라우저의 시작페이지 설정에 따른 방문당 페이지뷰 왜곡요소를 조금이나마 상쇄할 수 있다. 회원 방문자당 페이지뷰의 경우에는 회원을 기준으로 콘텐츠에 대한 참여정도를 파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방문 체류시간(Visit Duration)

페이지뷰 및 방문 깊이와 같은 측정지표는 사이트의 특성 및 페이지의 구성방법에 따라 변화의 편차가 크므로 웹 2.0에서 강조되고 있는 참여와 공유를 표방한 관점에서는 적절한 측정지표의 이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호되기 시작한 측정지표는 사이트의 이용시간이며, 각 방문 체류시간을 구간별로 나눈 분포에 대한 분석과, 평균 방문당 체류시간에 대한 분석을 이용하게 된다. 체류시간 분석을 통해 방문자가 어느 정도 웹사이트에서 참여를 하고 시간을 소비하였는지 분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참여도와 충성도를 분석한다. 다만, 웹사이트의 로딩이 느리거나, 내비게이션의 구조가 불합리하여 많은 페이지의 이동과 불필요한 체류시간을 늘리게 되어 측정값이 증가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방문당 체류시간이 아닌 순방문자당 평균 체류시간, 고객(회원)당 평균 체류시간 등의 접근도 가능하며, 평균체류시간은 인덱스로의 활용도 유용하다.

예시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접속통계 문서는 솔루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