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메타버스 테마파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5번째 줄: 5번째 줄:
  
 
== 메타버스 테마파크 ==
 
== 메타버스 테마파크 ==
메타버스 테마파크는 각자의 [[아바타]]를 생성해 서로 대화도 하며 게임도 할 수 있는 가상의 온라인 [[테마파크]]이다. 따로 거금을 들여 장소를 빌리거나 방역을 할 필요도 없이 수많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펜데믹(Pandemic)시대에 알맞는 놀이 공간이다.<ref name ='메타조선'>이소연 기자,〈[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17/2020121702728.html "현실이 답답해? 메타버스로 와"]〉,《이코노미조선》</ref> 미국의 게임회사인 로블록스는 어린이 테마파크인 '라이언 월드(Ryan's World)를 개장해 주목받았다. 라이언 월드는 온라인 공간에만 존재하는 '메타버스 테마파크(놀이공원)'로 이 테마파크에서 유저들은 각자의 아바타를 생성해 활동할 수 있다. <ref name='가상우주'>손보승 기자,〈[https://issue7177.tistory.com/504 (메타버스Ⅰ) 비대면 시대가 부른 가상의 우주]〉,《이슈메이커》,2021-01-19</ref> 2020년 3월 출시된 닌텐도의 '모여봐요 동물의 숲'은 유저가 무인도에 집을 짓고 낚시를 하며 동물 주민들과 섬을 꾸려나가는 게임이다. 하지만 그 속에서 유저들은 꽃씨를 심고 물을 주며 꽃을 키우고, 나무를 심고, 낚시와 곤충도 잡는다. 유저들은 지형을 바꾸고 가구를 배치해가며 섬을 다양하게 꾸미고 다른 유저를 초대해 함께 즐기기도 한다. 실제로 동물의 숲 안에서 생일파티를 하거나 가상 결혼식을 올린 이용자도 있으며, 홍보용으로 섬을 꾸며 광고를 하는 기업도 있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동물의 숲을 이용해 선거운동을 벌였으며 조슈아 웡과 지지자들도 동물의 숲을 통해 홍콩 민주화 시위를 이어가기도 했다.<ref name='가상우주'></ref> 이렇게 게임 업계 뿐만 아니라 콘텐츠 업계에서도 메타버스를 주목하고 있다. '콘텐츠 최강자'인 디즈니의 틸락 만다디 월트디즈니파크 부사장은 지난 11월에 링크드인을 통해 디즈니파크의 청사진 중 하나로 '메타버스'를 언급하며 "물리적(현실)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넘어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풀어낼 (미래형)테마파크를 '테마파크 메타버스'라고 지칭한다"면서 "웨어러블, 스마트폰, 컴퓨터비전,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이 이용자를 테마파크 메타버스로 몰입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ref>송화연 기자,〈[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21&aid=0005034051&lfrom=facebook&fbclid=IwAR0_z5wn8_Y99aAbz0Zq-Of6O2kqkbauRYX2yJfoxGjQVm7pNJIbJ7GVtyc (메타버스 열린다)③ Z세대 뛰어놀 '판'…어떻게 깔아야 할까]〉,《뉴스1 코리아》, 2020-12-07</ref>
+
메타버스 테마파크는 각자의 [[아바타]]를 생성해 서로 대화도 하며 게임도 할 수 있는 가상의 온라인 [[테마파크]]이다. 따로 거금을 들여 장소를 빌리거나 방역을 할 필요도 없이 수많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펜데믹(Pandemic)시대에 알맞는 놀이 공간이다.<ref name ='메타조선'></ref> 미국의 게임회사인 로블록스는 어린이 테마파크인 '라이언 월드(Ryan's World)를 개장해 주목받았다. 라이언 월드는 온라인 공간에만 존재하는 '메타버스 테마파크(놀이공원)'로 이 테마파크에서 유저들은 각자의 아바타를 생성해 활동할 수 있다. <ref name='가상우주'>손보승 기자,〈[https://issue7177.tistory.com/504 (메타버스Ⅰ) 비대면 시대가 부른 가상의 우주]〉,《이슈메이커》,2021-01-19</ref> 2020년 3월 출시된 닌텐도의 '모여봐요 동물의 숲'은 유저가 무인도에 집을 짓고 낚시를 하며 동물 주민들과 섬을 꾸려나가는 게임이다. 하지만 그 속에서 유저들은 꽃씨를 심고 물을 주며 꽃을 키우고, 나무를 심고, 낚시와 곤충도 잡는다. 유저들은 지형을 바꾸고 가구를 배치해가며 섬을 다양하게 꾸미고 다른 유저를 초대해 함께 즐기기도 한다. 실제로 동물의 숲 안에서 생일파티를 하거나 가상 결혼식을 올린 이용자도 있으며, 홍보용으로 섬을 꾸며 광고를 하는 기업도 있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동물의 숲을 이용해 선거운동을 벌였으며 조슈아 웡과 지지자들도 동물의 숲을 통해 홍콩 민주화 시위를 이어가기도 했다.<ref name='가상우주'></ref> 이렇게 게임 업계 뿐만 아니라 콘텐츠 업계에서도 메타버스를 주목하고 있다. '콘텐츠 최강자'인 디즈니의 틸락 만다디 월트디즈니파크 부사장은 지난 11월에 링크드인을 통해 디즈니파크의 청사진 중 하나로 '메타버스'를 언급하며 "물리적(현실)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넘어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풀어낼 (미래형)테마파크를 '테마파크 메타버스'라고 지칭한다"면서 "웨어러블, 스마트폰, 컴퓨터비전,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이 이용자를 테마파크 메타버스로 몰입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ref>송화연 기자,〈[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21&aid=0005034051&lfrom=facebook&fbclid=IwAR0_z5wn8_Y99aAbz0Zq-Of6O2kqkbauRYX2yJfoxGjQVm7pNJIbJ7GVtyc (메타버스 열린다)③ Z세대 뛰어놀 '판'…어떻게 깔아야 할까]〉,《뉴스1 코리아》, 2020-12-07</ref>
  
 
=== 동물의 숲 ===
 
=== 동물의 숲 ===

2021년 7월 8일 (목) 00:44 판

메타버스 테마파크(metaverse theme park)는 각자의 아바타를 생성해 서로 대화도 하며 게임도 할 수 있는 가상의 온라인 테마파크이다. 따로 거금을 들여 장소를 빌리거나 방역을 할 필요도 없이, 수많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다. 메타버스 테마파크는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시대에 알맞는 놀이 공간이다.[1]

메타버스

메타버스(Metaverse)는 초월·추상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메타(Meta)와 세상·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이다.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며 공진화하고 그 속에서 사회·경제·문화활동이 이루어지며 가치를 창출한다. 1992년 미국의 공상과학(SF) 소설가인 닐 스티븐슨의 'Snow Crash'란 소설에서 가상의 신체인 아바타를 통해야만 들어갈 수 있는 가상 세계를 뜻하는 말로 처음 메타버스란 용어를 사용하였다.[2] 현재 메타버스는 온라인 속 3차원 입체 가상세계에서 각자 자신만의 아바타를 만들어 아바타의 모습으로 구현된 이용자들이 서로 소통하고, 돈을 벌어 소비하고, 놀이나 업무 등을 하며 마치 현실처럼 보낼 수 있는 플랫폼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이용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생산해 다른 이용자들에게 제공,소비하며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는 구조이다. 게임, 엔터테인먼트, 기업 간 업무 환경에서 가상 공간이 사용되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메타버스의 검색양은 최근 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검색양이 급증하고 있다. 가상의 무인도에 집을 짓고 온라인으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닌텐도 사의 '모여봐요 동물의 숲'과 기업들의 가상 회의, 3D 아바타를 제작해 플레이하는 제페토를 활용해 가상 세계에서 사인회를 하거나 뮤직 비디오를 촬영하기도 하는 것이 메타버스를 활용한 예이다..[1]

메타버스 테마파크

메타버스 테마파크는 각자의 아바타를 생성해 서로 대화도 하며 게임도 할 수 있는 가상의 온라인 테마파크이다. 따로 거금을 들여 장소를 빌리거나 방역을 할 필요도 없이 수많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펜데믹(Pandemic)시대에 알맞는 놀이 공간이다.[1] 미국의 게임회사인 로블록스는 어린이 테마파크인 '라이언 월드(Ryan's World)를 개장해 주목받았다. 라이언 월드는 온라인 공간에만 존재하는 '메타버스 테마파크(놀이공원)'로 이 테마파크에서 유저들은 각자의 아바타를 생성해 활동할 수 있다. [3] 2020년 3월 출시된 닌텐도의 '모여봐요 동물의 숲'은 유저가 무인도에 집을 짓고 낚시를 하며 동물 주민들과 섬을 꾸려나가는 게임이다. 하지만 그 속에서 유저들은 꽃씨를 심고 물을 주며 꽃을 키우고, 나무를 심고, 낚시와 곤충도 잡는다. 유저들은 지형을 바꾸고 가구를 배치해가며 섬을 다양하게 꾸미고 다른 유저를 초대해 함께 즐기기도 한다. 실제로 동물의 숲 안에서 생일파티를 하거나 가상 결혼식을 올린 이용자도 있으며, 홍보용으로 섬을 꾸며 광고를 하는 기업도 있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동물의 숲을 이용해 선거운동을 벌였으며 조슈아 웡과 지지자들도 동물의 숲을 통해 홍콩 민주화 시위를 이어가기도 했다.[3] 이렇게 게임 업계 뿐만 아니라 콘텐츠 업계에서도 메타버스를 주목하고 있다. '콘텐츠 최강자'인 디즈니의 틸락 만다디 월트디즈니파크 부사장은 지난 11월에 링크드인을 통해 디즈니파크의 청사진 중 하나로 '메타버스'를 언급하며 "물리적(현실)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넘어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풀어낼 (미래형)테마파크를 '테마파크 메타버스'라고 지칭한다"면서 "웨어러블, 스마트폰, 컴퓨터비전,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이 이용자를 테마파크 메타버스로 몰입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4]

동물의 숲

제페토

포트나이트

로블록스

로블록스(Roblox)는 데이비드 바수츠키와 에릭 카셀이 2003년 설립해 2006년 출시한 온라인 게임 플랫폼 및 게임 제작 시스템이다. 로블록스는 사용자가 게임을 프로그래밍하고, 다른 사용자가 만든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루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며 코딩된 여러 장르의 사용자 제작 게임을 호스팅한다. 미국에서는 16세 미만의 어린이들 중 절반 이상이 로블록스를 플레이하고 있다.[5] 로블록스는 레고같이 생긴 아바타를 3차원의 가상세계에서 플레이하는 방식의 게임이다. 로블록스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이용해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데, 사용법이 매우 직관적이고 간단해 초들학생들도 직접 게임을 디자인하고 만들 수 있다. 로블록스의 게임 대부분이 미성년자들이 개발했으며 연간 총 2천만개의 게임이 제작된다. 장르 또한 역할수행게임(RPG), 슈팅게임(FPS), 레이싱, 어드벤처 등 거의 모든 장르의 게임이 로블록스 안에서 제작되고 즐길 수 있다.[6]

언택트 시대

메타버스가 각광받기 시작한 것은 코로나19 시대를 빼놓을 수 없다. 코로나19라는 새로운 감염병이 전 세계를 휩쓸면서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감염 확산을 막을 최선의 방책이 되었다. 그리고 수업이나 근무, 문화에서 등 일상이 비대면/비접촉 방식인 '언택트(Untact)'방식으로 변화했다. 방학이 끝난 학생들은 온라인 강의를 통해 학기를 시작하며 시험과 과제들 또한 온라인으로 실행했으며, 많은 기업들이 비대면을 위한 재택근무와 영상회의를 시도했다. 소비에서 또한 직접 음식점을 방문하기보다는 배달로 몰려 배달의 수요가 더욱 증가했으며, 온라인 쇼핑 또한 증가했다. 공연이나 스포츠 또한 무관중으로 진행되었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관람이 증가했다.[7] 이렇게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의 빠른 변화와 함께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가까이 있어도 만날 수 없으니 소통을 위해 비대면 공간인 '메타버스'를 찾기 시작했다.

MZ세대

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이 급격하게 일어나며 메타버스의 규모는 급증했다. 그리고 비대면 경제가 대두되며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고객층인 MZ세대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MZ세대는 1980년대~1990년대에 태어나 PC의 비약적인 발전을 어릴 적부터 체험하고 보고 자란 세대와 스마트폰·태블릿의 발달과 함께 자란 1990년대~2000년대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 그리고 모바일 기기가 성숙기를 맞이한 2000년대 이후에 태어난 Z세대를 통칭한다.[8] 2000년대 전후의 문화가 익숙한 이들은 싸이월드의 미니미를 유사한 개념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자신만의 방과 아바타를 꾸민 후, 자신과 '일촌'으로 연결된 친구들과 소통하는 방식이 메타버스의 기본적인 모습과 비슷하다. MZ세대로 불리는 젊은층들은 게임 '포트나이트'가 또한 익숙할 것이다. 포트나이트에서 BTS의 뮤직비디오 안무가 처음 공개되고 이용자들은 자신의 아바타로 BTS의 춤을 따라 추기도 했다. 래퍼 트래비스 스캇의 콘서트 또한 포트나이트 안에서 열어 많은 팬들이 게임 안에서 공연을 즐기기도 했다.[9]

문제점

메타버스는 가상세계인 만큼 도덕적인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자신의 얼굴과 정보를 직접 드러내는 것이 아닌 가상의 아바타를 통해 활동을 하는 것인 만큼 사기와 같은 범죄 등에 악용되거나, 익명의 뒤에 숨어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 또한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타버스는 현실을 기반으로 만든 또 하나의 세계이기 때문에 현실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10] 실제로 사람과 만나는 것이 아닌 온라인을 통해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활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안 문제가 발생할 확률도 있다. 해킹과 같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개인정보를 도용당해 범죄에 이용될 수도 있다.

메타버스에서 필연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바타'이고, 그 아바타를 형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것은 개인의 프라이버시에서 시작한다. 즉 메타버스는 나의 '아바타'가 활동하는 공간이지만, 그 아바타의 출발점은 '현실의 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메타버스에서 가장 선행되어야 할 문제는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보안문제이다.[11]

각주

  1. 1.0 1.1 1.2 이소연 기자, 〈"현실이 답답해? 메타버스로 와"〉, 《이코노미조선》
  2. 이승환·한상열,〈메타버스 비긴즈(BEGINS):5대 이슈와 전망〉,《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04-20
  3. 3.0 3.1 손보승 기자,〈(메타버스Ⅰ) 비대면 시대가 부른 가상의 우주〉,《이슈메이커》,2021-01-19
  4. 송화연 기자,〈(메타버스 열린다)③ Z세대 뛰어놀 '판'…어떻게 깔아야 할까〉,《뉴스1 코리아》, 2020-12-07
  5. 로블록스〉,《위키백과》
  6. 윤진우 기자, 〈“조잡하고 단순한데 끌리네”…시총 42조 로블록스, ‘초통령 게임’ 된 비결 3가지〉,《조선비즈》,2021-04-03
  7. 정책브리핑 원세연,〈코로나19가 앞당긴 비대면 사회...위기 속 기회 모색〉.《정책브리핑》,2020-12-24
  8. 변인호 기자,〈새로운 세계 '메타버스', MZ세대는 왜 열광할까〉,《파이낸셜투데이》, 2021-03-25
  9. 박수형 기자,〈코로나 시대 급부상한 '메타버스', 들어보셨나요?〉.《ZDnet Korea》, 2021-03-04
  10. 김도엽 기자,〈(신문 읽어주는 교수님) 가상 현실이 점점 가까이 다가온다, 메타버스〉,《한양뉴스포털》,2021-05-31
  11. 서유경 변호사,〈초월된 현실 메타버스(Metaverse)의 새로운 법적 문제-프라이버시와 데이터 보안〉,개인 블로그,2021-03-25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메타버스 테마파크 문서는 메타버스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