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페이셜 캡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활용 예시==
 
==활용 예시==
 
===영화===
 
===영화===
* 폴라 익스프레스
+
* 폴라 익스프레스 : 폴라 익스프레스는 2004년에 개봉한 [[3D]] 애니메이션으로 최초로 페이셜 캡처 기술을 도입한 영화이다. 배우 '톰 행크스'는 주인공인 8살 소년, 기관장, 산타클로스 등 5개의 배역을 연기하였다. [[모션캡처]]와 페이셜 캡처 기술을 사용해서 톰 행크스의 모습을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한 것이다. 이를 위해 톰 행크스는 60개의 광반사 센서가 부착된 특수 의상을 입고 얼굴에는 150개의 센서를 붙이고 촬영했다.<ref>최지향 기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0411130072606998 '폴라 익스프레스’의 톰 행크스/"8세 아이부터 산타까지 연기했죠"]〉, 《한국일보》, 2004-11-13</ref> 하지만 당시 눈에 센서를 달아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이 불가능해 눈동자가 어색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감독인 로버트 저메키스(Robert Zemeckis)는 다음 작품인 '베어울프'에서 그 점을 보완했다. 로버트 저메키스가 감정을 드러내는 인간의 눈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EOG(안구의 움직임으로 유발된 생체전위의 변화)'라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베어울프에 도입하였다. 그로 인해 주인공 안소니 홉킨스의 음흉한 눈빛이나 왕비를 흠모하는 레이 윈스톤의 간절한 눈빛까지 실제 배우들의 연기보다 더 뛰어나게 재현되었다.<ref>〈[https://www.kocca.kr/cop/bbs/view/B0000149/1212764.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910&categorys=0&subcate=0&cateCode=&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pageIndex=138 디지털 영상 제작 기술 '모션 캡처 캡처',실사와 애니메이션의 경계 영화 영화로 영역 확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04-30</ref>
 +
 
 
* 아바타  
 
* 아바타  
* 미녀와 야수
+
* 미녀와 야수  
  
 
===게임===
 
===게임===
14번째 줄: 15번째 줄: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 라이브 핑크 페이스
+
* 라이브 핑크 페이스  
* 페이스리그  
+
* 페이스리그
 
* 니지산지  
 
* 니지산지  
* 애니모티콘  
+
* 애니모티콘
  
 
{{각주}}
 
{{각주}}
24번째 줄: 25번째 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1314&cid=50338&categoryId=50338 페이설 캡처]〉,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1314&cid=50338&categoryId=50338 페이설 캡처]〉,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en.wikipedia.org/wiki/Facial_motion_capture#cite_note-LW1990-1 Facial motion capture]〉,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Facial_motion_capture#cite_note-LW1990-1 Facial motion capture]〉, 《위키피디아》
 +
* 최지향 기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0411130072606998 '폴라 익스프레스’의 톰 행크스/"8세 아이부터 산타까지 연기했죠"]〉, 《한국일보》, 2004-11-13
 +
* 〈[https://www.kocca.kr/cop/bbs/view/B0000149/1212764.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910&categorys=0&subcate=0&cateCode=&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pageIndex=138 디지털 영상 제작 기술 '모션 캡처 캡처',실사와 애니메이션의 경계 영화 영화로 영역 확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04-30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21년 7월 14일 (수) 17:00 판

페이셜 캡처(Facial capture)란 3D 애니메이션에서 얼굴의 움직임을 신호로 얻은 후에 디지털 캐릭터의 얼굴에 반영하는 과정이다. 모션캡처의 종류 중 하나이다.[1]

상세

페이셜 캡처는 카메라나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사람의 얼굴 움직임을 전자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변환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그래픽(CG), 영화, 게임 또는 실시간 아바타를 위한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컴퓨터 그래픽 캐릭터의 동작은 실제 사람들의 움직임에서 반영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이 수동으로 만들어졌을 때보다 훨씬 더 사실적이고 세밀하게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페이셜 캡처 데이터베이스는 배우 얼굴의 기준점에 대한 좌표 또는 상대 위치를 설명한다. 캡처는 2차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캡처 과정을 "표현 추적"이라고 부른다. 단일 카메라와 캡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2차원 캡처를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추적이 덜 섬세하고, 머리 회전과 같은 3차원 움직임을 완벽하게 캡처할 수 없다. 3차원 캡처는 다중 카메라 장비 또는 레이저 마커 시스템을 사용하여 진행된다. 이런 시스템은 보통 훨씬 더 가격이 비싸고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걸린다. 페이셜 캡처는 눈과 입술의 작은 움직임으로부터 가능한 미세한 표정을 감지하고 추적해야 하는 고해상도 조건 때문에 더 까다롭다. 이러한 움직임은 보통 몇 밀리미터도 안 되므로 해상도와 정확도가 훨씬 더 높아야 하며 바디 캡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다른 필터링 기술이 필요하다.[2]

활용 예시

영화

  • 폴라 익스프레스 : 폴라 익스프레스는 2004년에 개봉한 3D 애니메이션으로 최초로 페이셜 캡처 기술을 도입한 영화이다. 배우 '톰 행크스'는 주인공인 8살 소년, 기관장, 산타클로스 등 5개의 배역을 연기하였다. 모션캡처와 페이셜 캡처 기술을 사용해서 톰 행크스의 모습을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한 것이다. 이를 위해 톰 행크스는 60개의 광반사 센서가 부착된 특수 의상을 입고 얼굴에는 150개의 센서를 붙이고 촬영했다.[3] 하지만 당시 눈에 센서를 달아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이 불가능해 눈동자가 어색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감독인 로버트 저메키스(Robert Zemeckis)는 다음 작품인 '베어울프'에서 그 점을 보완했다. 로버트 저메키스가 감정을 드러내는 인간의 눈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EOG(안구의 움직임으로 유발된 생체전위의 변화)'라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베어울프에 도입하였다. 그로 인해 주인공 안소니 홉킨스의 음흉한 눈빛이나 왕비를 흠모하는 레이 윈스톤의 간절한 눈빛까지 실제 배우들의 연기보다 더 뛰어나게 재현되었다.[4]
  • 아바타
  • 미녀와 야수

게임

  • 오딘

소프트웨어

  • 라이브 핑크 페이스
  • 페이스리그
  • 니지산지
  • 애니모티콘

각주

  1. 페이설 캡처〉, 《네이버 지식백과》
  2. Facial motion capture〉, 《위키피디아》
  3. 최지향 기자, 〈'폴라 익스프레스’의 톰 행크스/"8세 아이부터 산타까지 연기했죠"〉, 《한국일보》, 2004-11-13
  4. 디지털 영상 제작 기술 '모션 캡처 캡처',실사와 애니메이션의 경계 영화 영화로 영역 확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04-30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페이셜 캡처 문서는 메타버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