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삼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7번째 줄: 7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삼베는 대마의 껍질을 벗겨 가늘게 찢어 실로 만들어서 짠 직물이다. [[무명]], [[모시]], [[명주]]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직물이다. 삼베는 대마를 재배하여 껍질을 벗겨 가늘게 째서 실로 만들어 여러 공정을 거친 후에 베틀에서 짠 직물이다. 따라서 동물성 직물인 명주와 달리 삼베는 무명, 모시와 마찬가지로 식물성 직물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삼베는 가장 오래된 직물이고 전국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직조되고 활용된 직물이다.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이 1490년에 펴낸 『조선부朝鮮賦』에서 '포이직마'(布而織麻), 곧 조선의 포(직물)는 [[마]]로 만든다고 한 것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
삼베는 대마의 껍질을 벗겨 가늘게 찢어 실로 만들어서 짠 직물이다. [[무명 (옷감)|무명]], [[모시]], [[명주]]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직물이다. 삼베는 대마를 재배하여 껍질을 벗겨 가늘게 째서 실로 만들어 여러 공정을 거친 후에 베틀에서 짠 직물이다. 따라서 동물성 직물인 명주와 달리 삼베는 무명, 모시와 마찬가지로 식물성 직물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삼베는 가장 오래된 직물이고 전국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직조되고 활용된 직물이다.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이 1490년에 펴낸 『조선부朝鮮賦』에서 '포이직마'(布而織麻), 곧 조선의 포(직물)는 [[마]]로 만든다고 한 것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용도상으로 보면 삼베는 모시와 마찬가지로 통기성이 좋아서 기본적으로 여름철 옷을 만드는 직물이었고, 또한 상례에도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이후 공장제 직물이 보급되면서 생산량이 급감하였다. 1976년에 대마관리법이 시행되면서 전국적으로 대마를 재배하여 삼베를 생산하는 곳이 제한되었다. 오늘날 삼베는 극히 부분적으로 하절기 외출복 재료로 쓰이고, 대부분 수의를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용도상으로 보면 삼베는 모시와 마찬가지로 통기성이 좋아서 기본적으로 여름철 옷을 만드는 직물이었고, 또한 상례에도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이후 공장제 직물이 보급되면서 생산량이 급감하였다. 1976년에 대마관리법이 시행되면서 전국적으로 대마를 재배하여 삼베를 생산하는 곳이 제한되었다. 오늘날 삼베는 극히 부분적으로 하절기 외출복 재료로 쓰이고, 대부분 수의를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36번째 줄: 36번째 줄:
  
 
== 특징 및 의의 ==
 
== 특징 및 의의 ==
삼베는 전통적으로 모든 직물 가운데서 일반적이면서 서민적인 직물이었다. 명주는 비단으로서 고급 직물이었고, 모시는 날씨가 추워지면 부서질 정도로 질기지 못하였으며, 무명은 목화를 재배한 이후에 등장한 직물이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삼베는 실용적 차원에서 여름철 옷이나 홑이불처럼 무더운 여름철을 나기 위한 직물로 사용되었다. 삼베는 의미적 차원에서 상례용으로 널리 쓰였는데, 그것은 예서에 염포·상포·상복을 삼베로 짓는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서민적인 직물인 삼베로 상례를 치러야만 모든 사람들이 상례를 치를 수 있기 때문이고, 새수가 낮은 삼베로 상복을 만든 것은 부모님이 돌아가신 것은 불효 탓이고, 불효자는 곧 죄인이라는 전제에서 죄인 형상을 취하기 위해서이다. 삼베는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히 사라진 직물이다. 일부 지역에서만 삼베를 생산하는데, 산업사회에서 귀한 직물, 고급 직물로 부상하였다. 전통적인 무명은 광목으로 대체되었고, 명주는 기계직으로 대체되면서, 공장에서 생산하지 못하는 삼베는 상대적으로 수제품의 전통을 이어왔으므로, 다른 직물에 비해서 가치가 상승하였다.
+
삼베는 전통적으로 모든 직물 가운데서 일반적이면서 서민적인 직물이었다. [[명주]]는 비단으로서 고급 직물이었고, [[모시]]는 날씨가 추워지면 부서질 정도로 질기지 못하였으며, [[무명 (옷감)|무명]]은 [[목화]]를 재배한 이후에 등장한 [[직물]]이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삼베는 실용적 차원에서 여름철 [[옷]]이나 [[홑이불]]처럼 무더운 여름철을 나기 위한 [[직물]]로 사용되었다. 삼베는 의미적 차원에서 상례용으로 널리 쓰였는데, 그것은 예서에 염포·상포·상복을 삼베로 짓는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서민적인 직물인 삼베로 상례를 치러야만 모든 사람들이 상례를 치를 수 있기 때문이고, 새수가 낮은 삼베로 상복을 만든 것은 부모님이 돌아가신 것은 불효 탓이고, 불효자는 곧 죄인이라는 전제에서 죄인 형상을 취하기 위해서이다. 삼베는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히 사라진 직물이다. 일부 지역에서만 삼베를 생산하는데, 산업사회에서 귀한 직물, 고급 직물로 부상하였다. 전통적인 [[무명 (옷감)|무명]]은 [[광목]]으로 대체되었고, [[명주]]는 기계직으로 대체되면서, 공장에서 생산하지 못하는 삼베는 상대적으로 수제품의 전통을 이어왔으므로, 다른 직물에 비해서 가치가 상승하였다.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2022년 2월 23일 (수) 22:20 판

삼베
삼베섬유
삼베밧줄
삼베자루

삼베으로 짠 천으로 베·대마포라고도 한다. 삼 껍질의 안쪽에 있는 인피섬유(靭皮纖維)를 이용하여 짜는데, 수분을 빨리 흡수·배출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며 곰팡이를 억제하는 항균성과 항독성이 있다. 또한 견고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직물용 이외에 로프·그물·타이어 등을 만드는 데도 사용한다.

개요

삼베는 대마의 껍질을 벗겨 가늘게 찢어 실로 만들어서 짠 직물이다. 무명, 모시, 명주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직물이다. 삼베는 대마를 재배하여 껍질을 벗겨 가늘게 째서 실로 만들어 여러 공정을 거친 후에 베틀에서 짠 직물이다. 따라서 동물성 직물인 명주와 달리 삼베는 무명, 모시와 마찬가지로 식물성 직물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삼베는 가장 오래된 직물이고 전국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직조되고 활용된 직물이다.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이 1490년에 펴낸 『조선부朝鮮賦』에서 '포이직마'(布而織麻), 곧 조선의 포(직물)는 로 만든다고 한 것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용도상으로 보면 삼베는 모시와 마찬가지로 통기성이 좋아서 기본적으로 여름철 옷을 만드는 직물이었고, 또한 상례에도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이후 공장제 직물이 보급되면서 생산량이 급감하였다. 1976년에 대마관리법이 시행되면서 전국적으로 대마를 재배하여 삼베를 생산하는 곳이 제한되었다. 오늘날 삼베는 극히 부분적으로 하절기 외출복 재료로 쓰이고, 대부분 수의를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역사

삼베는 베라고도 불린다. 또, 한자어로는 마(麻)·마포(麻布)·포(布)라고도 한다.『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예(濊)와 변(弁)·진(辰)에 마가 있었음이 기록되어 있으며, 『삼국유사』에는 가락국에서 허왕후(許王后)의 나라인 아유타국에 포(布)를 보낸 기록이 있다. 특히 변·진에서는 광폭세포(廣幅細布)를 제직한 사실이 나타나, 일찍이 우리 나라에서 삼을 재배해 제직했으며, 제직 기술도 발달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은 서기전 3, 2세기경 일본의 조문만기(繩文晩期) 또는 야요이조기(彌生早期)에 우리 나라에서 일본에 전파했으며 그 제직 기술도 전파한 것으로 나타난다. 중국의 동월(董越)이 『조선부 朝鮮賦』에서 '포이직마'(布而織麻), 곧 조선의 포(직물)는 마로 만든다고 한 것과 같이 우리 나라에서는 (綿)이 일반화되기 전에는 마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삼은 일찍이 구석기시대에도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는데, 신석기시대 이후 마는 세계 각처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우리 나라와 중국에서는 일반의료로서 외에도 의례복식(儀禮服飾)의 자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예로부터 삼베는 포폭에 일정한 규격이 있었는데 조선시대의 『국조오례의 國朝五禮儀』에 상복(喪服)의 포폭이 '1척 6촌'이라는 기록이 있으며, 또 '고자포폭활 2척 2촌(古者布幅闊二尺二寸)'이라고 하는 기록이 있다. 또 조선 말의 『탁지준절 度支準折』에는 마포의 포폭이 7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국조오례의』의 계량척은 주척(周尺)이며 『탁지준절』의 계량척은 조선시대의 포백척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하여 이전에는 포폭이 약 50㎝였고 조선시대에는 36㎝ 정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시대 유풍포의 포폭이 36㎝ 정도인 것으로 보아 『국조오례의』의 고자란 적어도 고려시대 이전이라고 하겠다. 중국의 경우도 포폭이 2척2촌이었으므로 우리 나라와 같았음을 알 수 있다.

삼베는 포의 품질을 포의 정세도로써 가늠하는데, 정세도는 포폭간에 정경된 날실(경사)의 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한 포폭간에 80올의 날실이 정경되었을 때를 1승(升)이라고 하며 승수가 커질수록 섬세해지는데, 중국의 경우는 30승이 최정포(最精布)이나 우리 나라에서는 40승포까지도 제직해 당나라에 보낸 기록이 있어, 우리 나라가 중국보다 더 섬세한 대마포를 제직했음이 나타난다.

사용에 있어서도 중국의 경우 15승이 조복(朝服)에 사용되어 의복의 최고 승수였는데, 신라에서는 28승까지 의복 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식금제의 기록이 있어, 중국보다 훨씬 섬세한 포로 의복을 지어 입었음이 나타난다.

이것은 우리 민족의 미적 특성이 섬세, 단아한 데 있었기 때문으로 보이며, 세문청동기(細文靑銅器)의 기술이 뛰어났듯이 제직 기술에 있어서도 동아시아 지역에서 걸출한 세직물(細織物) 제직 기술을 보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베는 삼국시대와 그 이전에는 마·마포·포·세포로 명명되었으나,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마·마포·포·세포·세중마포(細中麻布)·흑마포(黑麻布)·생평포(生平布)·생중포(生中布)·소평포(小平布)·광평포·중포·관포 등으로 명명되어 제직되었다. 특히 고려의 세포와 흑마포는 특산물이었다.조선시대에는 북포(北布)·영포(嶺布)·안동포(安東布)·강포(江布) 등 좋은 품질의 삼베가 제직되었다. 북포는 발내포(鉢內布)라고도 했는데, 밥바리 안에 한 필의 베가 다 들어갈 정도로 섬세하다고 하여 이와 같이 명명된 것이라고 한다. 이 밖에 아청포·청포·홍포·황포·흑포 등 염색포도 있었다.

오늘날까지도 삼베는 수직으로 제직되고 있다. 특히 곡성(谷城)의 돌실나이와 안동포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삼의 재배·수확·제사·제직 기술을 전승하고 있다.

삼베의 직조

삼베를 직조하기 위해서는 대마 농사에서부터 베틀로 짜기까지 긴 공정을 거친다. 대마 농사를 지은 후 전체 공정을 총칭하여 '삼베길쌈'이라고 부른다. 먼저 봄에 대마씨를 빽빽하게 파종하여 대마가 곧고 가늘며 키가 크게 자라도록 한다. 초여름에 대마를 베어서 단으로 묶어 '삼굿'(삼구덩이라는 뜻, 광복 이후 초대형 철제 솥을 이용)에 눕혀서 증기로 익힌(이런 과정을 ‘삼굿한다’고 함) 다음 껍질을 벗긴다. 증기로 익히는 것은 대마의 껍질이 잘 벗겨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 껍질을 가늘게 째면 실처럼 되는데, 여기서부터 삼실을 잇는 삼삼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두 종류의 삼베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삼삼기를 한 후에 잿물에 익혀서(숙성시켜서) 생산하는 익냉이삼베[熟布]이고, 다른 하나는 잿물에 익히지 않고 생산하는 생냉이삼베(生布)이다. 여기서 '냉이'는 '낳이'에서 온 말인데, '낳이'는 낳은 것, 생산한 것이라는 뜻이다. 익냉이의 경우 삼삼기를 할 때 대마의 껍질 가운데 섬유질이 없는 겉껍질을 벗기지 않는다. 삼삼기가 끝난 후에 물레로 돌려서 삼실을 꼰 다음, 삼실을 잿물로 익혀서 물에 씻으면 겉껍질이 제거된다. 반면 생냉이는 대마의 겉껍질을 처음부터 벗긴 다음 속껍질만 갖고 삼삼기를 하고, 날실[經絲]을 삼을 때 무릎 위에 올려놓고 손바닥으로 비벼서 꼰다. 하지만, 생냉이를 직조하기 위한 씨실(緯絲)을 삼을 때는 비벼서 꼬지 않는다. 익냉이는 전국적으로 일반적인 삼베이며, 생냉이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안동포가 대표적이다.

특징 및 의의

삼베는 전통적으로 모든 직물 가운데서 일반적이면서 서민적인 직물이었다. 명주는 비단으로서 고급 직물이었고, 모시는 날씨가 추워지면 부서질 정도로 질기지 못하였으며, 무명목화를 재배한 이후에 등장한 직물이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삼베는 실용적 차원에서 여름철 이나 홑이불처럼 무더운 여름철을 나기 위한 직물로 사용되었다. 삼베는 의미적 차원에서 상례용으로 널리 쓰였는데, 그것은 예서에 염포·상포·상복을 삼베로 짓는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서민적인 직물인 삼베로 상례를 치러야만 모든 사람들이 상례를 치를 수 있기 때문이고, 새수가 낮은 삼베로 상복을 만든 것은 부모님이 돌아가신 것은 불효 탓이고, 불효자는 곧 죄인이라는 전제에서 죄인 형상을 취하기 위해서이다. 삼베는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히 사라진 직물이다. 일부 지역에서만 삼베를 생산하는데, 산업사회에서 귀한 직물, 고급 직물로 부상하였다. 전통적인 무명광목으로 대체되었고, 명주는 기계직으로 대체되면서, 공장에서 생산하지 못하는 삼베는 상대적으로 수제품의 전통을 이어왔으므로, 다른 직물에 비해서 가치가 상승하였다.

참고자료

  • 삼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삼베〉, 《위키백과》
  • 삼베〉, 《두산백과》
  • 삼베〉,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대마(삼베)〉,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삼베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