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방(blend, mixed spinning)은 2종 이상의 이종(異種) 섬유를 혼합하여 방적하는 것이다. 미리 이종의 섬유를 혼합하여 두는 방법과 전방(前紡) 공정에서 혼방하는 방법이 있다. 혼방작업에서 실로 만든 것이 혼방사이고, 날실·씨실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혼방사를 사용한 직물이 혼방직물이다.
개요
최근 인조섬유의 종류가 대단히 많아지고, 따라서 여러 가지 섬유의 혼방 가능성이 매우 증대되어 새로운 혼방 기술의 필요성이 특히 커졌다. 양모-나일론, 면-테토론, 양모-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합성 섬유, 목면-나일론 등의 혼방은 실용화되어 좋은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혼방을 할 때에는 혼합되는 섬유의 길이, 두께, 강도, 불순물의 함유 정도 등을 충분히 조사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 각 섬유의 방적성 예를 들면 정전기의 발생 정도, 클림프의 다소, 표면 상태 등의 고려도 필요하다. 앞으로 더욱 혼방은 발달할 것이다.
혼방은 한 가닥의 실에 섬유를 고르게 혼방해야 하는데, 방적공정 중의 어느 공정에서 행하느냐에 따라 원면혼방(原綿混紡), 랩 혼방, 슬라이버 혼방 등으로 구분된다. 원면혼방은 혼타면공정(混打綿工程) 전에, 랩 혼방은 소면공정(梳綿工程) 전에, 또 슬라이버 혼방은 연조공정(練條工程)에서 행한다. 섬유의 종류나 성능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방법을 택하게 된다.
혼방의 조합효과는 혼방섬유의 조합방식과 혼방률에 따라 결정된다. 옛날에는 천연섬유와 천연섬유의 혼방이었으나, 최근에는 합성섬유와 천연섬유, 화학섬유와 천연섬유, 합성섬유와 화학섬유, 화학섬유와 화학섬유, 합성섬유와 합성섬유 등과 또 두 가지만의 혼방이 아니고 세 가지 이상의 혼방도 있어, 해가 갈수록 더 다양화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이 중 화학합성섬유는 굵기·길이·모양 등을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면이나 양모 등 천연섬유와 혼합하여 만들 수 있고, 본래 가지고 있는 천연섬유의 성능과 결합하여 최적의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대표적인 제품의 혼방률은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테트론·테릴렌 등)와 면은 65∼75%, 35∼25%, 폴리아크릴(보넬·캐시밀론 등)과 양모는 50∼55%, 50∼45%, 나일론과 양모는 20∼30%, 80∼70%로 되어 있다.
혼방의 목적
- 좀 더 나은 성능의 조합을 위한 직물을 생산하기 위하여서 만들어진다. 혼방이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천의 적극적인 성능을 구현하기는 어렵지만 혼방은 나쁜 성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내구성이 중요한 경우 면이나 양모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와 혼방은 일정부분 면이나 양모의 안락함은 유지하면서 강도나 내마모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100퍼센트 면직물은 폴리에스터/면 혼방과 같이 내구성이 좋지 않고 폴리에스터/면 혼방은 100퍼센트 면직물보다 흡습성이 좋지 않다.
- 방적공정, 제직공정, 가공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행한다.
- 더 나은 질감, 촉감 및 외관을 얻을 수 있기 위하여 행한다. 소량의 캐시미어는 양모천의 매끄러움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소량의 레이온은 면직물의 광택이나 부드러움을 준다. 다른 수축 성질을 갖는 섬유들이 혼방되면 좀 더 부피가 많이 나가게 되는 천을 얻거나 좀 더 진짜와 같은 인조모피천을 얻을 수 있다.
- 섬유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고가의 섬유와 저렴한 섬유를 섞어 사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라벨링이 요구되는 제품의 경우 부도덕한 라벨링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다.
- 이욕 염색이나 특색있는 색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염료 친화성이 다른 섬유를 혼방하여 사용하고 이욕 염색 또는 단일 염색을 하게 되면 이러한 효과가 나타난다. 혼방은 복잡하고 고가의 공정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성질의 조합은 영구적으로 계속될 것이다. 또한 혼방은 천의 나은 품질, 외관, 촉감 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혼방, 교직, 조합
혼방(blend)은 다른 종류의 섬유, 길이, 직경, 색깔의 섬유를 섞어 방적하여 방적사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본질적인 혼방은 계획된 비율로 하나의 실에 두 가지 섬유가 존재하는 것이다. 다른 종류의 섬유를 분리시키기 힘들다.
교직(mixture)은 다른 형태의 실이 하나의 직물 안에 있는 것을 말한다. 교직에서는 한 종류의 실이 경사로 사용되고 다른 종류의 실이 위사로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의 직물을 분해하면 모든 경사는 한 가지 섬유로 구성되고 모든 위사는 다른 한가지의 섬유로 구성되게 된다.
조합(combination, 혼섬)은 단사들이 사용된다. 적어도 단사의 하나는 다른 단사의 성분과 다른 섬유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장식합사의 한 성분은 금속모노필라멘트를 혼섬하여 천을 만듬으로써 반짝이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혼방, 교직, 혼섬 등은 하나의 섬유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와 다른 성질을 가진 직물을 만들수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혼방이다.
참고자료
- 〈혼방〉, 《두산백과》
- 〈혼방〉, 《화학대사전》
- 구매통, 〈섬유혼방〉, 《네이버 블로그》, 2010-03-02
같이 보기
이 혼방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산업 : 산업,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건설,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 원소,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토지
|
|
소재
|
감광재 • 경화제 • 그래핀볼 • 그리스 • 금박 • 금속 • 금속재료 • 기름 • 나노소재 • 나프타 • 내화재 • 단열재 • 단일소재 • 도금 • 도전재 • 도체 • 동박 • 마감재 • 마찰재 • 막 • 매질 • 메타물질 • 무기재료 • 바닥재 • 박막 • 반도체 • 방부제 • 방음재 • 방진재 • 방청제 • 벽지 • 보강재 • 보온재 • 복합동박 • 복합소재 • 부도체 • 부산물 • 부식 • 부자재 • 불순물 • 살균제 • 소재 • 쇠붙이 • 수용액 • 시료 • 신소재 • 알루미늄 호일 • 에어로겔 • 엑소일렉트로겐 • 연마재 • 외장재 • 용매 • 용액 • 용융염 • 용질 • 원료 • 원소재 • 원자재 • 원재료 • 유기재료 • 유체 • 윤활유(윤활제) • 융해 • 은박 • 은박지 • 잉곳 • 자성체 • 자원 • 자재 • 재료 • 재질 • 전고체 • 전구체 • 절연체 • 접착제 • 접합재 • 접합제 • 제진재 • 주괴 • 중간재 • 증기 • 증착 • 차음재 • 천연소재 • 천연자원 • 천장재 • 철스크랩 • 첨가제 • 첨단소재 • 초전도체 • 촉매 • 컴파운드 • 코르크 • 코팅 • 쿠킹호일 • 탄소소재 • 페인트 • 포장재 • 폭발물 • 피복 • 피복재 • 호일(포일) • 흡음재
|
|
암석
|
각섬암(곱돌) • 간석기(마제석기) • 감람석 • 곡옥 • 골재 • 광물 • 광석 • 구리(동) • 규산염 • 규암(차돌) • 금 • 녹색편암 • 다이아몬드 • 대리석(대리암) • 돌 • 돌멩이 • 뗀석기(타제석기) • 루비 • 마그마 • 머드 • 모래 • 무쇠(주철) • 무연탄 • 바위 • 반려암 • 방해석 • 백금 • 백운암 • 벽돌 • 변성암 • 보석 • 비취 • 사암 • 사장석 • 사파이어 • 석고 • 석기 • 석영(수정, 쿼츠) • 석재 • 석탄 • 석회 • 석회암(석회석) • 섬록암 • 세라믹 • 셰일(혈암) • 쇠 • 수성암 • 스테인리스강 • 스피넬(첨정석) • 슬래그 • 시멘트 • 심성암 • 아메트린 • 아스콘 • 암석 • 암편 • 에메랄드 • 역암 • 역청탄 • 오석 • 오일셰일(함유셰일, 유혈암) • 오팔 • 옥 • 용암 • 운모 • 운석 • 원료탄 • 원석 • 유리 • 은 • 응회암 • 이암 • 이판암 • 인공 다이아몬드 • 인광석 • 자갈 • 자수정 • 잔석기 • 장석 • 점토(찰흙) • 점판암 • 정장석 • 조암광물 • 조흔색 • 종유석 • 준광물 • 지르콘 • 지하자원 • 진흙 • 천연암석 • 철광석 • 철기 • 철재 • 청금석 • 청동기 • 콘크리트 • 큐빅 • 토사 • 토파즈 • 퇴적암 • 편마암 • 편암 • 현무암 • 혼펠스 • 화강암 • 화산암 • 화성암 • 황철석 • 휘석 • 흑요석 • 흙 • 희토류
|
|
섬유
|
가죽 • 거위털(구스다운) • 거즈 • 고급가죽 • 고무줄 • 광목 • 광물섬유 • 광섬유 • 극세사 • 금속섬유 • 기모 • 깃털 • 끈 • 나노셀룰로스 • 나일론 • 나파가죽 • 낙타털 • 네오프렌 • 노르디코 • 누비 • 능직 • 다기능성 탄소나노튜브 섬유 • 다운 • 대마 • 데님 • 동물섬유 • 돼지가죽 • 라이오셀(리오셀) • 레이온(인견) • 리넨(린넨) • 마 • 마닐라삼 • 마닐라지 • 마분지 • 말가죽 • 메쉬 • 면 • 면직물 • 면화 • 명주 • 모 • 모다크릴 섬유 • 모달 • 모시 • 모직물 • 모피 • 목재 • 목화 • 무기섬유 • 무명 • 밍크털 • 반합성섬유 • 밧줄 • 방모 • 방모사 • 방모직물 • 방적 • 방직 • 방직섬유 • 뱀가죽 • 벨로아 • 벨벳 • 벨보아 • 보풀 • 부직포 • 붕소섬유 • 비건가죽 • 비단(실크) • 비스코스 • 삼베 • 새끼줄 • 석고보드 • 석면 • 석영섬유 • 섬유 • 세라믹섬유 • 셀룰로스 • 소가죽 • 소모 • 소모사 • 소모직물 • 솜 • 솜털 • 수자직(주자직) • 순모 • 슈퍼섬유 • 스웨이드(세무) • 스판덱스 • 시어서커 • 식물섬유 • 실 • 실리카섬유 • 아라미드 • 아세테이트 섬유 • 아크릴 섬유 • 악어가죽 • 알칸타라 • 암면 • 양가죽 • 양모 • 양모사 • 양모직물 • 오리털(덕다운) • 옷감 • 우레탄 • 울 • 원단 • 원모 • 원목 • 원사 • 유기섬유 • 유리섬유 • 인조가죽 • 잔털 • 재생섬유 • 종이 • 직물 • 짚 • 천 • 천연가죽 • 천연섬유 • 천연펄프 • 캐시미어 • 코듀로이(골덴) • 타조가죽 • 탄소섬유 • 탄화규소섬유 • 털 • 털실 • 텐셀 • 토끼털 • 패브리칸 • 펄프 • 평직 • 프로믹스 • 플란넬 • 플리스(폴라폴리스) • 피혁 • 합성섬유 • 합판 • 혼방 • 화학섬유(인조섬유)
|
|
수지 (플라스틱)
|
ABS • EVA • PVC • 고무 • 공중합체 • 라텍스 • 레진 • 모노머 • 목타르 • 바이오플라스틱 • 본드 • 부틸 • 부틸고무 • 부틸테이프 • 비닐 • 비닐기 • 비닐론(비날론) • 생고무 • 생분해성 플라스틱 • 송진 • 수액 • 수지 • 스티로폼 • 스펀지 • 시트 몰딩 컴파운드(SMC) • 실리콘 • 아스팔트 • 아크릴 • 에폭시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염화비닐 • 천연고무 • 천연수지 • 콜타르 • 타르 • 페놀수지 •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페트병 • 포지드 카본 • 폴리머(중합체) • 폴리비닐알코올 • 폴리실리콘 • 폴리아미드 필름 • 폴리아크릴 •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 폴리에스테르(폴리에스터) • 폴리에틸렌 • 폴리염화비닐 • 폴리염화비닐라이덴 • 폴리올레핀 • 폴리우레탄 •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프로필렌 • 플라스틱 • 필름 • 합성고무 • 합성수지 • 호박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