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 플랫폼(Metaverse Platform)이란 가상, 초월, 추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 공간 또는 세상을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뜻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AR 클라우드, 매직 버스, 사이 벗, 스페이셜(Spatial) 인터넷이라고 불려왔다.
목차
등장
메타버스의 시작은 1992년 소셜 스노 크래시에서 시작되었다.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에서 게임, 영화, 소설 등은 메타버스 개념이 활용되고 있다. 그 예시로 영화 '메트릭스'와 게임 '동물의 숲', '포트나이트', '페이스북' 호라이즌 등이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소비문화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온라인 공간에서 오프라인과 비슷한 경험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수요가 증가하면서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다. 이전에는 서비스 제공자 중심이었다면, 현재는 사용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만들어 판매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신의 형태로 변화하였다.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하여 실제 경제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1]
종류
해외
로블록스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 중 하나인 로블록스(Roblox)가 있다. 이용자가 직접 게임을 개발, 공유하고 다른 이용자와 플레이하는 플랫폼이다. 로블록스는 2021년 3월 10일(미국 시각 기준) 상장했다. 미국 청소년 중에 50%이상이 가입, 월간 이용자수 (MAU)수가 1억 6600만 명, 하루 평균 이용자(DAU)수 가 3713만명에 이르는 게임을 중점으로 하는 플랫폼이다. 게임 플랫폼으로서의 지위로 인해 로블록스는 다양한 인기 게임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2021년 5월 기준 로블록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게임은 매월 1,000만 명 이상의 활성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2020년 8월 기준으로 최소 20개의 게임이 10억 회 이상 실행되었으며, 최소 5,000개의 게임이 100만회 이상 실행되었다. 또한 2021년 5월 17일 기준으로 로블록스 내에는 적어도 4000만개 이상의 게임들이 존재한다.[2] 로블록스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즐길 수 있지만, 이 게임에서만 통용되는 가상화폐 로벅스(Robux)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1 로벅스는 약 0.0035달러에 해당하며 이용자가 플랫폼 내에서 게임/아이템을 구매하거나, 제작자가 전용 툴 혹은 액세사리 등을 판매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로블록스는 이용자가 게임을 직접 만드는 데 필요한 도구를 모아놓은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내놨다.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활용해 역할수행게임(RPG), 모험, 격투기, 장애물 넘기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만들어 로블록스에 올릴 수 있다. [3]캐릭터가 블럭의 형태를 하고 있어 마인크래프트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로블록스에서는 직육면체의 블록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와 블록이 존재한다. 가상 경험의 핵심은 리얼리티 엔진이다. 특허받은 고성능 크로스 플랫폼이자 실시간 시뮬레이션(simulation) 엔진으로, 기기의 역량에 맞게 충실도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엔진 자체가 초당 60프레임으로 구동되며, iPhone 4S에서부터 최신 게임용 PC까지 기기에 맞춰 조정된다. 사용자 수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플랫폼에서 570만 명 이상의 동시 사용자를 호스팅 했다. 로블록스의 보유 특허 현황은 2021년 4월 12일 기준 미국 94건, 중국 6건, 유럽 5건 그리고 한국 4건으로 총 109건이 검색되었다. 특허를 세부적으로 분석해보면, 가상공간에서 캐릭터나 건물을 구현하는 등의 샌드박스와 관련된 기술, 플랫폼 내에서의 특징적인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로 나눌 수 있다.[4]
어스 2
어스 2(Earth 2)는 2020년 4월에 시작한 가상의 지구를 실제 부동산처럼 사고파는 가상 부동산 거래게임이다. 이 지구를 통해 자원을 캐고, 건물을 짓고, 가상에서 물류를 유통 시키는 등의 활용을 할 수 있는 게임이다.[5] 온라인 공간에 구현한 가상 지구에서 가로·세로 각 10m 크기로 나뉜 땅(타일)을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다.[6] 지난해 11월 호주 개발자 셰인 아이작이 실제 지구(어스1)를 본뜬 가상의 디지털 세계를 표방하며 선보였다. 처음엔 몰입형 가상현실(VR) 등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게임 개발자 및 사용자들의 이용이 많았지만 올 초 세계적인 가상자산 투자 열기가 옮겨붙으면서 일반인 투자자들의 참여가 늘었다. 땅 소유자가 내놓은 매물을 사거나 경매를 제안한 뒤 운영사에 돈을 내고 가상 부동산을 구매하는 형식이다.[7] 물론 가상의 땅을 샀다고 해서 현실 세계에서까지 내 땅이 되는 것은 아니다. 장난스러운 게임처럼 보이는데 실제로 사람들이 쓰는 돈은 장난이 아니다.[6] 2021년 4월 기준 미국 이용자들의 자산가치만 총 3215 만달러(약 359억 원)에 달했다. 이탈리아는 810만 달러(약 90억 원)를 어스2의 가상 부동산에 투자했으며, 한국 이용자들은 745만 달러(약 83억 원)를 소비하였다.[8]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Minecraft)는 샌드박스 게임의 대표주자로서 2011년에 게임이 출시되었고, 2014년 마이크로소프트에 인수되었다. 네모난 블록을 쌓아 자기만의 건축물을 세우고 친구를 초대할 수도 있는, 높은 수준의 자유도를 자랑하는 샌드박스 게임이다. 가상 캠퍼스를 만들어 수업, 가상졸업식 등을 진행한다. 코로나로 인해 졸업식이 취소되자 아쉬워하던 아이들은마인크래프트 안에서 학교와 강당을 실제와 똑같이 만들고 그 안에 모여서 졸업식을 진행했다.[9] IP를 확장하여 장난감, 소설, 영화, 교육용 도구 등을 출시했다.[1]
메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2021년 3월에 열린 개발자 행사인 '이그나이트'에서 혼합현실(MR) 플랫폼 '메시(Mesh)'를 공개했다. 메시를 사용하면 전 세계 어디서나 현재 상태와 연결하고, 공간을 공유하고, 서로 협력할 수 있다. 메시 지원 혼합 현실 환경을 조직에 가져오면 가상 회의를 개선하고, 가상 디자인 세션을 수생하고, 다른 사람을 원격으로 지원하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몰입형 가상 모임 호스트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공유 공간에서 3D 아바타로 표시된다. 근접 및 공간 오디오를 통해 서로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사용자는 공유 3D 공간에서 콘텐츠를 시각화하고 주석을 붙일 수 있다.[10] 3D 입체 화면을 손짓 하나로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이언틱의 '포켓몬고'를 플레이 할 수 있다. 애저를 기반으로 구축된 메시는 혼합현실 기기인 홀로렌즈2와 결합하여 영화나 게임 등에 적용된다. 모바일 버전과는 달리 자연에서 뛰놀고 있는 포켓몬을 쓰다듬거나 먹이를 주는 행위가 가능하며, 자신의 포켓몬을 현실에 꺼내서 다른 트레이너 실감 나는 경쟁을 벌일 수도 있다.[11] 홀로렌즈2와 같은 AR 기기뿐만 아니라 알트스페이스VR이 작동되는 여러 가상 현실 헤드셋, 그 외에도 윈도 10 PC와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를 이용해 상호 작용할 수 있다.[12] 또한, 메시와 호환되는 기기를 착용하면 서로 다른 곳에 있는 사람도 같은 공간에 있는 것처럼 느끼고 대화할 수 있다. 메시는 팀즈(Microsoft Teams)와 다이나믹스365(Microsoft Dynamics 365) 등과 통합될 예정이다. [13] 수많은 사람이 온라인에서 이용할 때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핵심이다. 상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몰입감 높은 3D 존재, 설계 세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한 공간지도, 3D 장면 및 모델에 대한 홀로그램 렌더링, 다중 사용자 동기화처럼 상업적 수준의 처리 성능을 제공한다.
포트나이트
Z세대 소셜플랫폼, 세계 1위 게임 '포트나이트(Minecraft)'는 에픽 게임즈(Epic Games)에서 개발하여 2017년에 출시한 온라인 비디오 게임이다. 전 세계 이용자가 2020년 3억5천만 명을 넘어섰다. 포트나이트 게임 화폐인 브이벅스(V 벅스) 매출만 2018~2019년 2년간 90억 달러(약 10조1000억 원)에 달했다. 3억5000만 명이 한 달간 32억 시간을 이곳에서 보낸 결과다. 기기에 상관없이 접속할 수 있는 개방성이 포트나이트의 장점이다.[14] 에픽온라인서비스를 거치면 윈도, 맥, 플레이스테이션, 엑스박스, 닌텐도 등이 연결된다. 공격적인 행위가 금지된 평화 지대인 '파티로얄(Party Royale)'이 존재한다. 포트나이트에 참여한 이용자들이 함께 어울리며 즐겁고 편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다. 콘서트, 영화 상영 등이 가능하다. 파티로얄 안에 '플라자'라는 커뮤니티의 중심지가 있는데, 물감 총 쏘기 같은 장난스러운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흥미로운 아이템들이 들어 있는 자동판매기를 이용해 놀이를 즐길 수도 있다. ‘보트 경주’ 코스에서는 모터보트를 조종해 기록에 도전할 수 있고, ‘스카이다이빙 코스’도 있다. 전투 게임 안에 에버랜드 같은 놀이공원이 있는 것이다.[15] 포트나이트는 미국의 10대들에게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 또래를 만나서 소통하는 플랫폼이다. Z세대에게 가상공간은 분리된 곳이 아니다. 이곳에 있는 ‘빅 스크린 원형극장’과 ‘메인 스테이지’에서는 유명 가수들의 공연이 계속해서 열리고 있다. 이곳에서 영화 테넛의 트레일러, 방탄소년단(BTS)의 다이너마이트(Dynamite) 뮤직비디오 안무 버전을 최초 공개했다. 미국의 유명 래퍼 트래비스 스콧(Travis Scott)은 2020년 4월, 메타버스 공간에서 자신의 콘서트를 열었다. 진행된 콘서트에는 총 1,230만 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9] 포트나이트의 '배틀로얄(Battle Royale)'은 솔로, 듀오, 스쿼드 뿐만 아니라 기간 한정 모드를 선택하여 플레이 할 수 있고 100명의 플레이어 중 전투를 통해 최후의 생존 1인 또는 1팀만이 승리하는 게임이다. 배틀버스에서 원하는 지역으로 낙하한 후, 아이템 및 자재를 수집하면서 필요에 따라 교전을 실행하고 시간이 지날 때마다 몰려드는 폭풍에 따라 안전구역으로 이동하며 플레이하게 된다. 다양한 무기와 건설을 통해 창의적인 플레이가 가능한 게임 모드다.[16]
국내
유토 버스
국내 최초로 메타버스 플랫폼이 ICT 융복합 문화 벨 리 유토 버스에 도입된다. 유토 버스에 도입된 메타플랫폼은 크게 투자자를 위한 메타버스 증권거래소, 창업가를 위한 스마트밸리 솔루션으로 나뉜다. 메타버스라는 공간에서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기존 실물자산의 거래가 가능하며 별도의 사무실에 입주할 필요 없이 상품기획, 생산, 물류, 홍보, 판매에 이르는 사업에 필요한 모든 인프라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제품 기획과 개발 및 양산, 주문부터 출하까지 모든 제조 과정을 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한 유토버스의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은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SD카드 개인 애플리케이션 분산 서버 기술은 사업자가 쉽게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하는 융합형 오픈마켓을 구축하도록 돕는다.
제페토
제페토(Zepeto)는 네이버 계열사 스노우에서 분사해 나온 네이버제트에서 2018년 8에 출시한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2018년 출시 후 2억 명 이상의 글로벌 이용자를 사로잡은 제페토는 그간 다양한 테마의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들이 만나 소통하는 기능을 집중했다. 이용자의 비율은 해외 이용자 비중이 90%이고, 이용자의 80%가 10대다.제페토가 주목받는 이유는 강력한 아바타 구현 기술력으로 증강현실(AR) 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찍은 '셀카'를 자신과 닮았으면서 조금 더 예쁜 3D를 아바타를 만들어준다. 단순히 자신의 3D아바타를 만드는데 그치지 않고, 아바타를 통해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다. 여기에 브랜드 아이템을 만들고,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의 옷이나 헤어스타일 반영한 아이템을 사고팔며, 아이돌의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활용해 2차, 3차 창작물을 공유하는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 제페토는 글로벌 명품 브래드 '구찌(GUCCI)의 신상품 가상 공간 ' 구찌 빌라'를 설치해, 한 달 만에 방문객 130만 명을 넘겼다. 나이키 또한 협업해 내놓은 운동화 아이템은 500만 개가 팔렸다.[17] 제페토에는 2만 개 이상의 맵이 있고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네이버제트가 직접 개발한 '공식맵'과 제페토 이용자가 만든 맵이다. 현재는 공식맵에만 점프, 슈팅, 탈출, 주행, 모험과 같은 게임 요소가 포함돼 있다. 하지만 올 하반기부터는 일반 이용자도 이런 게임 기능을 넣어서 맵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일반 이용자가 만든 맵에서의 활동은 모여 앉는 '카페'나 '파티', 사진을 찍는 '포토스팟', '공연' 등으로 제한되어 있다. 게임이 포함된 맵의 인기가 높다. 이용자가 제페토 맵과 아이템을 만들고 수익을 낼 수 있도록 2020년 4월 '제페토 스튜디오'를 출시했다. 제페토에서 판매되는 아이템 가운데 80% 이상이 이용자가 제페토 스튜디오를 활용해 직접 만든 것이다. 제페토 스튜디오 이용자는 이미 70만 명을 넘어섰고, 제출된 아이템 수는 200만 개에 달한다. 이용자가 제작한 아이템도 2500만 개 이상 팔렸다. 제페토 내 가상화폐인 '코인'과 '젬'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3]
위버스
위버스(Weverse)는 HYBE(구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 위버스컴퍼니에서 개발 및 운영하고 있는 팬 커뮤니티 역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글로벌 팬덤을 위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하에 팬덤 문화를 혁신하겠다는 WEVERSE COMPANY의 비전에 공감하는 개발자들이 모여 만들었으며, 2020년 9월 기준 가입자 총 1,347만 명을 보유한 대형 플랫폼으로 성장하였다.[18] 누적 앱 다운로드 수는 2021년 2월 기준 2500만 건을 기록했다. 전 세계 팬 커뮤니티 플랫폼 가운데 최다 월간 이용자 수(MAU)를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팬덤을 바탕으로 향후 베뉴라이브와의 협업 등을 통해 인앱 서비스를 메타버스로 확장, 보다 다양한 사업 모델을 구상할 수 있다. 빅히트의 BTS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아티스트로,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포트나이트에서 뮤직비디오를 공개하고 제페토에서 의상 아이템을 판매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19]
유니버스
'유니버스(UNIVERSE)'는 엔씨소프트(NCSOFT CORPORATION)에서 운영하는 케이팝(K-POP) 엔터테인먼트 앱이다. 2021년 1월 28일에 134개국에 동시 출시했다. 다양한 온·오프라인 팬덤(Fandom) 활동을 모바일에서 즐길 수 있는 올인원(All-in-one) 플랫폼이다. NC는 보유한 IT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와 결합한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와 글로벌 K팝 팬들이 네트워킹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함께 제공한다. 뮤직 비디오, 예능, 화보, 라디오 등 독점 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기능과 아티스트와 팬들이 자유롭게 소통하는 공간 FNS(Fan Network Service)’ 마지막으로 아티스트 관련 영상, 팬아트 등을 제작하고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기능이 있다.
비즈니스 모델
플랫폼의 수익 창출
구독모델과 콘텐츠 및 아이템 판매, 광고와 인앱(in-app)결제 시스템 등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이용자 가 광고를 시청할 경우 일정 재화를 얻을 수 있으 며, 제페토는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콘텐츠 개발 시 구찌, 나이키 등과의 협업을 통해 B2B 수익도 창출하고 있다.[1]
이용자의 수익 창출
현재 이용자들이 직접 콘텐 츠를 제작,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로블록스를 예시로 게임개발자에게는 70%, 아바타와 아이템 개발자에게는 수익의 30%를 로벅스로 지급한다. 제페토 또한 디자인을 등록하면 심사를 거쳐 판매가 가능하다. 판매 수익은 자체 재화인 ZEM을 통해 이루어진다. 로블록스와 제페토 모두 추후 환금이 가능하다.[1]
각주
- ↑ 1.0 1.1 1.2 1.3 박지혜, 〈다가오는 메타버스 시대, 차세대 콘텐츠산업의 방향과 시사점〉,《KIET 산업연구원》 , 2021-05-20
- ↑ 〈로블록스〉,《위키백과》
- ↑ 3.0 3.1 임영신 기자, 〈(단독) '2억명 메타버스' 네이버 제페토, 한국판 로블록스 만든다〉,《매일경제》 , 2021-06-18
- ↑ 강정빈 변리사,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 "Roblox" BM 특허 분석〉,《아이픽스특허사무소》 , 2021-04-12
- ↑ 신동진 기자, 〈‘가상+부동산’이라 열풍?… ‘어스2’ 한국인 자산 두 달새 두 배로〉,《donaA.com》 , 2021-06-07
- ↑ 6.0 6.1 정다운 기자 〈가상부동산 '어스2' 써보니 ... 한국땅 30평에 14불?〉,《매일경제》 , 2021-04-07
- ↑ 하고싶은게 많은 사람 Sisir, 〈메타버스의 시대?! 어스(earth2)란 무엇인가?〉,《시실의 IT/일상이야기》 , 2021-04-05
- ↑ 임주형 기자〈가상화폐 이어 가상부동산…'메타버스'에 빠진 사람들 (임주형의 테크토크)〉,《아시아경제》 , 2021-06-07
- ↑ 9.0 9.1 이동재 기자, 〈메타버스의 그림자...가상현실 세계에도 할렘가가 있을까?〉,《HelloT》 , 2021-05-06
- ↑ 〈Microsoft Mesh(미리 보기)개요〉,《Microsoft》, 2021-03-10
- ↑ 이재오 기자, 〈마블 영화에서 보던 풍경, MS 혼합현실 플랫폼 ‘메시’ 공개〉,《게임메카》, 2021-03-03
- ↑ 칫솔 , 〈마이크로소프트 메시의 올바른 사용 설명서를 보여준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CHITSOL》, 2021-03-20
- ↑ 최홍진 기자, 〈MS, 메타버스의 설계자 '우뚝'〉,《이코노믹리뷰》, 2021-04-12
- ↑ 이지현, 〈게임社부터 빅테크까지 '메타버스 골드러시'〉,《한경닷컴》, 2021-05-27
- ↑ 고찬수, 〈(미래 미디어 이야기) 메타버스를 선점할 1순위 후보 : 포트나이트〉,《모비인사이드》, 2021-02-02
- ↑ 〈포트나이트〉,《네이버 게임》
- ↑ 멘토K, 〈메타버스 플랫폼, 네이버Z, "제페토(Zepeto)" 어떤 서비스이길래..〉,《김용한의 전략 인사이트》, 2021-03-06
- ↑ 〈Weverse〉,《위키백과》
- ↑ 권새나, 〈(톱픽리포트)빅히트 위버스+메타버스〉,《NEWS CAFE》, 2021-03-10
참고자료
- 박지혜, 〈다가오는 메타버스 시대, 차세대 콘텐츠산업의 방향과 시사점〉,《KIET 산업연구원》 , 2021-05-20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