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단군신화

위키원
(고조선의 건국 신화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단군신화(檀君神話)는 한국 최초의 나라로 여겨지는 고조선의 건국에 대한 이야기이다. 고조선 건국신화라고도 한다. 《삼국유사》나 《제왕운기》 등 고려 시대에 저술된 역사서에 처음 나오며, 《조선왕조실록》 등 조선 시대 여러 문헌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단군신화의 내용[편집]

삼국유사》(三國遺事)[1] 기이(紀異) 제1편에는 《고기》(古記)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옛날에 환인(桓因)의 서자[2] 환웅(桓雄)이 천하에 자주 뜻을 두어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三危太伯)[3]을 내려다 보니 인간을 널리 이롭게(홍익인간[弘益人間])할 만한지라, 이에 천부인(天符印) 3개를 주며 가서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이 무리 3천을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 신단수(神壇樹) 밑에 내려와 여기를 신시(神市)라고 하니 이로부터 환웅천왕이라 불렀다. 풍백(風伯), 우사(雨師),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穀), 명(命), 병(病), 형(刑), 선(善), 악(惡) 등 무릇 인간의 3백 60여 가지의 일을 주관하고 인간세상에 살며 다스리고 교화하였다.

이때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같은 굴에서 살면서 항상 신웅(환웅)에게 빌기를, “원컨대 (모습이) 변화하여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신웅이 신령스러운 쑥 한 타래와 마늘 20개를 주면서 이르기를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아니하면 곧 사람이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곰과 호랑이가 이것을 받아서 먹고 기(忌)[4]하였는데 삼칠일(三七日 : 21일) 만에 곰은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기하지 않아 사람이 되지 못하였다. 웅녀(熊女)는 그와 혼인할 사람이 없었으므로 항상 신단수 아래서 아이를 가지기를 빌었다. 이에 환웅이 이에 잠시 (사람으로) 변하고 그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으니 이름을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당고(唐高, [堯])가 즉위한 지 50년인 경인년에 평양성(平壤城)에 도읍하고 비로소 조선(朝鮮)이라 칭하였다. 또 도읍을 백악산 아사달(白岳山 阿斯達)에 옮겼으니 그 곳을 궁홀산(弓忽山) 또는 금며달(今㫆達)이라고도 한다. 나라를 다스리기 1천 5백 년이었다. 주(周)나라의 호왕(虎王, 무왕)이 즉위한 기묘년에 기자(箕子)를 조선(朝鮮)에 봉하니, 단군은 곧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겼다가 뒤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서 산신이 되니, 수(壽)가 1천 9백 8세이었다 한다.[5]

용어 설명[편집]

  • 환인(桓因) : 환웅의 아버지이자 단군의 할아버지로 해석한다. 신화상의 인물이며 실존했다는 뜻은 아니다.
  • 서자(庶子) : 장남이 아닌 아들을 말한다.
  • 환웅(桓雄) : 환인의 아들이자 단군의 아버지로 해석한다. 신화상의 인물이며 실존했다는 뜻은 아니다.
  • 삼위태백(三危太伯) : 삼위산과 태백산을 말한다는 주장도 있고, 삼위산 중 하나인 태백산이라는 해석도 있다.[6]
  • 홍익인간(弘益人間) :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 천부인(天符印) : 하늘이 내려주신 3개의 도장을 말한다.
  • 태백산(太伯山) : 문맥상 바로 앞에 나온 삼위태백을 말한다.
  • 신단수(神壇樹) : 신에게 제사 지내는 제단이 있는 나무를 말한다.
  • 신시(神市) : 신의 도시라는 뜻이다.
  • 풍백(風伯) : 바람을 다스리는 신이다.
  • 우사(雨師) : 비를 다스리는 신이다.
  • 운사(雲師) : 구름을 다스리는 신이다.
  • 화(化)하다 : 변하다는 뜻이다. 여기서는 곰과 호랑이가 사람으로 변한다는 뜻이다.
  • 신웅(神雄) : 환웅을 말한다.[7]
  • 기(忌)하다 : 기(忌)는 사전적 의미로 '꺼리다', '싫어하다'의 뜻이다. 곰과 호랑이가 쑥과 마늘을 먹으며, 싫지만 참는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 삼칠일(三七日) : 3*7일, 즉 21일을 말한다.
  • 웅녀(熊女) : 환웅의 부인이자 단군의 어머니이다. 곰이 쑥과 마늘을 먹고 여자가 되었기 때문에 웅녀라고 했다.
  • 단군왕검(檀君王儉) : 고조선을 세운 시조로 본다. 신화적 인물로서 실존 여부는 알 수 없다.
  • 당고(唐高) : 중국 신화에 나오는 요(堯) 임금을 말한다. 고려 정종의 이름이 요(堯)였기 때문에, 이 말을 피하여 당고라고 썼다.[8]
  • 경인(庚寅) : 경인년(庚寅年)을 말한다. 일연은 《고기(古記)》를 인용한 이 문장에 대해, "당고의 즉위 원년은 무진(戊辰)인즉 50년은 정사(丁巳)요 경인이 아니다. 아마 틀린 듯하다"라고 주석을 달았다.
  • 평양성(平壤城) : 오늘날의 평양시라는 주장도 있고, 다른 지역이라는 주장도 있다.
  • 조선(朝鮮) : 고조선을 말한다. 원래 단군이 세운 나라이름은 조선(朝鮮)인데 후세 사람들이 조선을 나라이름으로 사용하는 다른 여러 나라들과 구별하기 위해 옛 고(古)자를 앞에 붙여 고조선(古朝鮮)이라 하였다.
  • 백악산아사달(白岳山阿斯達) : 평양성에서 옮긴 고조선의 두번째 도읍지이다.
  • 궁홀산(弓忽山) : 백악산아사달의 다른 이름이다. 이병도는 '곰골'이라는 뜻이라고 해석하였다.
  • 금며달(今㫆達) : 백악산아사달의 다른 이름이다. 이병도는 '곰골'이라는 뜻이라고 해석하였다.
  • 주(周) : 중국의 주나라를 말한다. 상나라를 무너뜨리고 세운 나라이다.
  • 호왕(虎王) : 중국 주나라무(武)왕을 말한다. 고려 혜종의 이름이 무(武)였기 때문에, 이 말을 피하여 호왕이라고 썼다.[9]
  • 기묘(己卯) : 기묘년(己卯年)을 말한다.
  • 기자(箕子) : 상나라 말, 주나라 초에 조선 땅으로 온 기자를 말한다.
  • 조선에 봉(封)하다 : 주나라 무왕기자를 조선의 번왕으로 봉(封)했다는 말이다.
  • 단군(檀君) : 단군왕검과 같은 사람으로 보기도 하고, 고조선의 최고지도자를 뜻하는 직책으로 보기도 한다.
  • 장당경(藏唐京) : 고조선의 세번째 도읍지이다. 당장경(唐臧京)이라고도 한다.[10]
  • 산신(山神) : 산에 사는 신을 말한다. 산신령(山神靈)이라고도 한다.
  • 수(壽) : 수명을 말한다. 단군왕검 개인의 수명이 아니라, 단군이라는 직책을 세습한 햇수를 나타낸다고 해석한다.[11]

각주[편집]

  1.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 시대의 승려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一然, 1206년~1289년)이 충렬왕(忠烈王) 7년(서기 1281년)에 인각사(麟角寺)에서 쓴 삼국 시대의 설화집이다.
  2. 장남이 아닌 차남 이하의 아들을 말함
  3. 삼위산과 태백산을 말한다는 주장도 있고, 삼위산 중 하나인 태백산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병도는 《삼국유사》를 번역하면서, "삼위는 三高山의 義요, 태백은 그 중의 하나이다."라고 썼다.
  4. 기(忌)는 사전적 의미로 '꺼리다', '싫어하다'의 뜻이다. 곰과 호랑이가 쑥과 마늘을 먹으며, 싫지만 참는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5. 일연 외 저, 이병도 외 역, 〈삼국유사〉, 《한국의 민속·종교 사상》, 1990년, (주)삼성출판사, 45~47쪽.
  6. 이병도는 《삼국유사》를 번역하면서, "삼위는 三高山의 義요, 태백은 그 중의 하나이다."라고 썼다.
  7. 이병도는 《삼국유사》를 번역하면서, "신웅은 환웅이니 해모수(解慕漱)와 같이 '감숯', 즉 웅남(雄男)의 뜻인 듯하다."라고 썼다.
  8. 이병도는 '唐高'에 대해서 "요(堯)의 대자(代字)니 고려 정종(定宗)의 휘(諱)[요(堯)]를 피한 것이다."라고 썼다.
  9. 이병도는 '虎王'에 대해서 "호왕(虎王)은 즉 무왕(武王)이니 고려 혜종의 휘(諱) 무자(武字)를 피(避)함이다."라고 썼다.
  10. 허목(許穆)이 쓴 《미수기언》(眉叟記言)에는 장당경을 당장경(唐臧京)이라고 표시하였으며, "유주(幽州)에 당장경(唐臧京)이 있었으니 《고려사(高麗史)》에 그곳을 단군조선의 도읍지라고 하였다."라고 썼다. 허목, 《미수기언》(眉叟記言),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11. 이해형 편역, 《국역 동국통감》, 탐구당, 1990년, 7~9쪽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단군신화 문서는 역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