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치안정책연구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책임연구)
(책임연구)
32번째 줄: 32번째 줄:
 
=== 책임연구 ===
 
=== 책임연구 ===
 
책임연구는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이 수행하는 연구이다. 이때 연구관은 소속된 연구실의 연구분야에 해당하는 치안정책 및 치안현안을 중심으로 일선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결과를 연구보고서로 제출한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경찰청·국·관에 제공하여 치안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치안정책연구소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한 책임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에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셉테드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사업 수와 예산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셉테드 사업의 수는 전국적으로 258개, 2016년에는 약 150여개의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2017년에 1,031개로 약 3배가 급증하였으며, 2018년에는 1,555개의 사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이토록 셉테드에 대한 높은 관심과 환경개선에 대한 많은 투자가 실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그리고 2018년에 보고된 전국 셉테드 사업의 주요 내용은 조명개선이 24,891개소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방범용 CCTV가 17,861개소에 설치되었으며, 비상벨이 6,666개, 벽화사업이 571개소, 안심택배함이 92개소, 주민커뮤니티 센터 등 시설개선이 62개소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셉테드 사업의 주요 내용 중 조명개선과 방범용 CCTV설치가 가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에 진행되었던 방범용 CCTV의 설치 및 운영방식은 촬영범위와 화소에 주로 집중했더라면 오늘날에서는 지능형 소프트웨어와 같은 첨단 기술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이 때문에 많은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었는데 특히 공공부문에서는 보안소프트웨어와 ICT 장비, 정보보호분야의 발달로 장비의 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2018년 공공부문의 보안소프트웨어 관련 사업의 규모가 4조 2,515억 원정도이며, 이 중 공공기관이 집행한 금액은 1조 8,962억 원으로 전체 시장의 44.6%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18년 경기도 안산시에서 U-정보센터 고도화를 위한 영상반출 시스템과 방범용 CCTV 계정관리 시스템 도입에 3억 7,374만 원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경상북도 봉화군은 지능형 영상분석 소프트웨어 구매에 9,900만 원을 사용했다. 이러한 사례들을 토대로 향후 CCTV의 기술개발에 따른 설치비용은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책임연구는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이 수행하는 연구이다. 이때 연구관은 소속된 연구실의 연구분야에 해당하는 치안정책 및 치안현안을 중심으로 일선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결과를 연구보고서로 제출한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경찰청·국·관에 제공하여 치안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치안정책연구소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한 책임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에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셉테드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사업 수와 예산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셉테드 사업의 수는 전국적으로 258개, 2016년에는 약 150여개의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2017년에 1,031개로 약 3배가 급증하였으며, 2018년에는 1,555개의 사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이토록 셉테드에 대한 높은 관심과 환경개선에 대한 많은 투자가 실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그리고 2018년에 보고된 전국 셉테드 사업의 주요 내용은 조명개선이 24,891개소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방범용 CCTV가 17,861개소에 설치되었으며, 비상벨이 6,666개, 벽화사업이 571개소, 안심택배함이 92개소, 주민커뮤니티 센터 등 시설개선이 62개소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셉테드 사업의 주요 내용 중 조명개선과 방범용 CCTV설치가 가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에 진행되었던 방범용 CCTV의 설치 및 운영방식은 촬영범위와 화소에 주로 집중했더라면 오늘날에서는 지능형 소프트웨어와 같은 첨단 기술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이 때문에 많은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었는데 특히 공공부문에서는 보안소프트웨어와 ICT 장비, 정보보호분야의 발달로 장비의 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2018년 공공부문의 보안소프트웨어 관련 사업의 규모가 4조 2,515억 원정도이며, 이 중 공공기관이 집행한 금액은 1조 8,962억 원으로 전체 시장의 44.6%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18년 경기도 안산시에서 U-정보센터 고도화를 위한 영상반출 시스템과 방범용 CCTV 계정관리 시스템 도입에 3억 7,374만 원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경상북도 봉화군은 지능형 영상분석 소프트웨어 구매에 9,900만 원을 사용했다. 이러한 사례들을 토대로 향후 CCTV의 기술개발에 따른 설치비용은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방범용 CCTV의 효과성에 대한 결과는 연구의 방법과 범위, 장소의 특성, 운영기간, 대상범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먼저 연구의 방법은
 
  
 
=== 발간 사업 ===
 
=== 발간 사업 ===

2020년 10월 16일 (금) 14:41 판

치안정책연구소(Police Science Institute)
치안정책연구소(Police Science Institute)

치안정책연구소(治安政策硏究所, Police Science Institute)은 경찰대학의 소속기관이다. 2005년 7월 5일 발족하였으며,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황산길 100-50에 위치하고 있다. 소장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경무관으로 보한다.


조직도

치안정책연구소 조직도

연혁

  • 1980년 01월: 경찰대학 소속으로 치안연구소 설치
  • 1980년 08월: 경찰대학 부설 치안연구소 개소(경찰대학 설치법)
  • 1988년 10월: 경찰대학 소속으로 공안문제연구소 설치
  • 1994년 05월: 치안연구소 활성화 계획에 의거하여 치안연구소 확대개편
  • 1999년 01월: 청사 준공 이전
  • 2005년 07월: 치안연구소·공안문제연구소를 치안정책연구소로 통합하여 치안정책연구소로 확대 개편
  • 2015년 06월: 치안정책연구소 내 과학기술연구부 신설
  • 2016년 04월: 치안정책연구소 중장기발전계획 수립
  • 2016년 08월: 치안정책연구소 발간 「치안정책연구」, 등재학술지로 격상
  • 2018년 03월: 치안정책연구소 시험연구기관 선정

연구소 부서

기획운영과

정책지원과

치안정책연구부

과학기술연구부

주요 연구

용역 연구

용역연구는 중장기 치안정책 개발을 위해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 학회 등 외부 기관 · 단체 및 연구자와 용역계약을 체결하여 수행하고 있다. 용역연구과제에 대해 전국 공모하고, 응모자가 제출한 연구계획서를 치안정책연구소 ‘정책연구용역심의(소)위원회’에서 심사하여 연구주제와 연구수행자를 선정하고, 경찰청 정책자문위원회에서 연구 과제를 승인하여 결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치안논총’과 개별보고서로 발간하고 있다.

책임연구

책임연구는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이 수행하는 연구이다. 이때 연구관은 소속된 연구실의 연구분야에 해당하는 치안정책 및 치안현안을 중심으로 일선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결과를 연구보고서로 제출한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경찰청·국·관에 제공하여 치안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치안정책연구소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한 책임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에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셉테드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사업 수와 예산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셉테드 사업의 수는 전국적으로 258개, 2016년에는 약 150여개의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2017년에 1,031개로 약 3배가 급증하였으며, 2018년에는 1,555개의 사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이토록 셉테드에 대한 높은 관심과 환경개선에 대한 많은 투자가 실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그리고 2018년에 보고된 전국 셉테드 사업의 주요 내용은 조명개선이 24,891개소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방범용 CCTV가 17,861개소에 설치되었으며, 비상벨이 6,666개, 벽화사업이 571개소, 안심택배함이 92개소, 주민커뮤니티 센터 등 시설개선이 62개소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셉테드 사업의 주요 내용 중 조명개선과 방범용 CCTV설치가 가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에 진행되었던 방범용 CCTV의 설치 및 운영방식은 촬영범위와 화소에 주로 집중했더라면 오늘날에서는 지능형 소프트웨어와 같은 첨단 기술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이 때문에 많은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었는데 특히 공공부문에서는 보안소프트웨어와 ICT 장비, 정보보호분야의 발달로 장비의 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2018년 공공부문의 보안소프트웨어 관련 사업의 규모가 4조 2,515억 원정도이며, 이 중 공공기관이 집행한 금액은 1조 8,962억 원으로 전체 시장의 44.6%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18년 경기도 안산시에서 U-정보센터 고도화를 위한 영상반출 시스템과 방범용 CCTV 계정관리 시스템 도입에 3억 7,374만 원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경상북도 봉화군은 지능형 영상분석 소프트웨어 구매에 9,900만 원을 사용했다. 이러한 사례들을 토대로 향후 CCTV의 기술개발에 따른 설치비용은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발간 사업

학술 세미나

학술 교류협력

R&D 사업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 [[]]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치안정책연구소 문서는 공공기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