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onjjunim (토론 | 기여) (→역사) |
moonjjunim (토론 | 기여) (→피시방)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피시방은 피시를 제공하여 사용시간에 따라 비용을 받는 서비스 제공 업소다. 원래는 인터넷 접속이 피시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었으나, 스타크래프트 등 게임이 인기를 얻으면서 피시방의 주목적은 게임이 되었다. 2011년, 피시방 업소 수가 줄어들고 프랜차이즈 피시방이 득세하면서 피시방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가 확장되었다.<ref name="나무"></ref> 중소형 피시방은 감소했지만 대형 피시방의 신규 창업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제는 생계형 피시방이 아닌 한 명의 피시방 업주가 여러 피시방을 동시 운영하거나 또는 대형 피시방을 개장하는 과정에 지분을 투자하는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ref name="ㅇㄹ"></ref> | 피시방은 피시를 제공하여 사용시간에 따라 비용을 받는 서비스 제공 업소다. 원래는 인터넷 접속이 피시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었으나, 스타크래프트 등 게임이 인기를 얻으면서 피시방의 주목적은 게임이 되었다. 2011년, 피시방 업소 수가 줄어들고 프랜차이즈 피시방이 득세하면서 피시방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가 확장되었다.<ref name="나무"></ref> 중소형 피시방은 감소했지만 대형 피시방의 신규 창업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제는 생계형 피시방이 아닌 한 명의 피시방 업주가 여러 피시방을 동시 운영하거나 또는 대형 피시방을 개장하는 과정에 지분을 투자하는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ref name="ㅇㄹ"></ref> | ||
− | 프랜차이즈 피시방은 대체로 요금이 비싼 편이지만,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하고 관리가 철저하다. 화장실 등 편의시설 및 컴퓨터 상태 또한 양호하다. 피시방과 레스토랑의 결합어인 'PC토랑'으로 불릴 만큼 먹거리 류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 + | 프랜차이즈 피시방은 대체로 요금이 비싼 편이지만,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하고 관리가 철저하다. 화장실 등 편의시설 및 컴퓨터 상태 또한 양호하다. 가맹 서비스에 가입한 곳이 많아 피시방 혜택을 누리기에도 좋다.<ref name="나무"></ref> 피시방과 레스토랑의 결합어인 'PC토랑'으로 불릴 만큼 먹거리 류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 19로 영업중단 명령이 내려지자, 프랜차이즈 피시방은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식배달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이러한 상황이 확산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피시방과 미슐랭가이드의 결합어인 '피슐랭가이드'를 통해 피시방 맛집을 공유하기도 했다.<ref> 오진영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90111064685557 PC방도 "음식 배달 합니다"…'피슐랭가이드'도 등장]〉, 《머니투데이》, 2020-09-02</ref> 또한, 피시방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피시방이 데이트 장소로도 꼽히고 있다. 포토존과 커플좌석, 파우치룸을 들인 피시방도 등장했다.<ref> 유연욱 기자, 〈[http://www.sentv.co.kr/news/view/572211 |
+ | |||
+ | 새로운 데이트 명소ㆍㆍ 광릉내로점 플레이존pc방 오픈]〉, 《서울경제티비》, 2020-04-27</ref> 한편 개인 피시방은 점포마다 서비스 품질이 상이하다. 프랜차이즈 피시방처럼 서비스가 다양하고 시설이 잘 구축된 경우도 있지만,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열악한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키오스크 등 셀프 시스템을 도입한 무인 피시방이 늘어나고 있다.<ref name="나무"></ref> | ||
==코인 피시방== | ==코인 피시방== |
2021년 7월 20일 (화) 13:47 판
PC방(피시방, Personal Computer 房)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설치하고 손님들이 돈을 지불한 만큼 일정 시간 동안 컴퓨터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업장이다.[1]
목차
개요
PC방(피시방)은 컴퓨터 사용을 주 서비스로 하는 서비스 제공 공간이다. 주로 피시(Personal Computer)용 오락 게임을 위해 이용하는 사람이 많다. 현재의 피시방은 오락 게임뿐만 아니라 음식을 같이 제공하여 서비스와 휴게음식점을 병행하고 있다. 피시방 업은 법률상으로 인터넷 컴퓨터 게임 시설 제공업이다. 게임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 전의 법률상의 명칭은 멀티미디어 문화 콘텐츠 설비 제공업이었다. 초창기와 달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1]
역사
대한민국 초기의 피시방은 인터넷 카페와 비슷한 형태로 시작했다. 엠팔(EMPAL)의 멤버 안상수와 금누리가 홍대 상권에서 1988년 3월에 첫 개장하여 1991년에 폐장된 전자 카페가 피시방의 시초다.[2] 당시 전자 카페는 16비트 PC 2대에 전화선을 연결해 PC 통신을 이용했다. 이후 1994년,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BNC라는 이름의 인터넷 카페가 개장되었다. 이것이 국내 최초의 인터넷 카페다. 이 같은 인터넷 카페가 대학가 등 주요 상권에서 하나둘씩 오픈하기 시작했다.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언론에서 소개한 인터넷 카페들은 전부 전자 카페로 불렸으나 1994년부터는 이것들을 모뎀 카페, 네트워크 카페, 사이버 카페 등으로 불렀고, 바둑 등 간단한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1988년부터 1994년 사이 등장한 업종들은 지금의 PC방과는 거리가 멀었다. 외국의 인터넷 카페와 비슷한 느낌으로 출발해 PC 이용이 주목적이라기보다는 커피나 음료를 즐기는 사교 공간으로 활용했기 때문이다.[3] 그 후 오락실과 현재 PC방의 중간 형태쯤 되는 업소도 등장했다. 오락실용 기계 세트를 이용해 안쪽에 컴퓨터와 키보드 등을 설치하고 시간제로 워크래프트(Warcraft) 2 등을 할 수 있는 업소가 일부 있었다. 그렇지만 전국적으로 흥행하지는 못했다.[1] PC를 전면에 내세워 현재의 PC방과 같은 업종은 1996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한 대량 실직 사태와 게임 스타크래프트(StartCraft)가 등장하면서 PC방 시장이 단기간에 확장되었다. 1998년과 2000년 사이에 스타크래프트의 인기와 함께 전국에서 2만여 개의 PC방이 창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처음에는 게임방과 PC방이라는 용어를 혼재해서 사용했다. 컴퓨터 활용이 적고 숙련자도 많이 없었으며, 게임 외의 수단이 적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 검색, 컴퓨터 업무 처리, 이메일 확인, 정보 검색, 인쇄 등이 가능해지고, 이용자 수가 늘면서 게임방보다 PC방으로 더 많이 불리게 되었다.[1] 1998년 IMF 외환위기 때 PC방 수가 늘어난 데에는 직장을 잃은 직장인들이 비교적 적은 자본으로 창업할 수 있는 PC방 자영업을 시작했기 대문이고 또 다른 이유는 김대중 정부가 IMF 위기 극복 대책으로 IT 산업을 추진해서였다. 스타크래프트와 리니지 등 인터넷 게임에 대한 열풍도 PC방 산업을 발전시키는데 주요한 동력을 제공했다. 이때부터 인터넷과 인터넷 게임들이 등장하고 PC방이 본격적으로 보급되었다.[1] PC방의 대중화로 인해 PC방 시장은 블루오션으로 인식되었다. 게임 열풍과 피시방 산업 대중화로 인해 이를 받쳐줄 수 있는 컴퓨터 사양이 필요하였고, 이것이 PC의 고사양화가 가속화되는 효과를 불러왔다. 이후, 컴퓨터 게임뿐만 아니라 2000년에 들어서는 화상 채팅이 퍼지면서, 많은 피시방들이 웹캠(WebCamera)을 설치했다. 또한 ㈜넥슨코리아(Nexon), 넷마블㈜(Netmarble) 등 온라인 게임 서비스 업체들은 피시방을 중심으로 이벤트 형식의 마케팅을 시행했으며, 피시방에서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면 보너스 경험치 같은 혜택을 주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2년 이후 각 가정에서 컴퓨터 보급이 증가하고 인터넷 접속이 용이해지면서 피시방 산업에 진입했다가 퇴출하는 수가 증가했다.[2] 피시방 사료 중 최장기간 집계되어 온 데이터인 게임백서 자료를 보면, 2000년 21,460개의 업종에서 2014년 13,146개로 피시방 수가 38.74% 감소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15년 동안 창업과 폐업이 반복되면서 업장 수가 10분의 6으로 감소한 것이다.
피시방 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PC방 수가 가장 많이 집계된 시점은 2001년이며, 가장 많이 감소한 것은 2011년임을 알 수 있다. 2010년부터는 피시방 산업이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2001년에는 스타크래프트와 리니지(Lineage) 열풍, IMF 사태 이후 자영업 진입, IT 산업의 장려 등 피시방 산업이 흥할 수밖에 없는 요건이었다. 반면, 2010년에는 피시방에 대한 다양한 규제가 시작된 시점이다. 피시방 전면금연화가 추진된 데에다가, 한국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7 출시 이후 본격적으로 저작권 활동을 강화하기 시작한 시점이다. 수익 악화와 비용 증가는 대량 폐업 사태로 이어졌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 피시방 수가 약 40% 감소했지만, 피시방 평균 피시 보유수는 오히려 증가했다. 피시방 전문 리서치 게임트릭스에 따르면, 피시 가동률 집계를 시작한 2008년 피시방 평균 피시 보유 대수 63.16대에서 2015년에는 78.51대로 늘었다. 불과 8년 사이에 평균 피시 대수가 15.35대, 24%나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통계는 소형 피시방이 시장을 이탈하며 업소 수는 줄었지만 소수 피시방의 대형화가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피시 대수가 300~400대에 가까운 초대형 피시방은 수도권보다 임대료가 저렴한 지방에서 먼저 출현했다. 그리고 2010년경 서울에 400대 피시방이 등장하면서 수도권에서도 초대형 피시방의 시작이 예고되었다. 이듬해 인천 부평과 부천 지역 등에서 잇따라 300~400대 규모의 피시방이 개장했다. 이 같은 피시방 대형화 현상으로 피시방 시장이 축소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매장 수는 감소했지만 피시방 수요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피시방 수가 크게 감소한 반면 피시 대수는 증가한 현상을 피시방 업계의 구조조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중소형 피시방은 감소했지만 대형 피시방의 신규 창업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연평균 피시 가동률을 살펴보면 가장 낮았던 2009년과 2010년 이후, 2012년과 2013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012년과 2013년에는 디아블로(Diablo)3, 블레이드앤소울(Blade and Soul),리그오브레전드(League of Legends), 피파온라인(FIFA Online)3 등이 인기를 끄는 시기였다. 하지만 2013년 가장 높은 피시 점유율을 기록한 이후 2014년과 2015년에는 가동률이 급격히 떨어진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피시방 전면금연화 시점과 일치한다. 그 당시 정부는 피시방 전면금연화 시행을 앞두고 금연 고객 확대로 오히려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대부분의 통계 지표를 통해 피시방 전면금연화 시행 이후 피시방 업계의 경영악화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의 피시방 점포수가 줄어든 것 또한 같은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다.
[3]종류
인터넷 카페
1990년대 초 등장했던 용어다. 피시방 시초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카페라는 이름 그대로 주 업종은 피시 서비스가 아닌 커피를 비롯한 음료수 제공이었다. 피시는 손님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옵션으로만 존재했다. 그냥 카페에 공용 피시 1~2대를 제공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또한, 초창기에는 피시 사용에 별다른 비용이 요구되지 않았다. 시간이 경과하고 피시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피시 대수를 늘리게 되었고, 피시 사용을 유료로 변경하면서 피시를 주요 수단으로 하는 업종이 등장했다. 이것이 지금의 피시방이다. 1995년도 당시 각종 관공서에서 정보 열람 목적으로 컴퓨터를 여러 대 갖춘 전자정보실도 인터넷 카페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이용 수칙상 게임이 금지되어 있어서 현재의 피시방 용도로는 사용하기 어려웠다.[1]
[4]
피시방
피시방은 피시를 제공하여 사용시간에 따라 비용을 받는 서비스 제공 업소다. 원래는 인터넷 접속이 피시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었으나, 스타크래프트 등 게임이 인기를 얻으면서 피시방의 주목적은 게임이 되었다. 2011년, 피시방 업소 수가 줄어들고 프랜차이즈 피시방이 득세하면서 피시방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가 확장되었다.[1] 중소형 피시방은 감소했지만 대형 피시방의 신규 창업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제는 생계형 피시방이 아닌 한 명의 피시방 업주가 여러 피시방을 동시 운영하거나 또는 대형 피시방을 개장하는 과정에 지분을 투자하는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3]
프랜차이즈 피시방은 대체로 요금이 비싼 편이지만,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하고 관리가 철저하다. 화장실 등 편의시설 및 컴퓨터 상태 또한 양호하다. 가맹 서비스에 가입한 곳이 많아 피시방 혜택을 누리기에도 좋다.[1] 피시방과 레스토랑의 결합어인 'PC토랑'으로 불릴 만큼 먹거리 류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 19로 영업중단 명령이 내려지자, 프랜차이즈 피시방은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식배달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이러한 상황이 확산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피시방과 미슐랭가이드의 결합어인 '피슐랭가이드'를 통해 피시방 맛집을 공유하기도 했다.[5] 또한, 피시방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피시방이 데이트 장소로도 꼽히고 있다. 포토존과 커플좌석, 파우치룸을 들인 피시방도 등장했다.[6] 한편 개인 피시방은 점포마다 서비스 품질이 상이하다. 프랜차이즈 피시방처럼 서비스가 다양하고 시설이 잘 구축된 경우도 있지만,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열악한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키오스크 등 셀프 시스템을 도입한 무인 피시방이 늘어나고 있다.[1]
코인 피시방
코인 피시방은 시간이 아닌 분 단위로 요금을 매기는 동전을 넣어서 사용하는 컴퓨터 공간이다. 찜질방 등의 복합 문화시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런 시설에서 피시방은 컴퓨터 이용이 주력 서비스가 아니기 때문에 컴퓨터 관리 상태가 열악하고 성능도 낮은 수준이다. 요금 또한 피시방보다 높은 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1]
성인 피시방
성인 피시방은 포커나 맞고, 바둑이 등 사행성 게임을 주로 취급하며 도박 목적으로 이용되는 피시방이다. 대부분 굉장히 허름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일반 피시방과는 달리 컴퓨터 대수가 매우 적으며, 추가 시설이 열악하다.[1] 사실 이 피시방은 현금으로 게임머니를 충전해서 온라인 사이트로 다른 손님과 도박 게임을 벌이고, 도박으로 딴 게임머니를 다시 현금화하는 일종의 불법도박장이다.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게임물의 이용을 통하여 획득한 유·무형의 결과물을 환전 또는 환전 알선하거나 재매입을 업으로 하는 행위는 명백히 금지된다. 그러나 이 같은 불법 행위를 성인피시방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암암리에 시행하고 있다. 환전을 직접 하는 것이 아닌 다른 손님을 거쳐 게임머니를 현금화하거나, 환전소를 따로 운영해서 그곳에서 현금화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피시방 업주는 돈을 따 간 사람에게서 수수료를 떼는 방식으로 수익을 올리기 때문에 손님의 손익은 크게 상관이 없으며, 사이트에 일정한 가맹비와 수수료를 내고 게임머니를 싼 값에 지속적으로 지급받는 구조를 취한다. 명백한 불법행위이기 때문에 경찰이 단속을 나가기도 하지만 불법 현장을 적발하기가 쉽지 않다. 처벌을 하려면 환전 순간을 목격하거나 증거를 남겨야 하는데, 신고가 들어와서 현장에 도착하면 버튼을 눌러 다른 게임이 돌아가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단속을 피한다. 더욱 큰 문제는 여러 불법 행위가 자행되는 도박장 특성상, 강력 범죄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2013년 5월 경기도 의정부에서 성인 피시방을 운영하던 업주가 손님을 둔기로 때려 살해한 사건이 있었다. 손님이 외상을 요구하며 신고 협박을 한 것이 사건의 발단이었다. 2020년 1월 3일 관악구 신림동의 한 성인 피시방에서도 손님과 종업원이 게임머니 문제로 말다툼을 하다가 흉기로 살해한 사건이 일어났다. [7]
사이버 지식 정보방
사이버 지식 정보방(Cyber 知識 情報房)은 줄여서 '사지방' 내지는 '싸지방'이라고 부르며, 대한민국 국군 부대 안에 설치된 컴퓨터 이용 시설이다. 학교에 있는 컴퓨터실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부대에 따라서 간판상으로 PC방이라고 적어둔 부대도 있다. 정책 시행 목적은 사회와 격리된 장병들이 인터넷이 보편화된 사회에서 정보화 능력이 뒤쳐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사이버 지식 정보방이 최초로 설치된 것은 2003년 7월이다. 일부 GOP 인접 전방 부대에 설치되었으며 이때는 1541 콜렉트콜로 이용해 인터넷 접속이 아예 불가능하고 인트라넷만 가능한 형태였기 대문에 현재의 피시 제공 공간과 동일하게 보기엔 무리가 있다. 게다가 1541 콜렉트콜로 이용료를 지불하는 방식이어서 과도하게 사용하면 큰 비용이 부과되기도 했다. 현재의 사이버 지식 정보방의 형태가 처음 자리 잡은 것은 2006년이며, 2009년에 증설되었다. 과거에는 피시 사양이 열악하고 회선 속도도 느려서 컴퓨터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현재에는 컴퓨터 사양 및 인터넷 회선 등의 요소가 개선되어 컴퓨터 사용이 원활해졌다. 2007년 컴퓨터 사용료는 30분에 90원이었다. 2008년 8월 15일부로 150원 인상했다가 2009년 중후반을 기준으로 30분당 225원이 되었다. 2010년 중후반 기준으로 첫 30분은 270원, 그 뒤는 10분당 90원이 되었고, 2013년 12월 16일을 기점으로 첫 30분은 250원, 그 뒤는 10분당 80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2014년 7월 1일부터 기본료 30분에 230원, 그 뒤 추가 요금은 10분 당 70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2017년 1월 8일부터 지금까지 전면 무료로 변경되어 현재까지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입할 때는 나라사랑카드가 필요하다. 사이버 지식 정보방 이용 시 주의사항은 인터넷 사용 기록이 남기 때문에 군대 징계 사유가 될만한 컴퓨터 이용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8]
외국의 피시방
베트남
https://www.ipn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6099
중국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onenuri888&logNo=221569677774
일본
http://www.sisaplu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70
북한
https://www.idailynews.co.kr/m/view.php?idx=56645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5/07/13/2005071370205.html
피시방 요금 및 혜택
요금
https://namu.wiki/w/PC%EB%B0%A9/%EC%9A%94%EA%B8%88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90114/93685439/1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11436
혜택
https://namu.wiki/w/PC%EB%B0%A9%20%ED%98%9C%ED%83%9D
사업 정보
경제적 측면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71716141
개인 소상공인 VS 대형 프랜차이즈
https://multion.tistory.com/217
유명인 피시방 창업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943999&memberNo=4505449
주요 사건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8/08/549955/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90114/93685439/1
각주
-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PC방〉, 《나무위키》
- ↑ 2.0 2.1 〈피시방〉, 《위키백과》
- ↑ 3.0 3.1 3.2 3.3 이상혁, 〈(창간특집) 창간 17주년에 돌이켜본 PC방의 역사〉, 《아이러브피시방》, 2016-06-17
- ↑ 유태웅 기자, 〈게임방 원조 인터넷 카페 벌써 13년전 일〉, 《오마이뉴스》, 2007-02-24
- ↑ 오진영 기자, 〈PC방도 "음식 배달 합니다"…'피슐랭가이드'도 등장〉, 《머니투데이》, 2020-09-02
- ↑ 유연욱 기자, 〈[http://www.sentv.co.kr/news/view/572211 새로운 데이트 명소ㆍㆍ 광릉내로점 플레이존pc방 오픈]〉, 《서울경제티비》, 2020-04-27
- ↑ 서민선 기자, 〈판치는 불법도박장 '성인PC방'…"우범지대"〉, 《노컷뉴스》, 2020-01-08
- ↑ 〈사이버 지식 정보방〉, 《나무위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