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사) |
(→직물시트)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사용 == | == 사용 == | ||
=== 직물시트 === | === 직물시트 === | ||
− | 직물은 의류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자동차 시트]]에서 정말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직물시트]]는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며 탐 흡수가 잘 될 뿐만 아니라 재질의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가죽시트]]와는 달리 운전자를 잡아주는 성능이 뛰어나다. 또 흔한 [[섬유]] 재질로 만들어진 만큼 수리 또는 교체하는 비용이 다른 시트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에 속한다는 특징이 있다. 직물시트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모켓과 | + | 직물은 의류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자동차 시트]]에서 정말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직물시트]]는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며 탐 흡수가 잘 될 뿐만 아니라 재질의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가죽시트]]와는 달리 운전자를 잡아주는 성능이 뛰어나다. 또 흔한 [[섬유]] 재질로 만들어진 만큼 수리 또는 교체하는 비용이 다른 시트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에 속한다는 특징이 있다. 직물시트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모켓과 경 메리야스뜨기 방식으로 만든 천을 통해 시트가 제작된다.<ref> 픽플러스, 〈[https://in.naver.com/pick_plus/contents/313002414094176?query=%EC%A7%81%EB%AC%BC%EC%8B%9C%ED%8A%B8 재질에 따라 다른 느낌, 자동차의 직물 vs. 가죽 시트]〉, 《네이버 포스트》, 2021-06-03 </ref> 그러나 직물시트는 한 번 오염되면 청소하기 어려워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섬유 재질이기 때문에 오염물이 쉽게 스며들 뿐만 아니라 재질 특성상 세균 번식도 쉽게 되어 세척 및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ref> 카메이커, 〈[https://blog.naver.com/dreamer_kim37/221839261529 르노 SM3 직물시트를 가죽시트로 교체작업하세요]〉, 《네이버 블로그》, 2020-03-05 </ref> 직물시트의 경우 천연가죽, 인조가죽과는 달리 이물질이 들어갈 틈이 많아 세균 번식이 이루어지기 쉽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ref> 불스원,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583155&memberNo=5549852&vType=VERTICAL 6탄 자동차 시트별 관리법 알아보자!]〉, 《네이버 포스트》, 2021-10-22 </ref> |
{{각주}} | {{각주}} |
2021년 11월 1일 (월) 14:59 판
직물(織物, fabric)은 실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엇갈리게 촘촘히 짜서 만든 천을 말한다.
개요
직물은 직조로 만들어낸, 즉 날실과 씨실이 직각을 이루면서 짜여진 피륙이다. 실의 교차 방법에 따라 평직·능직·수자직 등으로 분류된다. 직물의 짜임새는 옷감의 강도·촉감·내추성·보온성·통기성 등과 관련이 있다. 원료에 따라 견직물, 모직물, 마직물, 면직물 등으로 나뉜다. 날실은 세로 방향으로 놓이며, 씨실은 가로 건너 짠다. 피륙을 짜는 일은 세로로 놓인 날실에 씨실을 가로로 건너 엮는 과정이다. 실로 짠, 옷이나 이불 따위의 감이 되는 물건은 천이라고 부르고, 그 조각은 헝겊이라 한다. 직물이나 천은 실이나 가닥으로 일컫는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섬유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유연한 짜임새이다. 실은 기다란 가닥을 만들기 위해 울, 리넨, 면 등을 꼬면서 만들어진다. 직물은 손으로짜기, 뜨개질하기, 코바늘꿰기, 매듭매기, 직물에 힘 가하기 등으로 이루어진다.[1]
역사
인류가 일정한 장소에 정착하여 농경 생활을 하면서 부족국가를 이룬 신석기시대부터 간단한 옷을 만들어 입기 시작하였다. 처음의 옷감으로는 조물·편물이었으며 직물은 이보다 늦게 발생하였으리라 짐작된다. 직물의 기원이 언제부터인지는 확실하지 않고, 다만 고고학적인 자료에 의하여 짐작할 따름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된 유적으로는 고대 이집트의 나일강 유역에서 발견된 아마포(BC 약 3000년), 고대인도의 인더스강 유역에서 발견된 면포(BC 약 3000년), 그리고 이보다 늦은 것으로서 고대 중국의 황허강 유역에서 발굴된 견직물 등이 있다. 이 밖에 스위스의 듀엘러 호반에서 마직물(BC 약 5000년), 잉카·마야·인디언의 고대문화 유적에서 마직물과 모직물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선사시대에 문명의 발상지에서마다 고유한 토산섬유의 종류에 따라 제각기 다른 직물이 발생했다. 이것이 오랜 기간에 걸쳐 부족 이동, 국가 간의 침략, 교역, 공물, 종교의 전파에 따라 이역에서 또 이역으로 차차 전파되었다. 역사시대에 들어서도 처음에는 왕실의 보호업, 서민의 자급 또는 왕실에의 납품을 위한 가내수공업, 지역민간의 교역품이라는 형태로 전승해 왔다. 중앙아시아에서 발생했던 모직물은 이탈리아를 거쳐 네덜란드의 플랑드르 지방에서 다시 영국으로 건너가 모직물 공업이 발전했다. 중국의 황금 같은 견직물은 실크로드를 통해 전파되어 프랑스 리옹 지방이 다시 서구 견직물 공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인도 면직물의 인도 항로와 수에즈 운하를 통한 대량 수입에만 의존했던 서구에서 뒤늦게 영국 맨체스터 지방이 면직물공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18세기에 들어 영국의 산업혁명 시 역직기(力織機)의 발명으로 인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자, 비로소 종래 수공업적이었던 직물생산이 기계적 공업생산으로 탈바꿈하였으며, 오늘날 공업자본주의적 직물공업의 기초가 확립되었던 것이다. 즉, 중앙아시아를 지점(支點)으로 동방에서 싹텄던 각종 직물의 수공업은 산업혁명을 계기로 서방에서 근대공업으로 발전한 것이다. 20세기에 들어서는 각종 개량직기의 발명과 함께 레이온·나일론·폴리에스터 등 인조섬유가 속출함으로써 종래 기계적인 제약이나 원사공급 면의 제약이 풀리게 되어, 오늘날 서유럽·미국·일본 등 세계 곳곳에서는 시설 근대화를 통한 대량 생산체제를 굳히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조섬유 직물의 본격적인 출현으로 직물의 종류와 용도는 다양해졌으며, 자연섬유 직물은 인조섬유 직물에 의하여 여러 가지 용도 분야에서 침식당했다. 그러나 이것은 상대적 점유비가 그렇다는 얘기일 뿐 그 절대량의 증가는 여전하다. 설상가상으로 이들 직물은 편물과의 경쟁이 치열해져서 이를 계기로 최근에는 촉감이나 드레이프 성을 개선하는 원사가공·표면가공(surface interest finishing)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2] 국내에서는 직물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 기록은 『한서』에 나타난다. “기자가 조선으로 가서 예의를 가르치고 농사짓고 누에치며 직물을 짰다.”라는 내용으로 보아 이미 B.C. 12세기경에도 우리 조상들은 양잠하며 견직물을 생산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삼국지』, 『한서』, 『한원』에는 북쪽의 부족 국가인 부여와 동예, 남쪽의 마한·진한·변한의 직물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그 명칭을 언급하였다. 이미 삼한과 예 등 한반도 전역에서 종마와 양잠하는 법을 알았고, 당시에 생산된 직물의 종류는 베와 같은 마포는 물론이며 지금의 명주와 같은 면포, 경사의 밀도를 치밀하게 짠 겸포, 폭이 넓고 섬세하게 짠 광폭 세포 등의 견직물 등이었다. 부여에서는 출국 시에 증·수·금이라는 고급 견직물과 계라는 모직물로 만든 의복을 즐겨 착용했다고 기록되었다. 이는 국가의 형태를 갖추기 이전에 이미 우리 조상들은 상당한 수준의 견직물과 모직물을 생산하고 사용하였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주목되는 직물은 삼한에서 재직한 겸포와 부여의 기록에 금이라는 직물 명칭이다. 겸은 씨실에 비하여 경사의 밀도가 두 배 정도 치밀하여 매우 섬세한 견직물이며, 금은 다양하게 염색한 실로 중조직에 의해 무늬를 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견직물이다. 국내의 고대사회에 직물 생산을 유추할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B.C. 6000~5000년의 평안북도 온천 궁산리 신석기시대 유적지에서 가락바퀴와 마사가 끼어 있는 상태의 바늘이 출토되었고, 함경북도 웅기 서포항 유적지와 황해도 봉산 지탑리 유적지에서도 다량의 가락바퀴가 출토되었다. 신석기시대 중기의 유적지인 랴오둥반도의 곽가촌 유적에서도 다량의 가락바퀴와 짐승 뼈를 갈아 만든 북도 출토되었으므로 이미 신석기시대 때부터 직물 생산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입증한다. 그 밖에도 고조선의 유적지에서는 몇 점의 직물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중국 길림성 영길현 성성초 유적에서는 평직으로 짠 모직물 남은 조각이 나왔고, 대동강 유역의 평양 정백동 유적에서는 평직의 겸이, 석암리 유적에서는 겸·면주·사로 보이는 직물이, 오야리 유적 등에서는 겸·사·라의 잔편이 발굴되었다. 특히 정백동 유적과 석암리 유적에서는 요령성과 한반도 지역의 특징을 보여 주는 세형동검과 ‘부조예군’(夫租濊君)이라는 고조선과 위만조선에서 사용하였던 관직명이 새겨진 은으로 만든 도장이 함께 출토되어 고고학 분야에서 이들 고분이 B.C. 2~3세기의 고조선 유적지로 밝혀진 바 있다. 오야리의 유적도 일제강점기의 보고서에 의해 한사군의 낙랑군 유적으로 보아 왔으나 고조선의 유적지로 보는 새로운 견해가 있다. 부여의 유적지인 길림성 모아산 유적에서는 중조직의 금·사·견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고고학적 자료는 고조선부터 견직물과 모직물 생산이 가능하였고, 『삼국지』의 “부여 사람들이 출국 시에 증·수·금·계로 만든 옷을 입었다.”라는 기록을 입증할 수 있는 유물이다.[3]
종류
직물의 종류는 무수히 많지만, 크게 분류하면 실의 교차 방법에 따라 평직·능직·수자직 등으로 분류된다.
평직
평직(plain weave)은 직물 조직 중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하며 제일 많이 사용되는 조직이다. 씨실과 날실이 각각 한 올씩 번갈아 상하로 부침하면서 교차하고, 1 완전 조직은 날실 2 올과 씨실 2 올로 이루어진다. 직물 중 1 완전 조직의 크기가 가장 작으나 그 날실과 씨실의 교차점은 가장 많으며 날실과 씨실 모두가 천의 표면에 나타나는 길이가 최소이다. 교차점이 많아서 천이 질기지만 잘 구겨지며,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편이어서 천의 종류가 많지 않을 것 같으나 질기다는 특성 때문에 실용 직물로 사용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을 응용한 많은 종류의 천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 방법으로는 순색의 천 이외에 날실과 씨실의 종류 ·색상 ·굵기 ·밀도, 꼬임의 변화 또는 날실의 장력 변화 등이 있으며, 또 이들을 혼용하면 다양한 외관과 촉감의 천이 된다. 평직은 직물이 발생하면서 가장 먼저 출현한 것인데, 약 5,000년 전 신석기시대의 이집트 유적에서 발견된 마포가 평직이다. 한국에서는 낙랑고분에서 출토된 견직물이 평직으로서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4] 평직의 특징은 제직이 간단하고, 겉과 안의 구별이 없으며, 표면이 거칠고 광택이 적다. 조직점이 많아 강직하고 실용적이며, 실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 구김이 잘 생긴다.[5]
능직
능직(twill weave)은 직물 표면에 씨실 도는 날실로 빗방향의 이랑 무늬를 형성하는 조직, 또는 이런 조직으로 짠 직물을 말한다. 능직은 평직·수자직과 함께 직물의 삼원조직의 하나이며, 빗방향의 이랑 무늬가 있으므로 사문직이라고도 한다. 실의 교착 방법의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 사문을 만들 수 있는데, 가장 간단한 조직은 삼매릉이다. 또,사문의 모양의 차이에 따라 정칙 사문과 변화 사문으로 대별하고, 다시 변화 사문은 파사문 ·산형사문 등으로 세분된다. 이 직물 표면에 생기는 능선의 방향과 각도는 밀도 ·조직 및 직물을 구성하는 실의 꼬임 방향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서지(serge)의 능선은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를 향하여 지나가는 것이 직물의 겉면이고, 각도는 45°가 보통이다. 이 능조직으로 짠 직물이 능직물인데, 일반적으로 조직이 비교적 촘촘하며 질기고 부침의 부가 길 때는 광택이 많이 나는 등의 특성이 있다. 그 종류는 대단히 많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모직 인 서지 ·개버딘 ·헤링본 등의 양복지나 오버지, 또 면직인 태릉 ·세릉등 작업복지가 있다. 평직물에는 광목, 당목, 옥양목, 시폰, 트로피컬 등이 있으며, 경위사의 굵기와 밀도를 달리하거나 올 수를 달리하여 변화직물을 만들기도 한다.[6] 능직의 특징은 평직보다 조직점이 적어 유연하다. 그리고 밀도를 크게 할 수 있어 두껍고 부드러운 직물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능직의 종류는 개버딘, 서지, 데님, 캘버리, 수라, 다이애거널 등이 있다.[5]
수자직
수자직(satin weave)은 직물 조직의 하나로서 씨실과 날실이 직물 표면에 많이 나타나게 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수자직은 주차직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평직·능직과 함께 직물의 삼원조직의 하나이다. 직물조직을 구성하는 1 단위인 1 완전조직에 있어서 경사는 단 한 번씩 씨실과 교착하는 까닭에, 평직이나 능직보다 직물의 표면이 매우 반드럽고 광택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조직점이 적기 때문에 직물의 질이 약한 것이 결점이다. 그래서 조직점을 규칙적으로 균일하게 같은 거리로 배치하여 사문선이 나타나지 않게 한다. 따라서 1 완전조직이 너무 커지면 실의 뜨는 부분이 너무 길어지므로 일반적으로 5매 주자 또는 8매 주자가 많이 쓰인다. 수자직의 종류에는 경사를 많이 뜨게 한 경주자와 씨실을 많이 뜨게 한 위주자가 있다. 보통은 경주자가 많으나 방모직물에는 기모를 하는 관계로 위주자로 하는 경우가 많다. 수자직은 뜨는 실이 많기 때문에 직물로서의 내구력은 평직이나 능직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뜨는 실의 원사로 견사 또는 화섬사의 장섬유 필라멘트 등을 사용하면 광택이 대단히 좋은 직물을 만들 수 있다.[7] 수자직의 특징은 조직점이 적어 부드럽고 유연하며,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좋아 화려하다. 하지만 마찰에 약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수자직의 종류는 비니선, 목공단, 공단 등이 있다.[5]
사용
직물시트
직물은 의류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자동차 시트에서 정말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직물시트는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며 탐 흡수가 잘 될 뿐만 아니라 재질의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가죽시트와는 달리 운전자를 잡아주는 성능이 뛰어나다. 또 흔한 섬유 재질로 만들어진 만큼 수리 또는 교체하는 비용이 다른 시트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에 속한다는 특징이 있다. 직물시트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모켓과 경 메리야스뜨기 방식으로 만든 천을 통해 시트가 제작된다.[8] 그러나 직물시트는 한 번 오염되면 청소하기 어려워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섬유 재질이기 때문에 오염물이 쉽게 스며들 뿐만 아니라 재질 특성상 세균 번식도 쉽게 되어 세척 및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9] 직물시트의 경우 천연가죽, 인조가죽과는 달리 이물질이 들어갈 틈이 많아 세균 번식이 이루어지기 쉽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10]
각주
- ↑ 〈직물〉, 《위키피디아》
- ↑ 〈직물의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 〈직물(織物)〉,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 〈평직〉, 《네이버 지식백과》
- ↑ 5.0 5.1 5.2 공주병, 〈직물의 제직, 특징 및 종류〉, 《네이버 블로그》, 2012-12-09
- ↑ 〈능직〉, 《네이버 지식백과》
- ↑ 〈수자직〉, 《네이버 지식백과》
- ↑ 픽플러스, 〈재질에 따라 다른 느낌, 자동차의 직물 vs. 가죽 시트〉, 《네이버 포스트》, 2021-06-03
- ↑ 카메이커, 〈르노 SM3 직물시트를 가죽시트로 교체작업하세요〉, 《네이버 블로그》, 2020-03-05
- ↑ 불스원, 〈6탄 자동차 시트별 관리법 알아보자!〉, 《네이버 포스트》, 2021-10-22
참고자료
- 〈직물〉, 《위키피디아》
- 〈직물의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직물(織物)〉,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평직〉, 《네이버 지식백과》
- 〈능직〉, 《네이버 지식백과》
- 〈수자직〉, 《네이버 지식백과》
- 공주병, 〈직물의 제직, 특징 및 종류〉, 《네이버 블로그》, 2012-12-09
- 픽플러스, 〈재질에 따라 다른 느낌, 자동차의 직물 vs. 가죽 시트〉, 《네이버 포스트》, 2021-06-03
- 카메이커, 〈르노 SM3 직물시트를 가죽시트로 교체작업하세요〉, 《네이버 블로그》, 2020-03-05
- 불스원, 〈6탄 자동차 시트별 관리법 알아보자!〉, 《네이버 포스트》, 2021-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