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소부장은 소재, 부품, 장비를 줄여 이르는 말이다.
개요
소부장은 소재, 부품, 장비의 줄임말이다. 소재는 어떤 제품을 만드는데 바탕이 되는 재료를 의미하고, 부품은 기계, 장치를 이루는 개별 구성품을 의미한다. 장비는 어떤 제품을 만들거나 검사하는 기계 등을 뜻한다. 즉, 소부장이란 어떤 제품을 만드는 데 있어 기초가 되는 산업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2019년 11월 22일 오전 충남 천안 엠이엠씨코리아㈜ 실리콘 웨이퍼 2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의 축하 연설 중 처음 나왔다.[1] 2019년 일본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 부품 등을 대한민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는 기초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졌고, 정부에서도 기초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그 일환으로 2019년 말 소재, 부품, 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이 제정되었고, 2020년 4월에 시행되었다. 주로 국내에서 소부장을 말할 때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과 관련해서 말할 때가 많다. 아무래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이 국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관련 소부장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2]
소재
소재는 어떤 것을 만들 시 기본이 되는 재료이다. 2차 전지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4가지 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이 이에 해당한다. SNE리서치는 글로벌 배터리 수요가 2020년 139GWh에서 2030년 3,254GWh로 무려 23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배터리 원가의 약 62~63%를 차지하는 게 소재 값이다. 같은 기간 배터리 4대 핵심소재 시장은 213억 달러에서 1,232억 달러(138조 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재를 국산화하지 않는다면 배터리와 전기차 시장에서 아무리 약진해도 제대로 실리를 챙기기 어렵다는 의미다. 희토류 부자 중국이 진작부터 저가 공세를 통해 소재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 데에도 이런 계산이 깔려있다. 2020년 기준 중국 업체들의 양극재 시장 점유율은 57.8%, 음극재는 66.4%, 분리막은 54.6%, 전해질은 71.7%다.
부품
부품은 기계를 구성하는 최소의 기능 단위이다. 아무리 복잡한 기계 장치에서도, 단순한 부품을 조합해 구성된다. 부품의 상당수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국제표준규격이나 등 각국의 국가 규격으로 규정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메커트로닉스의 진전 때문에 많은 복잡한 메커니즘이 전자회로나 마이크로프로세서 편입 시스템에 얻어지고는 있지만, 기계적인 동작을 수반하는 부분이 남는 일도 아직 많아 기계요소를 이용한 설계나 기계요소 그 자체의 연구 개발은 여전히 중요한 공학상의 분야이다. 지금도 마이크로 기계의 연구를 하고 있지만, 현재 각 부품을 만드는 방법을 시행하고 있을 단계이다.[3]
장비
장비는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만든 전자 기기를 말한다. 장치, 장비, 기기라고도 한다.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VR 기기, 네트워크 장비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있다.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 하드디스크, CD ROM 드라이브 등 주변 장치들도 디바이스의 일종이다. 노트북처럼 크기가 작은 컴퓨터에서 디바이스란 물리적으로 좀 더 많이 통합된 장치를 가리키는 경향이 있다.
현황
공급망 재편
국내 소부장 분야 기업들은 미·중 무역 갈등과 일본 수출규제로 발생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향후 2~3년간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들은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국산화를 이뤄 이를 극복하고 있으며 정부가 내놓은 소부장 대책 증에는 세제지원이 가장 유용하다고 답했다. 한편 정부의 소부장 대책을 모르거나 알아도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이 10곳 중 9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재편에 따른 어려움으로 원자재 수급 애로와 생산가동 중단 및 지연이 40.5%로 가장 많았다. 수출입 지연과 중단이 31.4%로 뒤를 이었다.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가 우선순위라는 응답이 27.6%였다. 극복방안으로 자체 R&D 지원정책 강화가 58.5%로 가장 높았다. 극복방안으로 자체 R&D를 통한 국산화를 제시한 기업도 21.4%였다. 일본 수출규제 이후 지난 1년간 국내 소부장 산업 기술경쟁력 변화를 묻는 말에 69.7%가 기술경쟁력이 강화됐다고 답했다. 강화요인으로는 정부의 소부장 관련 기술 R&D 지원정책 강화가 58.5%로 가장 높았다. 소부장 기술확보 중요성 인식 조성이 41.7%, 공급기업의 자발적 R&D 강화가 32.8%로 뒤를 이었다.[4]
정부 지원 정책
정부는 2020년 7월 9일, 수출규제 대응 차원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소부장 2.0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공세적인 측면과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투자 측면으로 나뉜다. 주요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급망 관리 정책 대상 확대, IP R&D 의무화로 글로벌 특허 전쟁 대비, 소부장 으뜸기업 100개, 소부장 강소기업 100개, 소부장 스타트업 100개 육성, 디지털공급망 구축, Big3(반도체, 바이오, 미래차)+α 중심의 집중 유치대상 타깃 기업 100개 선정, 기업 맞춤형 첨단 투자지구 신설 및 세제지원 확대 등 첨단투자 지원이 있다. 정부는 100대 소부장 핵심전략기술과 Big3 산업 등에 2022년까지 5조 원 이상을 우선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특히 바이오,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분야에 대해서는 2021년에 2조 원가량 확대 투자될 예정이다. 이는 기초·원천 부분의 나노·소재기술개발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응용부분인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은 산업부가, 상용화를 위한 기술혁신개발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 담당하는 부처 협업 방식으로 진행된다. IP R&D 의무화를 위해서는 지난 2020년 600억 원이 투자됐다. 산업부에서 200개, 중기부 240개, 과기부 20개의 사업을 추진했으며, 중소기업 특허 조사 분석 비용 등에 대한 세제지원은 검토 중인 단계다. 소부장 으뜸기업 지원에는 R&D 비용으로 연간 최대 50억 원이 지원된다. 해당 기업의 설비투자 자금 대출을 우선 지원하며, 소부장 성장지원펀드를 위한 4,000억 원도 우선 지원된다. 소부장 강소기업은 2020년 강소기업 우대사업 지원에 최대 182억 원이 투입됐다.[5]
각주
- ↑ NOGRIN, 〈소부장 뜻과 주요 관련주 및 강소기업, 전망〉, 《N잡펭귄》, 2020-12-08
- ↑ 사용자 gefmr, 〈소부장 뜻, 의미 알아보기 - 반도체 소부장 관련주〉, 《티스토리》, 2021-04-13
- ↑ 〈기계요소〉, 《위키백과》
- ↑ 조승한 기자, 〈소부장 기업 절반 "경영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2020-08-27
- ↑ 선연수 기자, 〈2021 소부장 정부 지원 정책 모아보기〉, 《테크월드뉴스》, 2021-02-15
참고자료
- 〈기계요소〉, 《위키백과》
- NOGRIN, 〈소부장 뜻과 주요 관련주 및 강소기업, 전망〉, 《N잡펭귄》, 2020-12-08
- 사용자 gefmr, 〈소부장 뜻, 의미 알아보기 - 반도체 소부장 관련주〉, 《티스토리》, 2021-04-13
- 조승한 기자, 〈소부장 기업 절반 "경영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2020-08-27
- 선연수 기자, 〈2021 소부장 정부 지원 정책 모아보기〉, 《테크월드뉴스》, 2021-02-15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