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라인
바디라인(body line) 또는 차체라인이란 자동차의 차체의 모양새를 이르는 말로 벨트라인, 루프라인, 캐릭터라인, 웨이스트라인 등 디자인적 요소들을 포함한 전체적인 형상을 말한다.
개요
자동차의 디자인 요소로 차체 외부, 내부, 컬러가 있는데, 가장 운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요소로 차체의 형상인 외장바디를 뽑을 수 있다. 차체 형태는 면과 면이 만나서 만들어지는 입체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면과 면이 만나면 그 경계에는 선이 만들어지게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선은 윤곽을 만들고, 그 윤곽인 여러 모양으로 우리에게 인식된다. 즉, 아름다운 선이 아름다운 차를 만든다 하는 만큼 자동차에서 만들어지는 라인은 자동차의 디자인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다.[1] 자동차 바디 라인은 심미적인 기능 뿐아니라 성능과도 관련이 있어서 사회, 문화, 경제등 다양한 시대적 상황과 기술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적용되다 보니 라인들이 만들어지는 방법이나 완성된 형태, 그리고 그 성격 등등이 정해진 틀로는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개인, 국가 혹은 각 제조사마다 개성있는 여러 형태의 자동차를 찾아볼 수 있다.
발전
초기의 자동차는 마차의 모습과 거의 흡사한 모습으로 차량자체가 지금과 같이 차체가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어있는 형태에 좌석만있어 특별하 디자인적 요소를 찾기가 힘들었다. 1910년대가 되면서 후륜의 엔진이 앞으로 옮겨오고, 네개의 바퀴와,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해 덮개가 생겨나여 오늘날과 같은 자동차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자동차가 한창 대중화가 일어날 때에는 디자인을 추구하기 보다는 획일적인 디자인을 선보였는데, 둥그스름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갑충형 디자인이 유행했다. 1930년부터는 자동차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속력이 빨라지면서 공기저항을 덜 받는 디자인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1950년을 분기점으로 바퀴와 라이트가 차체속으로 들어가고 차체가 넓고 낮은 형태의 유선형으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발전했다. 이 시기 미국은 전투기의 몸체와 꼬리모양을 이용해 화려함을 추구한 꼬리날개형 차체가 유행하였고, 유럽에서는 성능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차체가 낮고 윈도의 각도가 좁아지는 등 공기저항에 더욱 신경을 쓴 디자인이 주류를 이루었다. 1960년대를 접어들면서 고속주행시 차체가 떠오르는 부력을 감소시키고 실내공간을 넓히기 위해 루프라인이 노치백 타입의 세단보다는 더욱 완만하고 트렁크 까지 떨어지는 라인을 적용하여 지붕선과 뒷유리 사이의 꺽인 각이 뚜렷하지 않고 완만하게 한면으로 이어지는 모습인 패스트백 스타일이 유행하였다. 1970년대는 두 차례에 걸처일어난 오일쇼크로 인해 자동차는 '힘'에서 '효율'로 바뀌기 시작한다. 알맞은 크기에서 적은 연료를 소모하며 최적의 힘을 내기 위해서 후드가 낮고 데크가 높은 날렵한 쐐기 형태의 바디라인으로 바꾸게 되었다.[2] 1980년대에 이르러 차체 라인을 부드럽고 완만한 곡면으로 처리한 얄팍파면서도 날렵한 차체가 인기를 끌었고, 1990년대에 중반에는 곡선형 차체 면의 볼륨감을 살리면서 주요 라인에 각을 강조하는 디자인과 더불어 차량의 기능과 개성을 살리게 되면서 획일화된 디자인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였다.[3] [4]
공기역학
라인
- 벨트 라인: 승용차에서 측면 유리창과 도어 패널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의 선을 가르킨다. 벨트라인은 측면 유리와 도어의 비율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하며, 벨트라인이 높으면 측면 유리가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어 안정감을 주지만, 개방감도 함께 감소하여 다소 갑갑한 느낌을 전달할 수 가 있다. 반대로 벨트라인이 낮다면 경쾌하고 가벼운 이미지를 선보인다.[5]
- 캐릭터 라인: 요철을 통하여 차체 디자인의 이미지를 강하게 부각시키는 요소로 과거 단순히 측면 디자인의 스타일링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최근들어 브랜드의 개성을 상징하는 디자인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차체 측면에 앞문과 뒷문의 도어 핸들 부근을 흘러 지나가는 도드라진 굴곡의 선을 가르킨다. 캐릭터 라인이 위로 혹은 아래로 기울이냐에 따라 분위기가 변화하는데,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세단 그랜저의 경우에는 전륜으로 갈수록 솟아오르는 캐릭터 라인을 적용하여 품위가 느껴지는 세련미를 강조하였다. 반대로 캐릭터 라인이 전륜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면서 공기의 저항을 이겨내고 날렵한 속도감을 만들어낸다. 볼륨감을 주는 방식도 있어 요철의 볼륨감을 두드러지게 하여 차가 한층더 커보이게 만들어 육감적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런 디자인적 측면 뿐만아니라 공기역학을 통하여 주행효율을 끌어내는 역할도 하여 디자인측면과 성능측면의 조화가 이루어지는 캐릭터라인에 신경을 쓰고있다.[6]
- 웨이스트 라인: 웨이스트 라인은 문자 그대로 허리선인데, 대체로 유리창을 제외한 측면 도어 패널의 1/3 내외의 높이에 있는, 도어 패널의 허리선이라고 할 수 있다. 대게 앞범퍼와 뒤범퍼까지 연결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캐릭터라인과 마찬가지로 이 선의 기울기나 단면 형태, 곡률 등에 따라서 차체 형태 이미지가 변화된다. 단순한 직선과 혹은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선으로 설정되어 이는 차체 캐릭터 라인이나 벨트라인의 기준선의 개념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웨이스트 라인이 아주 옅거나 없는 차체 디자인도 등장하기도 한다.[1]
- 로커패널 라인:
- 루프 라인: 차체의 지붕인 루프의 디자인을 루프라인이라고 한다.
형태
쿠페라인
각주
- ↑ 1.0 1.1 채영석, 〈자동차 차체의 여러 라인들〉, 《글로벌오토뉴스》, 2012-01-19
- ↑ 구상, 〈샤프한 감성의 차체 디자인과 다양성〉, 《글로벌오토뉴스》, 2021-11-22
- ↑ 카구즈, 〈(칼럼)19~20세기 자동차 변천사를 알아보자〉, 《네이버 포스트》, 2020-05-15
- ↑ 호호, 신나는 생활 , 〈자동차 디자인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역사와 기술을 담은 자동차 디자인 변천사〉, 《금호타이어》, 2018-03-26
- ↑ 한독 모터스, 〈자동차 측면부의 숨겨진 비밀! THE 5로 보는 측면 디자인의 기능과 역할〉, 《네이버 포스트》, 2021-05-18
- ↑ VIEW H, 〈"선 하나가 이런 디자인을!?" 자동차의 개성을 만드는 캐릭터 라인〉, 《네이버 포스트》, 2020-04-29
참고자료
같이 보기